• 제목/요약/키워드: Uncinula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7초

한국산 미기록 백섭병균류에 관한 연구 (Unrecorded causal organisms of Korean Powdery)

  • 이호준;이배함
    • 미생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4-33
    • /
    • 1967
  • Fifty-two specimens of the infected plants were collected from areas through the country during the year of 1965. We report here 14 unrecorded specoes which were identified in this work.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Erysiphe cichoracearum DC. (Host: Artemisia princeps PAMPAN. var. orien-talls HARA.) 2. Erysiphe cichoracearum DC. (Host: Plantago sp.) 3. Erysiphe cichoracearum DC. (Host: Sonchus oleraceus L.) 4. Erysiphe pisi DE CANDOLLE. (Host: Lespedeza sp.) 5. Erysiphe polygoni DE CANDOLLE. (Host: Clematis patens MORR et DECAIS.) 6. Microsphaera alphitoides GRIFFITHS et MAUBLANCE (Uncinula bifurcata GERARD.) (Host: Quercus serrate GERARD) 7. Microsphaera baumleri MAGNUS. (Host: Robinia pseud-acacia L.) 8. Microsphaera coryli HOMMA. (Host: Corylus heterophylla FISCH. var. japonica KOIDZUMI) 9. Podosphaera tridactyla (WALLROTH) DE BARY. (Host: Prunus leveilleana KOEHN. var. typica NAKAI) 10. Sphaerotheca fuliginea (SCHLECHTENDAHL) POLLACI. (Host: Impatiens balsamina L.) 11. Sphaerotheca fuliginea (SCHLECHTENDAHL) POLLACI. (Host: Zinnia elegans JACQ) 12. Uncinula aceris SACCARDO (Host: Acer negundo L.) 13. Uncinula fraxini MIYABE(U. salmon SYDOW) (Host: Fraxinus rhynchophyllus HANCE.) 14. Uncinula salicis (DE CANDOLLE) WINTER. (Host: Salix gracilistyla MIQ.)

  • PDF

국내(國內) 미기록(未記錄) 수목(樹木)흰가루병(病) 기주식물(寄主植物) 4종(種)에 대한 보고(報告) - 벚나무, 귀룽나무, 푼지나무, 물들메나무 흰가루병(病) - (Unrecorded Host Plants of Powdery Mildew in Korea -Powdery Mildew of Oriental Cherry, European Bird Cherry, Korean Bittersweet and Ash Tree-)

  • 이종규;김경희;이창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1-9
    • /
    • 1983
  • 1982년(年) 10월(月)부터 11월(月)까지 국내(國內) 미기록(未記錄) 흰가루병균(病菌)과 기주식물(寄主植物)을 찾기 위하여 임업시험장(林業試驗場) 구내(構內) 수목원(樹木園)에서 흰가루병증상(病症狀)을 나타낸 수목(樹木)외 잎과 가지를 채취(採取)하여 병원균(病原菌)을 동정(同定)하였다. 이 중, 벚나무(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귀룡나무(Prunus padus), 푼지나무(Celastrus flagellaris), 물들메나무(Fraxinus ${\times}$ chiisanensis) 등(等) 4종(種) 수목(樹木)이 흰가루병(病) 기주식물(寄主植物)로 국내(國內)에서 처음 발견(發見)되었으며, 이들의 흰가루병균(病菌)은 Podosnaera tridactyla(DC.)DE BARY, Uncinula sengokui SALM., Uncinula fraxini MIYABE로 동정(同定)되었기에 이에 보고(報告)하는 바이다.

  • PDF

Triazole계 살균제의 살포 및 훈증처리에 의한 포도 흰가루병(Uncinula nectator)의 방제 (Control of Powdery Mildew (Uncinula necator) in Vineyards by Spraying and Vapor-Action Treatments of Triazole Fungicides)

  • 오정행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16-323
    • /
    • 1996
  • 비가림재배 포도원에서 발생하는 흰가루병에 대하여 triazole계 살균제 flusilazole, myclobutanil, difenoconazole, penconazole, triflumizole, triadimefon의 방제 효과를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살균제 처리구의 이병과방율과 이병엽율은 무처리구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고, 이들의 방제가는 과방에서 약제에 따라 94.7∼97.9%, 잎에서 85.5%∼90.9%였으며 대조약제인 polyoxin B의 방제가와 유사한 정도를 보였다. 공시살균제의 보호효과는 살균제를 병발생 1주일전에 살포하는 경우, 살포 3주 후에 방제가는 약제에 따라 72.2∼90.5%였으나 4주 후에는 21.2∼41.6%로 감소하여 대조약제 polyoxin B의 52.5%보다 감소시켰으나 myclobutanil의 발아억제 효과는 약제 농도증가에 크게 영향받지 않았다. 살균제에 침지한 cheesecloth를 포도원 선반에 매달아 조사한 공시살균제의 훈증효과는 살포농도의 2배로 처리했을 때 처리점으로부터 반경 30cm이내의 포도송이에서는 약제에 따라 57.2∼71.1%의 방제가를 보였으나 전체 식물체에서는 49.1∼65.8%로서 10일 간격으로 3회 살포한 것 보다 낮은 방제가를 보였다.

  • PDF

포도 흰가루병균(Uncinula necator)의 분생포자 형성과 발아에 미치는 온도, 습도, pH 및 Trizole 살균제의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pH and Triazole Fungicides on Sporulation anc Conidial Germination of Uncinula necator)

  • 오정행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10-214
    • /
    • 1997
  • 포도 흰가루병균(Uncinula necutor)의 분생포자 형성, 발아 및 균사 초기생장에 미치는 중요 환경오인과 살균제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같다. 분생포자 형성은 상대습도 76~96%에서 가장 좋았다. 포자 발아 및 균사 초기생장은 증류수에 비해 5% 한천배지에서 좋았으며, 온도 $26^{\circ}C$, pH 5.0일 때 가장 좋았다. 광 100 lux는 암상태와 발아율에 차이가 없었으며 한천배지에 포도 엽즙액 30%를 첨가한 배지에서는 순수 한천배지 보다 좋았다. 또 triazole계 살균제 첨가 배지에서의 포자발아 및 균사생장은 살균제 농도증가에 비례하여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그 정도는 살균제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특히, myclobutanil은 농도증가에 따른 발아율의 감소정도가 매우 낮았다.

  • PDF

관상수목의 미기록 흰가루병(I) (New Records of Powdery Mildews from Ornamental Trees in Korea (I))

  • 신현동;양성일;이상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2호통권89호
    • /
    • pp.158-163
    • /
    • 1999
  • 네 종의 관상수목에서 흰가루병이 발생하였는데, 이들은 지금까지 한국에서 보고되지 않았으므로 발병양상을 기록하고 병원균을 동정하였다. 노린재나무 흰가루병은 그늘에서 자란 잎에서만 약하게 발생하였으므로 그리 문제되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병원균은 Microsphaera nomurae U. Braun으로 동정되었다. 꽃산딸나무 흰가루병은 그리 심하지 않았으나 묘포에서의 대발생이 우려되었는데, 병원균은 Microsphaera pulchra Cooke & Peck으로 동정되었다. 야광나무 흰가루병은 묘포에서 어린잎과 어린줄기에 주로 발생하였는데, 병원균은 Podosphaera leucotricha (Ellis & Everh.) Salmon으로 동정되었다. 왕느릅나무 흰가루병은 주로 가을철에 발생하였으며 2차 생장한 어린 가지에서 특히 심하였는데, 병원균은 Uncinula kenjiana Homma로 동정되었다.

  • PDF

한국에서 흰가루병에 대한 중복기생균 Ampelomyces quisqualis의 새로운 기주 (New Hosts of Ampelomyces quisqualis Hyperparasite to Powdery Mildew in Korea)

  • 이상엽;김용기;김홍기;신현동
    • 식물병연구
    • /
    • 제13권3호
    • /
    • pp.183-190
    • /
    • 2007
  • 우리나라에서 1994년부터 2004년까지 73 식물체의 흰가루병균으로부터 중복기생균 Ampelomyces quisqualis를 308 균주 분리하였다. 그중에서 A. quisqualis의 새로운 균기주(mycohost)와 식물기주(plant host)는 38 식물체에서 흰가루병균 8 속(Erysiphe, Sphaerotheca, Microsphaera, Phyllactinia, Podosphaera, Uncinula, Uncinuliella, Oidium) 13종이 발견되었다. A. quisqualis의 새로 발견된 기주는 어수리의 흰가루병균(Erysiphe heraclei), 꽃향유의 흰가루병균(E. hommae), 콩의 흰가루병균(E. glycines), 싸리의 흰가루병균(E. lespedezae), 모시물퉁이의 흰가루병균(E. pileae), 녹두의 흰가루병균(E. pisi), 토대황과 소리쟁이의 흰가루병균(E. polygoni), 쑥의 흰가루병균(Golovinomyce artemisiae), 삼잎국화의 흰가루병균(G. cichoracearum), 꼭두서니의 흰가루병균(G. rubiae), 쥐오줌풀, 가는잎왕고들빼기, 두메담배풀, 흰까실쑥부쟁이, 수세미오이, 씀바귀, 풀협죽도, 도깨비바늘과, 담쟁이덩굴의 흰가루병균(Oidium sp.), 갈참나무의 흰가루병균(Microsphaera alphitoides), 댕댕이덩굴의 흰가루병균(M. pseudolonicerae), 쥐똥나무의 흰가루병균(Podosphaera sp.), 딸기의 흰가루병균(Sphaerotheca aphanisi), 물봉선의 흰가루병균(S. balsaminae), 국수호박, 쥬키니호박, 단호박, 관상용호박, 곰취, 가지, 박, 참외, 깨풀, 코스모스와 참취의 흰가루병균(S. fusca), 찔레꽃의 흰가루병균(Uncinuliella simulans)과 배롱나무의 흰가루병균(Uncinula australiana)이다.

한국산 미기록 백삽병균류에 관한 연구 2 (Unrecorded causal organisms of Korean powdwery (II))

  • 이호준;이배함
    • 미생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2-28
    • /
    • 1969
  • Twenty-nine specimens of the infected plans were collected from areas through the country since 1967 to 1968. We report here four unrecorded causla organisms of powdery and their hosts which were identified in this work. The results as as follows : 1. Microsphaera diffusa Cooke et Peck (M.magnoliae Sawoda) (Host:Magnolia obovata Thunb.) 2. Sphaerotheca humili (de Condolle0Burill. (Host: Spirea sp.) 3. Phyllactinea fraxini (de Condolle)Homma. (Host : Betuls sp.) 4. Uncinula sengorui.Salmon.(Host : Celastrus orbiculatus, Thunb.) * Six unrecorded host 1. Altemisia japonica. Thunb. (Pathogen : Erysiohe cichoracearum DC.) 2. Aster tataricus. L. (Pathogen :Sohaerotheca fuliginea (Schlechtendahl) Poll. 3. Dohlia variabilis Defont. (Pathogen :Sphaerotheeca fuliginea (schlechtendahl) poll. 5. Helianthus ammues (Pathogen :Spherotheca fuliginea schlechtendahl) poll. 6. Solanum melangera L. (Pathogen : Erysiphe cichoracearum DC.)

  • PDF

관상식물(觀賞植物)의 진균병(眞菌病) 발생조사(發生調査) (II) (Survey on Fungal Diseases of Ornamental Plants (II))

  • 김지영;이준탁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권
    • /
    • pp.120-128
    • /
    • 1985
  • 대구(大邱)를 중심(中心)으로 한 5개(個) 지역(地域)에 재식(裁植)되어 있는 23과(科) 28속(屬) 32종(種)의 관상식물(觀賞植物)에 대(對)하여 진균(眞菌)에 이병(罹病)된 식물(植物)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Uncinula 속균(屬菌) 등(等) 21속(屬)의 병원진균(病原眞菌)에 의(依)하여 26속(屬) 30(種)의 식물(植物)에서 45종(種)의 병(病)이 발생(發生)하고 있었다. 이들 중(中) 우리나라에서 이제까지 보고(報告)되지 않은 미기록병해(未記錄病害)는 Uncinula속균(屬菌), Phyllosticta속균(屬菌), Discosia속균(屬菌), Macrophoma속균(屬菌), Colletotrichum속균(屬菌), Pestalotia속균(屬菌), Phomopsis속균(屬菌), Gloeosporium속균(屬菌), Alternaria속균(屬菌), Fusicoccum속균(屬菌) 및 Sphaceloma속균(屬菌) 등(等)에 의(依)하여 15속(屬) 16종(種)의 식물(植物)에 22종(種)의 병(病)이 발생(發生)하고 있었다.

  • PDF

강원도(江原道)에서 채집(採集)한 흰가루병균(病菌)과 기주식물(寄主植物) (Powdery Mildew Fungi and Their Host Plants from Kangwon Province)

  • 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9-246
    • /
    • 1994
  • 1989년부터 1993년까지 5년간 강원도지방에서 횐가루병균에 감염된 246종의 식물을 채집하였는데, 이는 강원도에서 알려진 피자식물 1,475종의 약 16.7%에 해당한다. 흰가루병균은 12속(屬) 83종(種)이 동정(同定)되었는데, Arthrocladiella 속이 1종, Blumeria 속이 1종, Cystotheca 속이 1종, Erysiphe 속이 25종, Leveillula 속이 1종, Microsphaera 속이 17종, Phyllactinia 속이 7종, Podosphaera 속이 3종, Sawadaia 속이 3종, Sphaerotheca 속이 9종, Uncinula 속이 10종, Uncinuliella 속이 2종 등 12속 80종이었으며, 무성세대명만 확인된 Oidium 속은 3종이었다. 각 기주식물은 대개 1종의 흰가루병균에 감염당하였으나, 물오리나무에서는 3종의 흰가루병균이 확인되었고, 갈참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뽕나무, 찔레꽃, 방가지똥 및 이고들빼기에서는 2종의 흰가루병균이 확인되었다. 한편 무궁화에서 채집된 흰가루병균은 지금까지 무궁화속 식물에서 알려진 5종의 흰가루병균과 다른 형태학적 특징을 나타내어 별도로 기재하였으며, 국화과(科)에 속하는 쇠서나물, 미역취, 큰방가지똥, 방가지똥, 그리고 이고들빼기에서 채집된 흰가루병균은 이들 식물에서 기보고된 몇몇 Oidium spp.와 비교하여 형태학적 특징을 검토하였다. 이 보고로 우리나라의 흰가루병 기주식물은 총 333종으로 늘어났으며, 총 피자식물의 약 11.4%에 해당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