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trastructural

검색결과 772건 처리시간 0.034초

치수유래 구심성 신경섬유의 삼차신경 감각핵군에서의 연접특성 (ULTRASTRUCTURAL ANALYSIS OF TOOTH PULP AFFERENTS TERMINALS IN THE MEDULLARY DORSAL HORN OF THE RAT)

  • 배용철;이은희;최민기;홍수형;김현정;남순현;김영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9-227
    • /
    • 2001
  • 일차연접부위에서 악안면 영역에서 유래하는 유해자극의 전달 및 처리기전을 이해하고자 horseradish peroxidase를 치수지배 구심성 신경섬유를 표식한 후 연수후각에서 미세구조 및 연접양상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식종말은 소수의 큰 치밀소포가 관찰되는 종말 (S형) 및 다수의 치밀소포를 함유하는 종말 (LDCV형)등 2종류로 분류할 수 있었다. S형 및 LDCV형 표식종말의 연접양식은 유사하였으며, 다수의 표식종말이 1개 혹은 2개의 neurofile과 연접을 이루어 대단히 단순한 연접양상을 보였다. 표식종말은 가지돌기체 보다는 다수의 가지돌기가시와 연접을 이루는 빈도가 높았다. 표식종말이 세포체 및 이에 인접한 근심부 가지돌기와 연접하는 경우는 드물었으며, 소수의 표식종말에서 p-ending과 연접하는 경우를 보였다. 표식종말의 체적, 표면적, 사립체의 체적, neurofile과 접하는 면적, 활성부위의 면적, 단위표식종말당 연접소포의 수 및 연접소포의 밀도등은 넓은 범위의 계측치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S형 및 LDCV형 표식종말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연수후각에서 치수유래 구심성 신경섬유 종말의 연접양식은 고유의 특징을 보이며, 이는 신경회로의 기능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실험감염 고양이로부터 경시적으로 회수한 고래회충 유충의 표피, 배설기 및 소화기의 미세구조 변화 (Ultrastructural Changes on the Cuticular Surface, Excretory and Digestive Organs of Anisakis simplex Larvae Chronologically Recovered from Experimental Cats)

  • 손운목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2호
    • /
    • pp.211-221
    • /
    • 1999
  • 아니사키스 유충의 숙주 조직 침입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가장 빈번하게 인체감염을 일으키는 고래회충의 제3기 유충을 고양이에 경구감염시킨 후 경시적으로 충체를 회수하여 충체의 체표면, 배설기 및 소화기의 미세구조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고등어의 내장에서 분리, 수집한 고래회충의 유충을 20마리씩 고양이에 경구 감염시킨 후 6시간, 12시간, 24시간 및 3일에 회수한 충체와 고등어로부터 분리한 대조군 충체의 체표면, 소화기 및 배설기의 미세구조를 SEM및 TEM으로 관찰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서 대조군 충체는 전단에 잘 발달된 전단치아(boring tooth)를, 후단에 꼬리침(mucron)을, 체표면에는 불연속의 주름을 가지고 있었으나 감염 후 3일에 회수한 충체에서는 전단치아와 꼬리침이 관찰되지 않았고 체표면에는 규칙적인 가로주름이 관찰 되었으며 어떤 충체에서는 꼬리침 부위에서 전단까지 측면을 따라 세로홈(longitudinal groove)이 하나 관찰되었다. 대조군 충체의 배설기관 세포질내에는 무수히 많은 분비과립, 소포체, 골지체, 사립체 및 배설관 등이 분포하였고 특히, 분비과립은 직경이 $200\sim500nm$ 크기이고 비정형적적이며 다양한 전자밀도를 나타내었다. 감염 후 6시간 및 12시간에 회수한 충체는 대조군과 비슷한 소견을 나타낸 반면 감염 후 24시간에 회수한 충체에서는 직경이 $250\sim650nm$ 크기이며 구형인 분비과립과 분지된 소관들이 많이 관찰되었다. 근육성 식도의 벽은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잘 발달된 근섬유로 주로 구성되어 있었고 내강 부근에 $0.5\sim1.5{\mu}m$ 크기의 분비과립이 내포되어 있는 주머니가 있었으나 실험감염군 충체의 식도세포 세포질내에는 전자밀도가 높고 다양한 크기의 비정형 분비과립이 다수 분포하였다. 위(ventriculus)세포의 세포질내에는 다수의 사립체와 소포체 및 분비과립 주머니가 분포한 반면 감염 후 24시간에 회수한 충체의 위 세포 세포질내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다양한 크기의 비정형 분비과립이 다수 분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고래회충의 제3기 유충이 고양이 위내에서 감염 후 3일에 제4기 유충으로 탈피함을 SEM으로 관찰하였고 TEM으로 관찰된 소화기 및 배설기 미세구조의 경시적 변화 소견 중 분비과립의 변화는 충체가 숙주조직을 들고 들어갈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조직용해효소의 분비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가토 탈회 동종골편 이식시 조직반응에 관한 연구 (HISTOLOGICAL TISSUE RESPONSES OF DEMINERALIZED ALLOGENEIC BONE BLOCK GRAFT IN RABBITS)

  • 전영환;김영조;민승기;엄인웅;이동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5권1호
    • /
    • pp.63-79
    • /
    • 1993
  • To repair bony defects with tansplanted bone in the body, fresh autogenous bone is undoubtly, the most effective bone graft for clinical applications. But the demineralized bone has the matrix-induced bone formation which was suggested by Urist in 1965. Many authors assisted that demineralized bone powder induces phenotypic conversion of mesenchymal cells into osteoblasts, with high-density bone formation. The process of inducing differentiated cells becomes osteogenic proper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steoinductive capacity of allogenic freeze-dried demineralized bone block (FDD, $7{\times}7mm$) and to compare FDD with the same sue of deep-frozen allogenic bone(DF), fresh autogenous bone (A) after implantation. The histological and ultrastructural features of tissue responses were examined after 1, 2, 4, 6, 8 weeks implantation of each experimental groups in the operative site of the New Zealand white rabbi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generally has appeared at 1 week, but reduced at 4 weeks in each group, but most severe in DF group. 2. Osteoblastic activity has increased for 4 weeks, but decreased at 6 weeks in each group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experimental groups. 3. New bone formation has begun at 1week, least activations in A groups, and showed the revesal line of bone formation among each group at 6 to 8 weeks. 4. Bone resorption has appeared at 1 week, but disappeared at 4 weeks in both A and DF groups, but more severe in DF than A groups. 5. In ultrastructural changs, the DF group have showed the most remarkable osteoclastic activities among experimental groups. 6. Osteoid or tangled collagen fibrils near the implanted sites were replaced by more mature, lamellated bony trabeculae during bone remodeling. There was little difference among each experimental groups. 7. During the convertion osteoblasts to osteocytes which embedded within the bone matrix, there was organ-less-poor cytoplasm, increased nuclear chromatin, abundant rough endothelial reticulum (RER) in each groups. From the above the findings, the DF group shored more bone resorption and foreign body reaction than FDD and A groups, and FDD group showed more new bone formation or osteoblastic activity than DF and A groups in early st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ellular activities among the FDD DF, and A groups according to the time.

  • PDF

위암 조직내 Metallothionein의 면역 세포화학적 연구 (Immunocytochemical Localization of Metallothionein in Gastric Adenocarcinoma)

  • 양승하;신길상;김완종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4호
    • /
    • pp.411-419
    • /
    • 2002
  • 사람의 위암 조직을 미세구조와 metallothionein (MT)에 대한 면역 조직 및 세포화학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어냈다. 위암 세포들은 핵 세포질비가 정상세포에 비해 크고, 불규칙한 핵과 이질염색질의 분포가 증가하였으며, 세포질내에서 유리리보솜의 분포가 뚜렷이 증가하였다. 면역 조직 및 세포화학적 방법으로 MT의 발현을 조사하였던 결과, 이 단백질은 위암조직의 암세포에서 반응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주로 핵 부위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이질염색질과 인 부위에서 면역 금입자들이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위암 세포의 미세구조가 미분화세포들이 나타내는 일반적인 특징과 비교되었으며, 위암 세포에서 MT가 증가하는 현상은 이 단백질이 세포질에서 합성되어 핵내로 수송된 후, 세포 증식을 위한 전사과정에 관여할 것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X-선 조사를 받은 흰쥐 귀밑샘 샘포의 미세구조 (An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Parotid Acinar Cells of X-irradiated Rats)

  • 양남길;박인규;안의태;고정식;박경호;김진국
    • Applied Microscopy
    • /
    • 제24권1호
    • /
    • pp.28-40
    • /
    • 1994
  • Xerostomia and xerophthalmia are delicate or serous side effects, occuring when the radiotherapy is administered to the head and neck cancer patient. It is known that the cause of the above side effect is radiosensitivity of serous cells. In this study, the ultrastructural features of the parotid glands of the X-irradiated rats were observed. Sprague-Dawley rats weighing 200-250g each were anesthetized with sodium thiopental, and placed on the Mitsubishi linear accelerator. Only the head and neck areas of animals were exposured at the distance of 80cm, within the area of $30X30cm$, in the depth of 1cm, with the speed of 200R/min. Total doses applied were 3,000R or 6,000R depending on the experimental groups. Animals were sacrificed on the 6th hour, 2nd day and 6th day after the irradiation. Parotid glands were fixed in the 2.5% glutaraldehyde-1.5% paraformaldehyde solution, and followed by refixation in the 1% osmium tetroxide solution. Dehydrated blocks were embedded in araldite mixture, and ultrathin sections were cut. Sections were contrasted with the solution of uranyl acetate and lead citrate, and observed with JEM 100 CX-II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Normal parotid acinar cells are two types; the light and the dark acinar cells. The light acinar cell contains dense secretory granules, whereas dark acinar cells contains granules of medium density with some darker spots within them, or other cells contain granules of medium density with darker rims. 2. Six hours after the irradiation, many acinar cells were degenerated showing variable stages of cytolytic bodies, light bodies, or dense degenerations. Within the acinar cell, Golgi apparatus and granular endoplasmic reticula were most severely altered elements. Granules showed more contrasting densities and irregularities. 3. Two days after the irradiation, some cytolytic bodies, and focal lucent degeneration of cytoplasm, and fine granular alteration of cytoplasmic matrix were pronounced. But other elements including secretory granules are rather looked unlatered. 4. Six days after the irradiation, most severe alterations were seen. Many intracellular canaliculi (or secretion figures), quanta of cytoplasm containing secretion antecedants, severely irregular luminal border, and again contrasting density of secretory granules showing tigroid spots or dense rims were noted. And myoepithelial degenerations were observed not uncommonly. 5. Irregular densities of secretory granules were interpreted as abnormal components of protein or carbohydrate portion are synthesized or abnormally metabolized under severe X-irradiation. 6. Myoepithelial degeneration and related alteration of nerve endings, etc., were suggested as the other causes of xerostomia following X-irradiation. 7. It is requested that radiation doses should be arranged, considering in mind not only the sensitivity of acinar cells but also the myoepithelial and neural functions.

  • PDF

Cadmium으로 유발된 흰쥐 간독성에 대한 스쿠알렌 효과 (Effects of Squalene on Mouse Liver Toxicity with Cadmium)

  • 김종세;윤중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2호
    • /
    • pp.141-152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CdCl_2$이 간 미세조직에 일으키는 독성에 대한 50의 억제효과를 연구하는데 있다. 본 실험에서는 총 40마리의 건강한 ICR계 mouse를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먼저 2개군(group A, and B)으로 구분하였다. A군에는 $CdCl_2$(40mg/kg)을 복강투여 하였다. B군에는 SQ (180 mg/kg, 2회/일)과 $CdCl_2$ (4.0 mg/kg)을 동시 복강 투여하였다. 각 군은 24, 48, 72, 96시간째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A군 : 핵막은 24시간대에서 매우 불규칙하게 관찰되었고, 48시간대부터는 대체로 원형을 유지하였다. 사립체는 72시간까지 내강이 파괴된 채로 관찰되었고, 96시간대에는 일부에서만 내강 파괴가 관찰되었다. 과립형질 내세망은 내강이 전 시간대에 걸쳐 팽대된 소견을 보였고, 72시간대부터 층판구조를 형성하였다. 용해소체가 24 시간대부터 세포질에서 관찰되었고, 72시간대부터는 글리코겐이 관찰되었다. 2. B군 : 핵막은 전 시간대에 걸쳐 비교적 규칙적인 형태를 보였다. 사립체는 전반적으로 원형 ,세장형 등 정상적인 형태로 관찰되었다. 과립형질내세망은 48시간군에서 내강이 팽대되었고 층판구조가 일부 분절된 소견을 보였지만, 72시간부터는 전형적인 층판구조가 관찰되었다. 용해소체와 glycogen은 24시간대부터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50이 mouse간세포에 미치는 카드뮴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노화에 의한 Myelin-Associated Glycoprotein (MAG) 면역반응 희소돌기아교세포의 형태계측학적 및 미세구조적 변화 (Morphometric and Ultrastructural Change of Myelin-Associated Glycoprotein (MAG)-Immunoreactive Oligodendrocytes by Aging)

  • 조익현;박창현;이종환;배춘식;예상규;이법이;박승화;고기석;김진석;장병준
    • Applied Microscopy
    • /
    • 제36권2호
    • /
    • pp.119-130
    • /
    • 2006
  • 정상적인 노화과정에 있어서 마이엘린연합당단백질(MAG)의 기능을 알아보고자 Sprague-Dawley 계통 흰쥐의 대뇌피질에서 MAG 면역양성반응세포(희소돌기아교세포)에 대한 형태계측학적 및 미세구조적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노화된 흰쥐의 대뇌피질(IV-VI)에서 MAG면역양성반응세포의 밀도는 정상 흰쥐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medium과 dark 형의 희소돌기아교세포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노화된 흰쥐의 대뇌피질에서 MAG면역음성반응세포의 핵의 평균면적은 MAG면역양성반응세포의 핵의 평균면적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MAG의 면역반응물은 노화된 흰쥐의 대뇌피질의 medium-dark형의 희소돌기아교세포의 세포질과 돌기에서 뚜렷이 감소하였고 dark형의 희소돌기아교세포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노화에 의한 희소돌기아교세포와 마이엘린의 변성은 MAG의 감소와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희소돌기아교세포와 마엘린 계통에서 MAG의 기능을 연구하는 기초자료로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Angiostrongylus cantonensis: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s on The Cuticle of Moulting Larvae

  • Zeng, Xin;Wei, Jie;Wang, Juan;Wu, Feng;Fung, Feng;Wu, Xiaoying;Sun, Xi;Zheng, Huanqing;Lv, Zhiyue;Wu, Zhongda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1권6호
    • /
    • pp.633-636
    • /
    • 2013
  • Angiostrongylus cantonensis is a parasitic nematode that needs to develop in different hosts in different larval stages. Freshwater snails, such as Pomacea canaliculata, are the intermediate host, and rats are the definitive host. Periodic shedding of the cuticle (moulting) is an important biological process for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the parasite in the intermediate and definitive host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cuticle alterations between different stages of this parasite. In this study, we observed the ultrastructural appearance and changes of the cuticle of the 2nd/3rd stage larvae (L2/L3) and the 3rd/4th stage larvae (L3/L4)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e also first divided L2/L3 into late L2 and early L3. The late L2 lacked alae, but possessed a pull-chain-like fissure. Irregular alignment of spherical particles on the cuticle were noted compared to the L3. Alae appeared in the early L3. The old cuticle turned into a thin filmlike structure which adhered to the new cuticle, and spherical particles were seen regularly arranged on the surface of this structure. Regular rectangular cavities were found on the surface of L3/L4. The caudal structure of L3/L4 was much larger than that of L3, but caudal inflation, such as seen in L4, was not observed. These results are the first to reveal the ultrastructural changes of the cuticle of A. cantonensis before and after moulting of L2/L3 and L3/L4.

發情週期에 따른 Guinea Pig의 子宮內膜 表層上皮細胞의 微細構造 및 細胞化學的 硏究 (Ultrastructural and Cytochemical Studies on the Endometrial Surface Epithelial Cells of Guinea Pig During Estrous Cycle)

  • Park, Choon K.;Kwan H. You;Young K. Deung;Lee, Choon K.;Ho S. Chung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28
    • /
    • 1982
  • Guinea pig의 發情週期를 發情前期, 發情期, 發情後期, 그리고 發情間期의 4단계로 구분하여 子宮內膜의 表層上皮細胞에 있어서의 미세구조상의 변화와 이 세포들의 acid phosphatase, alkaline phosphatase 그리고 adenosine triphosphatase의 활성의 변화를 細胞化學的인 방법에 의하여 관찰하였고 발정주기에 따른 자궁내막표층상피세포 표면의 미세구조 변화를 走査電子顯微鏡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表層上皮細胞들은 발정기와 발정간기에서 單層圓柱形이며 발정기와 발정후기에서는 多列上皮組織으로 관찰되었고 발정전기에서 핵과 세포질의 비율이 크고 발정기에서는 세포와 핵들이 신장된 형태를 보이며 세포질이 증가하여 세포질이 子宮腔에 돌출된 모습이 관찰된 반면 발정후기와 발정간기에서는 세포의 길이가 작아졌다. 2. 細胞質내의 세포기관들은 발정기에서 미토콘드리아 및 유리리보좀의 증가와 粗面小胞多層版 構造物, 脂肪適, 리소조옴들이 다수 출현하였다. 3. 走査電子顯微鏡에 의한 연구로써 발정전기와 발정기에서 자궁내막의 표층상피세포들의 표면 미세구조는 세포의 境界가 뚜렷하였으며 특히 발정기에서는 多角形의 세포가 규칙적인 배열을 보였고 세포표면이 자궁강에 돌출된 구조를 나타냈으며, 발정후기와 발정간기의 표면은 편편하며 세포의 경계가 뚜렷하지 못하였다. 4. 微細絨毛는 발정기에서 가장 조밀하고 길게 發達된 반면에 발정후기와 발정간기에서는 짧은 미세융모가 관찰되고 數적인 면에서 감소된 경향을 보였다. 5. 전자현미경에 의한 효소활성의 관찰 결과 acid phosphatase는 발정후기에서 미세융모와 공포, alkaline phosphatase는 발정후기때 미세융모, 세포표면, 그리고 측면세포막에 매우 높은 활성을 나타내며 ATPase의 경우 발정전기와 발정기에서 미세융모와 세포막에 높은 활성을 보였다

  • PDF

곰소만에 서식하는 암컷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난형성과정 및 난모세포 퇴화의 미세구조적 연구 (Ultrastructural Studies of Oogenesis and Oocyte Degeneration in Female Ruditapes philippinarum (Bivalvia: Veneridae) from Gomso Bay, Korea)

  • 이기영;정의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1호
    • /
    • pp.41-49
    • /
    • 2008
  • 한국 곰소만산 암컷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의 난모세포의 발달 및 퇴화과정 중 일어나는 미세구조적 변화에 관해 기술하였다. 난소소낭은 영양성분을 저장하는 포상결체조직세포(VCT cell)들의 기질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난 형성과정 초기에 초기난황형성난모세포와 보조세포(follicle cell)들 사이에 desmosome-like gap junction들이 나타났다. 난황형성과정은 골지체, 미토톤드리아, 조면소포체가 결합되어 작용하는 자율합성과정을 통하여 일어나며, 난황막 형성에 앞서 난황형성과정의 초기와 난모세포 퇴화에 없어서는 안될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조세포들은 식세포작용 및 난모세포 퇴화로부터 유래되는 산물들의 세포내소화에 관여한다. 이들의 기능은 난황형성에 필요한 난황전구체들로 전환이 일어나게 한다. 또한, 보조세포들은 난황형성난모세포들이 이용하는 글리코겐과 지방적들을 세포질 내에 영양물질로 축적, 저장할 수 있다. 보조세포들은 난모세포가 퇴화되는 기간 중에는 난모세포의 붕괴를 위해 리소조옴 체제를 가지며, 영양물질 저장을 위해 세포질 내에 존재하는 여러 종류의 파고소옴(phagosome)들을 흡수하였다. 그러나 보조세포들은 난황형성과정에서 난황형성을 위한 난황전구체의 주된 공급원이 아니라고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