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trasound Test

검색결과 398건 처리시간 0.025초

Detection of Malignant Primary Hepatic Neoplasms with Gadobenate Dimeglumine (Gd-BOPTA) Enhanced T1-Weighted Hepatocyte Phase MR Imaging: Results of Off-site Blinded Review in a Phase-II Multicenter Trial

  • Constantino S. Pena;Sanjay Saini;Richard L. Baron;Bernd A. Hamm;Giovanni Morana;Roberto Caudana;Andrea Giovagnoni;Andrea Villa;Alessandro Carriero;Didier Mathieu;Michael W. Bourne;Miles A. Kirchin;Gianpaolo Pirovano;Alberto Spinazzi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권4호
    • /
    • pp.210-215
    • /
    • 2001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gadobenate dimeglumine (GdBOPTA) enhanced MR imaging for the detection of liver lesions in patients with primary malignant hepatic neoplasm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one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n primary malignancy of the liver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administration of GdBOPTA at dose 0.05 or 0.10 mmol/kg. T1-weighted spin echo (T1W-SE) and gradient echo (T1W-GRE) images were evaluated for lesion number, location, size and confidence by three off-site independent reviewers and the findings were compared to reference standard imaging (intraoperative ultrasound, computed tomography during arterial portography or lipiodol computed tomography). Results were analyzed for significance using a two-sided McNemar's test. Results: More lesions were identified on Gd-BOPTA enhanced images than on unenhanced image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sion detection between either concentration. The largest benefit was in detection of lesions under 1 cm in size (7 to 21, 9 to 15, 16 to 18 for reviewers A, B, C respectively). In 68% of the patients with more than one lesion, Gd-BOPTA increased the number of lesions detected. Conclusion: Liver MR imaging after Gd-BOPTA increases the detection of liver lesions in patients with primary malignant hepatic neoplasm.

  • PDF

Correlation between shift work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mong male workers in the steel manufacturing company of Korea: a cross-sectional study

  • Kiseok Kim;Yong-Jin Lee;Soon-Chan Kwon;Young-Sun Min;Hyun Kyo Lee;Gwangin Baek;Sang Hyeon Kim;Eun-Chul Jang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
    • 제34권
    • /
    • pp.33.1-33.13
    • /
    • 2022
  • Background: Circadian rhythm disturbance caused by shift work has adverse effects on the metabolic homeostasis of the liver. Disruption of the metabolic homeostasis of the liver causes fat accumulation in the liv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hift work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among male workers in the steel manufacturing industry of Korea. Methods: Based on medical examination data collected in June 2020, 2,511 male subjects from one steel manufacturing company in Korea were selected in total. NAFLD was evaluated using abdominal ultrasound, which was performed by two experienced radiologists.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adjusting for age, physical activity, smoking history, alcohol consumption,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blood glucose, lipidemia, liver function test, employment duration, and hepatotoxic materials exposure status. Results: Compared to daytime workers, the odds ratio (OR) of moderate-severe NAFLD in shift workers was 1.449 (95% confidence interval [CI], 1.028-2.043). Compared to daytime workers, the ORs of moderate-severe NAFLD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group that engaged in total shift work for more than 20 years (OR, 2.285; 95% CI, 1.051-4.970), the group that was not allowed to sleep during night shift work (OR, 1.463; 95% CI, 1.030-2.078), and the group that consumed food during night shift work (OR, 1.580; 95% CI, 1.093-2.284). Conclusion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shift work and moderate-severe NAFLD in male steel manufacturing workers. There will be a need for more research related to the correlation of shift work with steatohepatitis and cirrhosis in the future.

고령 불임여성의 체외수정술시 최소자극법의 효용성 (Minimal Stimulation using rhFSH and GnRH Antagonist for IVF Treated Patients of Advanced Age)

  • 김소라;김정훈;이진경;전균호;김성훈;채희동;강병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6권1호
    • /
    • pp.63-70
    • /
    • 2009
  • 목 적: 본 연구는 전향적 무작위 배정법 연구로 40세 이상의 불임여성의 자연주기에서 소량의 재조합난포자극호르몬을 이용한 최소자극법의 효과를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길항제 다회투여법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불임크리닉을 방문하였던 환자들 중 나이가 40세 이상인 75명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연구군은 최소자극법으로 37명, 대조군은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길항제 다회투여법으로 38명의 환자들로 구성되었으며 모두 체외수정시술을 시행 받았다. 주기 취소율, 난포자극호르몬 종 사용량과 일수, 성숙난자의 수, 이식된 배아의 수, 배아이식 주기당 임신율, 착상율 등을 비교하였으며, 통계학적인 방법은 평균값의 비교를 위하여 Student's t-test를 이용하였고 분율의 비교를 위하여 ${\chi}^2$ 검정, Fisher's exact test를 사용하였으며, p값이 0.05 미만인 경우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결 과: 두 군간의 대상 환자들의 기본적인 특성은 차이가 없었다. rhFSH의 투여기간과 총용량에서 연구군의 경우 4.5${\pm}$1.2일, 632.2${\pm}$123.7 IU로 대조군에서의 11.3${\pm}$2.7일, 3124.6${\pm}$452.1 IU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고, 주기 취소율은 연구군에서 16.2%, 대조군에서 5.3%로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회수된 난자의 수, 성숙한 제 2감수분열 중기 상태의 난자의 수 및 수정된 난자의 수, 양질의 배아수, 배아이식된 배아의 수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해서 연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배란유도를 시작한 주기당 임상적 임신율과 배아이식 주기당 임상적임신율은 연구군의 경우 각각 10.8%와 13.4%로 대조군에서 13.2%와 13.9%에 비하여 다소 낮긴 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착상율, 자연유산율에서는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결 론: 40세 이상의 고령 여성에서 체외수정술을 시행하고자 할 때 배란유도의 방법으로 GnRH antagonist와 성선자극호르몬을 이용한 최소자극법은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길항제 다회투여법과 비교하여 임신율이 감소하지 않으며 비용면에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슬관절 관절경 검사 시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 (Ultrasonographic Utility for Arthroscopic Examination of Knee)

  • 변기용;이광진;김경천;김동규;김보건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8-23
    • /
    • 2009
  • 목적: 슬관절 이상 시 자기공명영상 촬영 등의 검사를 하지 않고, 초음파 검사만을 시행 후 이상소견 발견 시 관절경 검사를 시행하여 초음파 검사 상 이상 소견과 실제 병변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7월부터 2008년 7월까지 본원에서 슬관절 관절경 시술을 받았던 환자 중 류마티스 관절염 이나 패혈성 관절염과 인대 손상이 의심 되는 환자는 제외하고 시술 전 초음파 검사만을 시행한 42명의 환자 4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례에서 이학적 검사 및 단순 방사선 검사와 슬관절의 초음파 검사를 시행 후 초음파 검사 상 이상소견이 있는 환자에 대해 관절경 검사를 시행하였고, 시술 전 자기공명영상 촬영 검사는 시행하지 않았으며, 관절경 검사 상 이상소견 발견 시에는 이에 적절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결과: 초음파 검사 시 전례에서 슬개상 주머니(Suprapatellar Pouch)에 삼출액(effusion)소견이 관찰되었으며 그 크기는 다양하였다. 그 외 내측 반월상 연골판 이상소견 11례, 외측 반월상 연골판 이상소견 16례, 낭종소견 2례였다. 관절경 검사 시 내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 14례, 외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 20례, 연골손상 15례였고, 내측 활액막 추벽 9례, 관절 내 유리체 2례, 연골 연화증 5례, 낭종 2례, 활액막염 2례였다. 초음파 검사상 슬개상 주머니에서 삼출액 소견이 있을 경우, 어떤 병변이든지 실제 슬관절 병변이 있을 확률은 100% 이었고, 초음파 검사상 내측 반월상 연골판 이상 소견이 있을 경우, 실제 병변이 있을 확률은 90.9%, 외측 반월상 연골판 이상 소견 시 실제 병변이 있을 확률은 81.2% 이며 낭종 소견은 100%에서 정확도가 있었다. 결론: 슬관절의 초음파 검사는 관절경 시술을 시행하기 전에 관절 내 병변 의심 시 시행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검사방법으로 사료 된다.

  • PDF

회전근 개 파열에 있어서 이두근 건을 이용한 관절경하 봉합술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all Arthroscopic Repair with Biceps Incorporation in Massive Sized Fullthickness Rotator Cuff Tears)

  • 고상훈;이용걸;전형민;이채칠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1호
    • /
    • pp.106-111
    • /
    • 2007
  • 목적: 광범위 전층 회전근 개 파열에 있어서 이두근 건을 이용한 관절경하 봉합술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3월부터 2006년 5월까지 광범위($5{\sim}\;cm6$) 전층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하여 관절경하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를 전향적으로 추시하여 비교하였다. 이두근 건을 이용하여 전방 회전근 개를 보강하며 관절경하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한 22예를 1군으로 하였고, 이두근을 이용하지 않는 20예를 2군으로 하였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58세($41{\sim}74$)이며, 평균 추시 기간은 24($12{\sim}36$)개월이었다. 결과는 통계학적으로 Mann-Whitney test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결과: 1군과 2군에서 통증에 대한 VAS, UCLA, ADL 점수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각각, P>0.05). 전방 굴곡 근력은 1군에서 4.3, 2군은 3.5 점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P<0.05). 술후 추시 초음파 촬영 소견상 1군 19예 중 10예에서 재파열이 있었고, 2군 17예 중 15예에서 재파열이 발견되었으나 최종 추시결과는 차이가 없었다(각각, P>0.05). 결론: 광범위 전층 회전근 개 파열에 있어서 이두근 건을 이용한 관절경하 봉합술이 재파열을 감소시키고 근력회복에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정상 대학생의 눈 굴절이상, 안축장, 전방깊이, 수정체두께 그리고 각막두께의 연관성 (Correlation of Refractive Error, Axial Length, Chamber Depth, Lens Thickness and Corneal Thickness of Normal University Students)

  • 김창식;이학준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9-94
    • /
    • 2008
  • 목적: 안구크기의 생체 측정값과 눈 굴절이상 정도에 따른 상호 연관성을 비교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평균연령이 22.85${\pm}$3.12세의 정상 대학생 68명(남 36, 여 32)을 대상으로 초음파(A-scan)를 이용하여 측정과 시력측정을 하였고, 그 결과를 SPSS 12.0 version을 이용해 통계학적 유의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측정한 평균값은 안축장 24.31${\pm}$1.24 mm, 전방깊이 3.48${\pm}$0.28 mm, 렌즈두께 3.56${\pm}$0.26 mm 그리고 각막두께 0.55${\pm}$0.03 mm 이었다. 측정값의 안축장과 전방깊이는 남자가 크지만 렌즈두께는 여자가 두껍게 조사되었다. 렌즈두께는 굴절이상 적을수록 두꺼웠지만, 각막두께는 남, 여 모두 같았다. 좌 우안의 측정값은 차이가 없었으며 T-test 결과도 연관성이 없었다. 측정치의 Pearson Chi-Square 검정 결과는 안축장과 전방깊이, 안축장과 렌즈두께, 전방깊이와 렌즈두께 그리고 굴절이상과 렌즈두께는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굴절이상과 안축장은 선형회귀분석 검정결과 음(-) 선형관계를 나타내었다(r=-0.56). 결론: 눈 굴절이상은 안축장, 전방깊이, 렌즈두께에 의해 결정되지만, 좌 우안이나 성별의 차이와는 관계가 없었다.

  • PDF

정량적 전산화단층촬영법(QCT)과 정량적 초음파법(QUS)에 의한 골밀도측정 비교 (The Comparative Study on Bone Mineral Density Accessed by 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and Quantitative Ultrasound)

  • 김기범;안성민;이귀원;김성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98-203
    • /
    • 2011
  • 24~69세의 일반검진대상자 106명을 대상으로 골밀도 검사시 최근 사용이 많이 증가하고 있는 QCT와 QUS에 따른 BMD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QCT와 QUS에 의한 골밀도의 측정값은 전체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5). 성별에 따른 측정방법간의 차이에서 여성에서는 QUS에 의한 검사방법에서 T-score가 유의하게 낮았고(p<0.05). 나이에 따라서는 40세 이상에서는 유의한 범위(p<0.05)에서 T-score의 차이가 있었다. 키 및 몸무게에 따른 차이에서는 특징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BMI값이 22.9이하 그룹에서는 QCT로 검사시 T-score가 유의하게(p<0.05) 낮게 측정되었고 나머지 그룹에서는 검사방법에 따라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같이 골밀도의 측정에 있어서는 환자의 성별, 나이, 키 및 BMI에 따라서 측정방법에 따른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특별한 경우에는 여러 검사방법 등을 통하여 정확한 자료를 얻을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and Superior Extensor Ankle Retinaculum Thicknesses: Relationship with Balance

  • Malloy, Brooke;Furrow, David;Cook, Haily;Smoot, Elizabeth;Cash, Lindsey;Aron, Adrian;Jagger, Kristen;Harper, Brent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73-182
    • /
    • 2019
  • Purpose: This study determined if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ATFL)/superior extensor ankle retinaculum (SEAR) thicknesses are related to dynamic balance in individual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CAI).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were 14 males and 15 females (age=24.52±3.46 years). Ankle instability was assessed using the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CAIT) with a cut off score of 25 to define two groups. SonoSite MTurbo (Fugifilm Sonosite, Inc.) musculoskeletal ultrasound (MSKUS) unit was used to assess ATFL and SEAR thicknesses. Dynamic balance was measured with the Y Balance Test (YBT) and two NeuroCom balance test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 ATFL thickness between stable and unstable ankles in those subjects with CAI (0.25±0.03 cm and 0.21±0.05 cm, respectively) or in the SEAR thickness (0.09±0.04 cm and 0.10±0.03 cm, respectively).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ight and left ATFL thicknesses (0.23±0.07 cm and 0.21±0.04 cm, respectively) or the SEAR thicknesses (0.09±0.01 cm and 0.09±0.01 cm, respectively) in those without CAI.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limbs in composite scores on YBT in those with CAI (p=0.35) and those without CAI (p=0.33). There was a moderate correlation between the left SEAR thickness and the large forward/backward perturbations on the NeuroCom (Natus) motor control test (r=0.51, p=0.006 and r=0.54, p=0.003, respectively). Conclus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ATFL/SEAR thicknesses or balance measures between or within the groups, likely because CAI is multi-factorial and related to mechanisms other than tissue changes alone. More sensitive technology and a better definition of the measurement process may provide more definitive results.

유방 초음파 검사 시 S-detect 방법을 활용한 인자 분석 (Factor analysis using S-detect Method in Breast Ultrasound)

  • 천혜리;장현철;조평곤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9-14
    • /
    • 2019
  • 본 연구는 유방 초음파 검사 시 S-detect 성능에 관한 내용을 알아보고 이에 따라 조직 검사와 비교하여 불필요한 조직 검사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8년 8월에서 10월까지 유방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유방결절이 발견되어 조직 검사가 계획된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S-detect 방법에서의 악성 감별과 Biopsy에서의 악성감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Mc Nemar 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S-detector 방법의 분석 결과 민감도는 90.9 %, 특이도 84.21 %, 정확도 86.66%, 양성예측도 76.92%, 음성예측도 94.11 %로 나타났다. S-detect 방법과 Biopsy 방법 간에 일치도 분석 결과 kappa 값이 0.724(p<0.05)로 높게 나타났으며, 두 방법 간에 좋은 일치도를 보였다. 유방초음파 검사 시 S-detect를 활용한 검사 방법에 있어서 유방 종괴에 악성과 양성 감별 진단에 있어서 진단적으로 가치가 있었으며, 유방조직 검사 실시 전 적절히 활용한다면 불필요한 조직 검사를 줄일 수 있는데 도음을 줄 것이다.

지지면에 따른 골반 바닥 근육 운동이 20대 여대생들의 최대 들숨 압력, 최대 날숨 압력 그리고 배 근육 두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According to Support Surface on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and Maximum Expiratory Pressure and Abdominal Muscle Thickness in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 박한규;김윤희;이시윤;이정인;오수진;황지영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1-60
    • /
    • 202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PFME) on an unstable support surface on maximal inspiratory pressure (MIP), maximum expiratory pressure (MEP), and abdominal muscle thickness as a method for effective PFME. Me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on 22 subjects. They were match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body mass index; the experimental group (EG) performed PFME on a foam roller (n= 11), the control group (CG) performed PFME on a stable support surface (n= 11). Kegel exercise was performed with 10 seconds of contraction, 10 seconds of relaxation, and 4 sets of 10 reps per set. Both of group executed the exercise 3 times a week for 2 weeks. MIP and MEP was measured using a spirometer. Abdominal muscle thickness was measured using ultrasound. The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difference on each group and the comparison between groups was analyzed using the independent t-test. A significance level of α= .05 was used to verify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 The E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EP (p<.05). The C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EP (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wo groups (p>.05). The E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ternal oblique, internal oblique and transverse abdominis (p<.05). The C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internal oblique (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wo groups (p>.05).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correc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o confirm that PFME performed on a foam roller has a positive effect on respiratory muscle strength and abdominal muscle thick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