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lungdo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3초

Marine Ecosystem on Dokdo and Ullungdo Islands

  • Kim, Ki-Tai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4호
    • /
    • pp.245-251
    • /
    • 2001
  • Dokdo is a volcanic island, and its formative geological age took place at the end of the Pliocene Epoch. Dokdo is located at 131。 52′33" East longitude, and 37$^{\circ}$ 14′18" North latitude, and is consituted of 87 islands. The total area of Dokdo is 0.186 $\textrm{km}^2$ and the length of its coastline is 4 km. Ookdo is a treasury of fish resources where many varieties of fish including squid and Alaska pollack live in abundance of greatest importance. Dokdo is a forward fishery base. Ullung island is located at 37$^{\circ}$ 27′~37$^{\circ}$ 33′North latitude and 130$^{\circ}$ 47′~130$^{\circ}$ 56′East longitude. The area of Ullung is 72.92 $\textrm{km}^2$ and the length of its seashore is 44.21 $\textrm{km}^2$. The total marine product of Ullungdo(1995) is 9,066 tons (M/T). The largest is squid, 8,900 tons. For the sea area of the depths near the Ullungdo, coast, that of 50m or less is 2,477 ha, and that of 50- 100m is 1,471ha. This fact tells us that there is no extensive area of a very shallow sea, and that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eep sea. Ullungdo is a treasury of marine bioresources with rich and varied fishes including squid and Alaska Pollack and many others. Presently there is a sovereignty dispute over Dokdo between Korea and Japan. Since A.D.512, Dokdo has been a part of territory of Korea. Dokdo is a part of Kyungsang-Bukdo, Ullung-gun, Ullung-up, Do-dong in the Korean administrative district division system. Japan strenuously claims sovereignty for significant economic reasons, including fishery rights, and has adhered to a contradictory position that "Dokdo is Japanese land" since Japan incorporated Dokdo into Japanese territory in 1905.ritory in 1905.

  • PDF

Note on the Species of Ceramium (Ceramiace Rhodophyta) from Ullungdo Island, Korea

  • In Kyu Lee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8권2호
    • /
    • pp.159-164
    • /
    • 1995
  • The taxonomic note was given to the species of Ceramium from Ullungdo Island. Five species, Ceramium aduncum Nakamura, C. codii (Rhichards) G. Mazoyer, C. flaccidum (Harvey exK tzing) Ardissone, C. paniculatum Okamura, and C. tenerrimum (Martense) Okamura were collected during this study. C. aduncum was collected in the intertidal and upper subtidal zones from December to Feburary. They had a narrow internodal space showing 1/3-1/5 times as large as nodal band. C. codii had the spermatangial mother cells developed on abaxial cortical cells of cortical band C. paniculatum collected in summer and winter had a creeping thallus and alternative branching type in gross morphology. The axial cell of C. flaccidum showed 2.3-2.8 L/B ratio, smaller than those of plants from Chejudo Island.

  • PDF

한국 동해 묵호와 울릉도의 해수면의 변화 (Variability of Sea Levels at Mukho and Ullungdo off the East Coast of Korea)

  • 이재철;김순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413-427
    • /
    • 1991
  • 묵호와 울릉도에서의 해수면 및 해류와 관련된 해수면차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기압보정된 두곳의 해수면의 시계열자료는 매우 유사한 변화 양식을 보여준다. 해수면과 해수면차의 상관관계에는 두 가지 성분이 기여를 하는데 저주파의 밀도효과는 양쪽의 해수면이 동시에 상승$\cdot$하강하도록 하고 지형류 효과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동하도록 한다. 두 가지 효과는 묵호에서는 서로 상쇄되는 반면에 울릉도에서는 더해진다. 주파수 영역에서의 시계열의 특성은 0.01 cpd를 중심으로 두 부분으로 나된다. 묵호에서는 저주파수에서 두 가지 효과가 상쇄됨으로써 상관성이 낮은 반면에 고주파수에서는 지형류 효과가 우세하여 해수면과 해수면차 사이에 $\pm 180^{\circ}$의 위상차가 생긴다. 묵호와 울릉도 사이의 역학고도의 차와 해수면차는 상관성이 높은데, 이는 묵호-울릉도 사이의 평균유속이 양쪽의 해수면 자료를 통하여 성공적으로 파악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연변화에 있어서 묵호-울릉도의 해수면차의 최대치는 대한해협보다 약 40일 늦게 나타난다.

  • PDF

산마늘(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의 형태적.유전적 변이 (Morphological and Genetic Variation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 배관호;홍성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3권
    • /
    • pp.45-53
    • /
    • 1995
  • 약용 또는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산림자원 식물인 산마늘(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의 지역별 군락생태적 특징과 형태적 유전적 변이를 살펴본 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식생구성을 살펴보면 오대산과 함백산의 경우는 고목충의 우점종은 신갈나무이며 아고목 관목층은 당단풍, 쇠물푸레, 철쭉꽃의 피도가 높게 나타났다. 울릉도의 경우는 너도밤나무, 우산고로쇠, 섬피나무, 마가목, 섬단풍나무가 고목층에 나타나며, 초본층에는 우점종인 산마늘과 함께 일색고사리, 섬말나리, 큰연령초의 피도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오(1977)의 식물지리구계구분에서 울릉도를 울릉도아구로 별도로 구분하고 있는 것과 같이 내륙의 오대산, 함백산과 울릉도의 전반적인 식생구성은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형태적 인자에 대한 주성분분석과 판별분석 결과 울릉도와 함백산 및 오대산의 두 group으로 구분되었다 울릉도의 산마늘은 함백산 및 오대산 지역과 비교하여 $A_1$, $C_1$ band가 없고, 대신 $C_3$ band가 나타나 유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함백산과 오대산 두 지역의 산마늘에 있어서는 함백산에 $A_4$ band가 하나 더 있을 뿐이어서 동위효소 GOT에 의한 변이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세 지역의 산마늘에 대한 유전적 변이에 있어 함백산과 오대산은 큰 차이가 없으나 이들 두 지역과 울릉도와는 변이의 폭이 크게 나타났다.

  • PDF

한국산 육산 달팽이 5 신종 및 3 신아종 (New Land Snails in Korea)

  • 권오길;이준상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1
    • /
    • 1991
  • Authors describe here five new species and three new subspecies of Korean Iand snail fauna. They are collected from the southern part of Korea including Ullungdo and Chejudo. The generic names of these new species and subspecies were discribed in the [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 ol.32 Mollusca(I)]. The newly recorded species and subspecies are as follows:Genus Diplommatina Benson, 1849 Subgenus Sinica Mollendorff, 1885 Diplommatina(Sinica) paxillus changensis n. subsp. Diplommatina(Sinica) chejuensis n. sp.Genus Arinia H. & A. Adams, 1856 Arinia chejuensis n. sp.Authors describe here five new species and three new subspecies of Korean Iand snail fauna. They are collected from the southern part of Korea including Ullungdo and Chejudo. The generic names of these new species and subspecies were discribed in the [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 ol.32 Mollusca(I)]. The newly recorded species and subspecies are as follows:Genus Diplommatina Benson, 1849 Subgenus Sinica Mollendorff, 1885 Diplommatina(Sinica) paxillus changensis n. subsp. Diplommatina(Sinica) chejuensis n. sp.Genus Cavernacmella Habe, 1942 cavernacmella coreana n. sp.Authors describe here five new species and three new subspecies of Korean Iand snail fauna. They are collected from the southern part of Korea including Ullungdo and Chejudo. The generic names of these new species and subspecies were discribed in the [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 ol.32 Mollusca(I)]. The newly recorded species and subspecies are as follows:Genus Diplommatina Benson, 1849 Subgenus Sinica Mollendorff, 1885 Diplommatina(Sinica) paxillus changensis n. subsp. Diplommatina(Sinica) chejuensis n. sp.Genus Mirus Albers, 1850 Mirus junensis n. sp.Genus Paganizaptyx Kuroda, 1945 Paganizaptyx miyanagai ullungdoensis. subsp.Authors describe here five new species and three new subspecies of Korean Iand snail fauna. They are collected from the southern part of Korea including Ullungdo and Chejudo. The generic names of these new species and subspecies were discribed in the [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 ol.32 Mollusca(I)]. The newly recorded species and subspecies are as follows:Genus Diplommatina Benson, 1849 Subgenus Sinica Mollendorff, 1885 Diplommatina(Sinica) paxillus changensis n. subsp. Diplommatina(Sinica) chejuensis n. sp.Genus Ratinella Shuttleworth, 1877 Retinella radiatula coreana n. subsp.Genus Sitalina Thiele, 1931 Sitalina chejuensis n. sp.

  • PDF

지리산과 울릉도에서 서식하는 박새 Song의 변이 (Song Variations of Great Tits Inhabiting Chirisan and Ullungdo)

  • Hahm, Kye-Hwang;Woon-Kee pae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2호
    • /
    • pp.213-222
    • /
    • 1994
  • Songs recorded in Chirisam(1990~1993) and $Ull\v{u}ngdo$(1992~1993) area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features and variances in songs of Great tit, Parus major. Songs of Great tits were identified, most of which were repetitions of phrases composed of high-frequency note and low-frequency note. The CV range of the Chirisan Great tit group was wider than that of the $Ull\v{u}ngdo$ area. ANOVA analysis level was highly significant (p<0.0001) for Chirisan area and $Ull\v{u}ngdo$ area. Inter-regional variance level was significant (p<0.05) in the maximum of low-frequency.

  • PDF

울릉도 성인봉과 태하령지역 산림식생의 분류에 관한 연구 -TWINSPAN과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중심으로- (Study on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of Songinbong and Taeharyong in Ullungdo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WINSPAN and Phytosociological Method-)

  • 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7-66
    • /
    • 2000
  • 본 연구는 울릉도의 성인봉과 태하령지역의 산림식생을 분류하기 위해 199년 7-8월에 36개소를 선정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TWINSPAN에 의하여 군락을 분류하였다 울릉도 산림의 종조성표에 의한 군락 분류결과 너도밤나무-섬노루귀 군락군으로 판명되었다 이 군락군은 다시 솔송나무-섬잣나무 군락, 참나도히초미-졸방제비꽃군락으로 크게 나뉘어졌으며 참나도히초미-졸방제비꽃군락은 다시 전형하위군락. 섬조릿대하위군락 일색고사리하위군락으로구분되었다 TWINSPAN에 의한 분류결과는 솔송나무-섬작나무군락 너도밤나무-섬조릭대군락 너도밤나무-일색고사리군락, 너도밤나무-큰두루미꽃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식물사회학적 군락 분류결과와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결과는 4개 군락으로 구분되는 일치성을 보이고 있어 두 방법에 의한 군락 분류방법은 상호 보완될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울릉도산 홍조 산호말과 식물 4종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Taxonomic Accounts on Four Species of Corallinaceae from Ullungdo Island, Korea)

  • 이인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4호
    • /
    • pp.453-458
    • /
    • 1994
  • 울릉도산 홍조 산호말과 식물 4종, Amphiroa beauvoisii Lamouroux, Jania yenoshimensis (Yendo) Silva 및 Corallina officinalis Linnaeus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S. maxima (Yendo) Silva는 본 연구를 통하여 처음으로 보고되는 한국산 미기록 식물이다. J. yenoshimensis (Yendo) Yendo는 형태적 특징이 기준표본의 기재와 잘 일치하였고, 외형적 특성에서 J. arborescens와 다소 유사하지만 식물체의 크기와 분지양상에서 뚜렷이 구분되었다. C. officinalis는 다수의 수세포층을 갖는다는 점을 제외하고 유럽산 식물과 형태적 특징이 일치하였다.

  • PDF

울릉도와 독도 근해해역의 이ㆍ화학적 특성과 광합성색소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Variation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hytoplanktonic Pigments in Coastal Sea Water from Ullungdo and Dokdo Islands)

  • 정지안;조은영;차재훈;김미경;김기태
    • 환경생물
    • /
    • 제18권4호
    • /
    • pp.425-440
    • /
    • 2000
  • 울릉도와 독도 근해 해수의 이화학적 특성과 광합성 색소의 변화를 5월, 6월, 8월과 11월에 울릉도 5개 정점, 6월, 8월과 11월에 독도의 3개 정점에서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수온은 수심에 따른 변화가 적었으며, 8월에는 수온 약층의 형성이 두드러졌고, 특징적으로 울릉도에서 11월의 표층수온(20.5$^{\circ}C$)이 기상의 기온(9.9$^{\circ}C$)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계절적 변화는 염분에서도 나타났으며, 5월에는 저온 고염 (15.4$^{\circ}C$, 34.4 psu), 11월에는 고온 저염(20.5$^{\circ}C$, 32.8 psu)의 표층수가 울릉도와 독도 근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소이온농도(pH)의 경우 전체적으로 변화가 없고(울릉도, 독도 : 7.7-8.4), 안정적이어서 육지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염류의 농도는 울릉도에서 질산염(울릉도 최고치 : 0.10-11.50$\mu\textrm{g}$/l, 8월; 독도 최고치: 2.92-8.10$\mu\textrm{g}$/l, 8월)과 암모늄 농도(울릉도 최고치 : 14.18-20.69$\mu\textrm{g}$/l, 11월 : 독도 최고치: 0-1.78$\mu\textrm{g}$/l, 6월)가 독도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엽록소 a의 농도는 8월에는 저층에서 높은 농도(울릉도 30m: 0.85$\mu\textrm{g}$/l : 독도 50m: 1.02$\mu\textrm{g}$/l) 를 보였으며, 5월, 6월과 11월에는 전층에서 고르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보면 8월의 수온 약층의 형성으로 인하여 식물플랑크톤의 개체군이 유광층내의 저층에서 높았고, 그 외의 계절에서는 복잡한 해류특성과 수층혼합으로 식물플랑크톤이 표층과 심수층에 고르게 분포한다고 간주된다.

  • PDF

울릉도와 제주도의 3 히드라충류 (자포동물류 : 히드라충류) (Three Hydroids (Cnidaria : Hydroida) from Ullngdo and Chejudo , Korea)

  • 박정희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4권1호
    • /
    • pp.57-66
    • /
    • 1988
  • 한국 해산 히드라충류의 분류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1973년부터 1987년까지 울릉도와 제주도에서 채집되어 이화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에 보관되어 있는 미동정 표본들을 동정 분류하였다. 그 결과 Cryptolaria pectinata (Allman, 1888), Modeeria rotunda (Quoy & Gaimard, 1817) 그리고 Thecocarpus myriophyllum orientalis Billard, 1908 가 한국 미기록종으로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