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V A-LED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4초

LED 광원 사용 시 line beam 형성을 위한 자유 곡면 bar type의 TIR lens 설계 (Design of a Bar-type TIR Lens Having a Freeform Surface for Forming a Line Beam Using an LED Light Source)

  • 서진희;이정수;김서영;정유진;박혜진;남득영;정미숙
    • 한국광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295-303
    • /
    • 2017
  • 본 논문은 UV LED를 이용한 line beam 형성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의 linear type UV LED 경화기 광학계는 여러 매의 cylindrical lens로 구성되어 있는데 추후 광학계의 align, 모듈의 대형화, 효율 등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문제점들의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서 cylindrical lens와 마찬가지로 Y축 방향에 대해서만 자유 곡면을 가지는 bar type의 TIR lens를 설계하여 최대조도, 조도 균일도, 광속 효율 등에서의 이점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380-nm Ultraviolet Light-Emitting Diodes with InGaN/AlGaN MQW Structure

  • Bae, Sung-Bum;Kim, Sung-Bok;Kim, Dong-Churl;Nam, Eun Soo;Lim, Sung-Mook;Son, Jeong-Hwan;Jo, Yi-Sang
    • ETRI Journal
    • /
    • 제35권4호
    • /
    • pp.566-570
    • /
    • 2013
  • In this paper, we demonstrate the capabilities of 380-nm ultraviolet (UV) light-emitting diodes (LEDs) using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The epi-structure of these LEDs consists of InGaN/AlGaN multiple quantum wells on a patterned sapphire substrate, and the devices are fabricated using a conventional LED process. The LEDs are packaged with a type of surface mount device with Al-metal. A UV LED can emit light at 383.3 nm, and its maximum output power is 118.4 mW at 350 mA.

LED광의 파장을 달리하여 재배한 새송이버섯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leurotus eryngii Cultivated with Different Wavelength of LED Lights)

  • 김도희;최혜진;조우식;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54-360
    • /
    • 2012
  • 새송이 버섯 재배에 효과적인 LED 광질을 구명하기 위하여, 청색광(450 nm), 적색광(650 nm), 녹색광(525 nm), UV-A(365 nm) 및 혼합광(청$^*$적, 청$^*$녹, 적$^*$녹, 청$^*$$^*$$^*$UV-A)의 LED광을 이용하여 재배한 새송이버섯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대조구의 광원으로는 관행재배에 이용되고 있는 형광등을 사용하였다. LED의 파장이 길어질수록 총 길이가 길어지는 경향이었으며, 중량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섬유소, 단백질 및 무기질의 함량은 높고, 조지방의 함량은 매우 낮았으며, LED광을 이용하여 재배한 모든 구에서 조섬유 함량의 증가가 나타났다. 경도를 측정한 결과, 갓은 전반적으로 대조구와 유사한 조직감을 나타내었고, 자루는 적색광, 녹색광, 적 녹 혼합광 및 UV-A의 조건 하에서 재배한 새송이버섯이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적색광, 녹색광 및 적 녹 혼합광 처리구의 갓이 밝은 계통의 색으로 대조구의 갓 색과 유사하였고, 자루의 길이 역시 대조구와 비슷한 수준으로 생장하였다. 밝은 계통의 갓을 가진 구는 자루도 밝은 경향이었으며, 자루의 색도 측정 결과도 갓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관능평가 결과 외관이 대조구와 흡사할수록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그 중 적색광 처리구가 선호경향이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UV-A 및 청색광을 포함한 나머지 처리구는 어두운 계통의 갓으로 표고버섯 수준의 색을 띄었으며, 신장이 억제되어 짧은 자루를 가진 새송이버섯이 재배되었다. 또한, 이상의 결과로 광질은 새송이버섯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새송이버섯 재배에 LED 기술을 접목시킬 때에는 적색광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책의 위생적 유통관리를 위한 세정 소독 방법 (Cleaning and Decontamination Method of Books for Their Sanitary Circulation)

  • 김남용;안덕순;최영일;정용배;김정민;이동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15
    • /
    • 2013
  • 도서관 등에서의 책의 위생적 유통과 관리를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하여 보관되는 책 및 관련된 환경 오염원에서의 미생물 오염도를 측정하였고, 미생물 부하를 저감시키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일반적으로 책 내부 표면의 오염도는 매우 낮으며 부주의한 취급으로 침 등과 같은 액체에 의해서 오염되는 경우에 미생물 부하가 증가될 수 있었다. 그리고 책 내부 표면에 비해서 먼지가 축적되기 쉬운 옆끝면에서 미생물 오염부하가 높았다. 책에서의 미생물적 오염의 다양성을 고려할 때, 책의 청결도 유지를 위한 조작으로서는, 미생물 부하가 많은 먼지 등의 건조 분체 오염은 공기와류 장치를 사용하고, 습윤상태의 오염은 280 nm UV LED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UV LED에 의한 미생물 사멸에서는 2 cm 정도의 가까운 거리에서 약 5분 정도 이상의 조사가 효과적이었고, 공기 와류에 의한 건조 분체 오염부하을 저감시키는 조건으로는 풍속 5.5 m/s에서 30초~1분의 처리가 적절하였다.

  • PDF

LED-UV 가교에 의한 UHMWPE 미세다공막의 열 안정성 향상 (Enhancement in the Thermal Stability of Microporous UHMWPE Membrane by LED-UV Crosslinking)

  • 김정환;장진호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31-238
    • /
    • 2023
  • Microporous gel films of 29 m were prepared by the gel drawing of UHMWPE/soybean oil blend (4:6, w/w) up to 800%. The stretched films containing the optimal photoinitiator concentration, depending on the film thickness, was cross-linked under 365 nm LED-UV irradiation and the oil was extracted with n-hexane, resulting in a gel fraction of 95 % or more. With the formation of the cross-linked structure, the melt-down temperature and melt-down elongation increased by 16 ℃ and by 63% respectively. Also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crosslinked UHMWPE was proved by the area shrinkage under the heat treatment decreased to 3.8 % compared to 17.4 % for the pristine film, and by the reductions in the combustion heat. The enhanced thermal stability of the crosslinked UHMWPE microporous membranes can be used for various industrial applications such as filters, electric vehicles and energy storage systems.

벤젠제거에 대한 광촉매 효율의 여기광원 의존성 (Excitation Light Source Dependence of Photo-catalytic Efficiency for Benzene Removal)

  • 최용석;김성진;한영헌;유순재;이은아;김학수;김송강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10-514
    • /
    • 2005
  • We have investigated the excitation-light source dependence of photo-catalytic efficiency for the benzene removal. The photo-catalytic module for the benzene removal is fabricated by a combination of GaN-based ultraviolet light-emitting diode (UV GaN-LED) and $TiO_2$ thin film coated on an aluminum plate. The benzene reduction rates of 365 nm and 375 nm modules at 60 mA junction current are approximately $8.95\;\%/Hr$ and $9.2\;\%/Hr$, respectively, which indicates that 365 nm GaN-LED is more effective than 375 nm GaN-LED. The benzene reduction efficiency is also noticeably dependent on the excitation wavelength and excitation-light power, as well as it is increased with the shorter wavelength and higher excitation power. This result exhibits that UV GaN-LED is useful to remove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existing in the environment.

UV-C를 이용한 광촉매 필터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otocatalyst filter design using UV-C)

  • 한상윤;강승민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276-28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기청정기의 극세필터(프로필터), 집진필터, 헤파(HA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필터, 탈취필터 등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필터의 구조를 분석하고 초미세먼지, 유해가스 및 살균 정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공기정화 필터 디자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기존 단계적 여과 필터 형태에 광촉매 필터 시스템을 추가하는 방법으로 연구하였으며, 광촉매 필터는 좌우측의 UV-LED 설치 프레임과 광촉매 코팅 허니컴(honeycomb)프레임 3단 결합구조의 디자인으로 제안했다. 광촉매 필터의 살균소독 효과에 대해서는 향후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공기청정기에 광촉매 필터 적용 및 구조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ITO 박막의 post-annealing을 통한 UV-LED의 전기적 특성과 광 추출 효율 향상

  • 강은규;권은희;이용탁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3회 하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351-352
    • /
    • 2012
  • UV LED에서 p-GaN층의 높은 일함수와 자체 면저항이 크기 때문에 current spreading layer인 ITO (indium tin oxide) 투명전극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높은 UV 파장대 투과율과 낮은 면 저항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RF magnetron sputter를 사용하여 ITO 투명전극을 glass(boro33)에 120 nm 두께로 증착하였다. 그 후 RTA (rapid thermal annealing)을 이용해 120초 동안 $600^{\circ}C$에서 Air, $N_2$ (15 sccm), vacuum 환경에서 열처리를 하여 UV-Vis-NIR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해 ITO 박막의 투과율을 측정하고, Hall measurement system을 이용하여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Fig. 1과 같이 열처리 환경에 따라 ITO 박막의 투과율이 변하고 또한 Table 1과 같이 전기적 특성도 변함을 알 수 있었다. Air 환경에서의 열처리는 reference 샘플과 비교 했을 때 400 nm 이하의 파장에서 투과율이 증가하였지만 400 nm 이상의 파장에서는 투과율이 낮아짐을 볼 수 있고, 면 저항 (Ohm/sq)은 오히려 reference (as deposited) 샘플과 비교하여 24 Ohm/sq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N_2$, vacuum 환경에서 열처리는 reference (as deposited) 샘플 보다 380 nm 파장대에서 16% 정도 높은 투과율을 보였고, 면저항 역시 2배 이상 낮아졌다. 둘 다 비슷한 투과율과 면저항을 나타내었지만 vacuum 환경이 좀 더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었고 반면에 $N_2$ 환경은 좀 더 낮은 면저항을 나타내었다. ITO 박막을 증착한 후 vacuum 환경에서 열처리를 통하여 제작된 UV-LED (중심 파장 380 nm)가 Fig. 2와 같이 입력 전류 450 mA에서 광출력이 46% 정도 향상 되었고 안정된 I-V 특성 보였다.

  • PDF

졸-겔법으로 제조된 Bismuth ferrite의 가시광 광촉매 특성 (Visible Light Photocatalytic Properties of Bismuth Ferrite Prepared By Sol-Gel Method)

  • 박병건;정경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8권3호
    • /
    • pp.486-492
    • /
    • 2020
  • 가시광 LED 빛에 반응하는 페로브스이트형 bismuth ferrite (BFO) 광촉매 제조방법과 가시광 광촉매 반응 특성을 조사하였다. BFO는 졸-겔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조된 BFO는 주로 BiFeO3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Bi24Fe2O39 구조도 포함한 나노 크기의 결정을 이루고 있었다. BFO 나노 결정은 약 600 nm까지 자외선과 가시광선을 흡수하는 것을 UV-visible 확산 반사 스펙트럼으로부터 확인하였다. 확산 반사 스펙트럼으로부터 구한 BFO의 밴드갭은 약 2.2 eV로 나타났다. 포름알데히드는 585 nm와 613 nm 파장의 가시광 LED 램프의 빛과 BFO 광촉매와의 광반응에 의하여 분해되어 제거되었다. BFO의 가시광 LED 빛에서 광촉매 활성은 BFO의 좁은 밴드갭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Quinine Assay with Home-Built UV-LED Fluorometer: Quantitative Analysis, Photo-Bleaching, Fluorescence Quenching, and Urine Analysis

  • Cheon, Tae-Min;Cheong, Byeong-Seo;Cho, Han-Gook;Kim, Jin-Hee;Kim, Kyoug-Soo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577-582
    • /
    • 2012
  • Quinine quantitative analysis, photo-bleaching, fluorescence quenching, and urine analysis have been performed by means of a UV-LED fluorometer, which can be easily built and used in a high-school laboratory. The quinine detection range is estimated to be 0.05-80 ppm, enough for many classroom luminescence experiments. The quinine content in commercial tonic water is determined from the calibration curve, and UV photo-bleaching of this anti-malarial drug is demonstrated with clear wavelength dependence. Halide quenching of quinine fluorescence is also observed and the increase in quenching efficiency in the order of $Cl^-$, $Br^-$, and $I^-$ is evident. Urine analyses for the student volunteers have been carried out and the results clearly reveal excretion of the ingested quinine. The student participants are exuberant throughout the course of this study and sense the practices resourcef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