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T-A1 urea transporter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흰쥐 콩팥에서 요소운반체-A의 발현: 미세구조적 면역세포화학법 (Expression of UT-A in Rat Kidney: Ultrastructural Immunocytochemistry)

  • 임선우;정주영;김완영;한기환;차정호;정진웅;김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2호
    • /
    • pp.91-105
    • /
    • 2002
  • 포유동물의 콩팥에서 오줌 농축기전에 중요한 요소(urea)의 이동에 관여하는 요소운반체 (urea transporter, UT)에는 요세관에서 발현되는 요소운반체인 UT-A와 적혈구에서 발현되는 요소운반체인 UT-B가 있다. 최근 UT-A에는 UT-A1, UT-A2, UT-A3, UT-A4, UT-A5 등 5종류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 연구에서는 콩팥내 요세관 세포에서 UT-A1, UT-A2 및 UT-A4를 표지하는 것으로 알려진 UT-A (L403)의 분포를 밝히고자 하였다. Sprague-Dawley계 흰쥐($200{\sim}250g$)의 콩팥을 대상으로 정상군, 탈수군(식수를 3일간 공급하지 않은 군) 및 수분과잉공급군(3%의 sucrose를 섞은 식수를 3일간 자유롭게 먹였다)의 3군으로 나누었다. 콩팥은 복대동맥을 통하여 2% paraformaldehyde-lysine-periodate (PLP) 또는 8% paraformaldehyde용액으로 10분간 관류 고정하였다. 콩팥조직절편은 UT-A에 대한 토끼 다클론항체를 이용하여 포매전면역염색법을 이용한 과산화효소법과 면역도금법을 시행한 후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흰쥐 콩팥에서 UT-A1은 속수질집합관의 세포질에 산재하여 분포하고 있었으며, UT-A2는 짧은-헨레고리의 내림가는부분 말단 1/2 부분의 상피세포(I형 세포)와 속수질 초기부분에 있는 긴-헨레고리의 내림가는부분 상피세포(II형 세포)의 세포막에 분포하고 있었다. 속수질집합관내 UT-A1은 탈수군에서는 감소하였으며, 수분과잉공급군에서는 증가하였다. 짧은-헨레고리의 내림가는부분에 있는 UT-A2는 탈수군과 수분과잉공급군 모두에서 증가하되 수분과잉공급군에서 더 증가하였다. 긴-헨레고리의 내림가는부분 중 속수질 초기부분에서 발현되는 UT-A2의 면역반응성은 탈수군에서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수분과잉공급군에서는 정상군에서처럼 약하게 발현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보아 흰쥐 콩팥에서 UT-A1은 속수질집합관의 세포질에 UT-A2는 짧은-헨레고리와 긴-헨레고리의 내림가는부분 상피세포의 세포막에 분포하고 있으며 서로 다른 기전에 의하여 조절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소변농축과 장력 스트레스에 대한 콩팥 수질 세포들의 적응 (Urine Concentration and the Adaptation of Renal Medullary Cells to Hypertonicity)

  • 김동언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1권2호
    • /
    • pp.145-151
    • /
    • 2007
  • Hypertonicity (hypernatremia) of extracellular fluid causes water movement out of cells, while hypotonicity(hyponatremia) causes water movement into cells, resulting in cellular shrinkage or cellular swelling, respectively. In most part of the body, the osmolality of extracellular fluid is maintained within narrow range($285-295 mOsm/kgH_2O$) and some deviations from this range are not problematic in most tissue of the body except brain. On the other hand, the osmolality in the human renal medulla fluctuates between 50 and $1,200 mOsm/kgH_2O$ in the process of urine dilution and concentration. The adaptation of renal medullary cells to the wide fluctuations in extracellular tonicity is crucial for the cell survival. This review will summarize the mechanisms of urine concentration and the adaptation of renal medullary cells to the hyper tonicity, which is mediated by TonEBP transcription factor and its target gene products(UT-A1 urea transporter et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