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 EVALUATION

검색결과 2,568건 처리시간 0.028초

SaMD에 대한 휴리스틱 기반 사용적합성 평가 가이드라인 개발 (Development of Guideline for Heuristic Based Usability Evaluation on SaMD)

  • 김종엽;김정현;김재호;정명진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428-442
    • /
    • 2023
  • In this study, we have a goal to develop usability evaluation guidelines for heuristic-base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oftware as a Medical Device (SaMD) in the medical field. We conducted a gap analysis between medical hardware (H/W) and non-medical software (S/W) based on ten heuristic principles. Through severity assessments, we identified 69 evaluation domains and 112 evaluation criteria aligned with the ten heuristic principles. Subsequently, we categorized each evaluation domain into five types, including user safety, data integrity, regulatory compliance, patient therapeutic effectiveness, and user convenience. We proposed usability evaluation guidelines that apply the newly derived heuristic-based Software as a Medical Device (SaMD) evaluation factors to the risk management process. In the discussion, we also have proposed the potential ap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judicious application of AI technology in the medical field and the evaluation of usability evaluation and offered valuable guidelines for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medical device manufacturers,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regulatory authorities.

QUEST 2.0의 한국어 번안 및 심리측정학적 특징 (Korean Translation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Assistive Technology 2.0)

  • 이상헌;정봉근;박소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284-3292
    • /
    • 2013
  • 본 연구는 보조공학기기(보조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만족도 측정도구인 QUEST 2.0(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Assistive Technology 2.0)을 한국어로 번안 후 심리측정학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한국어 번안과정은 6단계로 진행되었다. 내적일치도는 Cronbach's ${\alph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스피어만 순위 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QUEST는 보조기구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8개 항목과 보조기구 서비스 영역을 알아보기 위한 4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영역의 내적일치도는 '보조기구' 영역에서는 .88, '보조기구 서비스' 영역에서는 .93으로 나타났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에서 보조기구 및 보조기구 서비스의 상관계수는 각각 .64와 .66으로 유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측정 결과의 안정성, 일관성, 예측가능성을 반영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한국어로 번역된 K-QUEST 2.0은 보조공학서비스 수혜자의 만족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환경의 전문도서관 서비스 품질과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평가 (Evaluation of Specialized Library Service Quality and User Satisfac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 이명희;백현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43-361
    • /
    • 2014
  •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에서 전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평가와 이용자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정부출연 연구소 이용자를 인문사회분야와 과학기술분야로 나누어 '서비스 품질', '공간 품질', '정보 품질'과 '이용자 만족도'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지를 7개의 가설을 가지고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서비스 품질'에서 사서의 능력과 자질이, '공간 품질'에서 도서관 홈페이지 공간이, '정보 품질'에서는 정보의 정확성과 유용성이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제언으로 전문도서관 사서의 서비스 품질 향상 및 전문교육의 필요성, 사서의 헌신성, 자발성, 태도에 대한 소양교육의 필요성, 차별화되고 특성화된 고품질 정보의 제공, 홈페이지 접근 편리화로 다양한 컨텐츠와 자료검색 지원기능 강화를 제안하였다.

여성위생용품 형태 및 사이즈 분석과 사용성 평가 (Analysis on the Shape and Size of Sanitary Pads and User Experience Evaluation)

  • 김연수;김수정;이수진;김동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85-498
    • /
    • 2020
  • Sanitary pads are used with for the sanitization of menstruation bleeding. In this research, twenty medium size disposable sanitary pads were selected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brands in order to analyze their shape and size. Additionally, 6 sanitary pads were selected among the 20, and user experience evaluations were completed. The analysis on the shape of the 20 sanitary pads showed that straight-shape pads existed more than curved-shape pads. The means of total pad length, wing length, wing width, front pad width, back pad width, front pad length, and back pad length were 24.5 cm, 8.8 cm, 3.0 cm, 10.0 cm, 10.2 cm, 11.6 cm, and 13.0 cm, respectively. All selected pads were medium size; however, detailed sizes varied between brands. Eighty-one women participated on user experience evaluation. Participants felt that brand F was the longest and brand D the shortest. The results matched with the results on actual pad length measurement. Participants evaluated the fit of brand E most positively and fit of brand A most negatively. The current study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for developing disposable sanitary pads.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정보 가전 OSD의 사용성 평가 (Usability Evaluation of Informative Home Appliances OSD based on Conjoint Analysis)

  • 박정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53-63
    • /
    • 2002
  • 최근 전자기술의 발달과 함께 제품들이 인간의 지적 측면을 지원하는 스마트한 제품으로 변하면서 OSD는 이런 제품의 입출력을 담당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본체의 외형 못지 않게 제품개발의 핵심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특히 영상기기와 정보기기의 경우 그 중요성은 더 커진다. 이런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하드웨어 본체에 탑재하는 부속물로서 취급되어 많은 검증과 평가를 통해 개발되는 하드웨어 본체에 비하여 단순하고 개별적인 사용성평가만을 통해 개발되고 있다. 즉 얼마나 빨리 주어진 기능을 수행하는지 사용하는데 애로는 없는지 등 개별적인 속성에 대한 수행도 위주의 사용성평가에 그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수행도 위주의 사용성평가에서 탈피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주관적 선호도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입장에서 중요한 속성은 무엇이며 또 그러한 속성의 각 수준에 사용자가 부여하는 가치는 어느 정도인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제 제품을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환경 하에서 사용하게 한 후 선호도를 측정하였으며 컨조인트분석에 의하여 각 속성의 중요도 및 각 수준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사용성평가 및 분석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프로세스의 최종단계로서 진행되는 것이 아닌 초기단계부터 그 방법과 내용, 또 어떻게 디자인에 피드백할 것인가 등을 계획하여 반복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 PDF

연속류 도로 VMS의 이용자를 고려한 정보제공수준 평가 (Evaluating Level of Information Provided According to User Satisfaction of VMS on the Continuous Traffic Flow)

  • 신소영;이수범;임준범;홍지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9-58
    • /
    • 2011
  • ITS 사업의 일환으로 교통정보 제공시스템이 점점 확대되어 다양한 매체를 통해 운전자에게 정보전달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ITS 시스템의 구축은 어느 정도 이루어졌으며, 이제는 시스템의 효과적인 운영과 관리를 위한 평가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VMS 교통정보제공시스템에 초점을 맞추어 이에 대한 효과적인 평가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시스템이 가지는 여러 가지 편익항목들 중에서 이용자의 심리적 만족감 측면에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보제공수준과 이용자 만족도의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연속류 도로는 진출입이 매우 제한적인 도로이기 때문에, VMS 교통정보는 운전자들이 의사결정을 하는데 매우 큰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 중심에서 VMS 정보제공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평가는 물론, 시스템의 확대나 구축의 목표 서비스수준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보완하여 시스템의 개별적인 특성과 VMS의 다양한 기능을 함께 고려한다면 좀 더 체계적인 평가방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유러닝 곤충관찰학습에 있어서 유사곤충 추론검색기법의 사용자 만족도 분석 (User Satisfaction Analysis on Similarity-based Inference Insect Search Method in u-Learning Insect Observation using Smart Phone)

  • 전응섭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03-213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곤충 종의 외관구조인 머리, 몸통, 날개, 다리에 대한 관찰자의 일반적이고 수평적인 관찰특성에 따라 자유롭게 곤충 종을 관찰함으로써 관찰 곤충 검색엔진에서의 사용자 만족도 제고와 보다 효율적인 관찰학습의 방법을 제안한다. 자연생태 환경에서 초보 학습자의 효율적인 관찰검색과 효과적 학습을 위해서는 생물학적 분류체계가 아닌 곤충 종의 외관구조 즉, 외부 신체구조의 모양과 특성 중심의 곤충관찰 기반의 검색(Insect Search by Observation based on Insect Appearance: ISOIA)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곤충의 외관구조인 머리, 몸통, 날개, 다리에 대한 관찰자의 일반적인 관찰방법에 따른ISOIA 검색방식을 제안하고, 기존의 ISBC와 ISOBC 검색체계에 대한 사용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ISOIA 검색 방안이 우수함을 보이고자 한다.

조종적성 검사/연구 장비 운용 Console의 인간공학적 개선 (Ergonomic Improvement of Operation Console for Pilot Aptitude Research Equipment)

  • 김성호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2-49
    • /
    • 2018
  • Pilot Aptitude Research Equipment (PARE) is a simulator developed to measure or research pilot aptitude and train for student pilots. Design of an ergonomic PARE operation console is required to operate the equipment effectively. This study carried out five steps : (S1) operator questionnaire survey, (S2) anthropometric design formula development, (S3) usability evaluation, (S4) improvement design, and (S5) validation considering both Physical User Interface (PUI) and Graphic User Interface (GUI) of PARE operation console. The operator questionnaire surveyed needs for each PUI and GUI part of the console from two PARE actual operators. In terms of PUI, the anthropometric design formula was developed by using design variables, body dimensions, target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reference posture related to the PARE console. In terms of GUI, the usability evaluation was conducted by three usability testing experts with a 7-point scale (1 : very low, 4 : neutral, 7 : very high) on GUI of the PARE operation console by seven usability criteria. The improved PARE operation console was designed to reflect the optimal values of design variables calculated from design formula, the results from usability testing, and the operator's needs. The improvement effect was observed by 20 people who had experience with the PARE operation console. As a result of the validation, monitor visibility and cockpit visibility for the improved PUI design and visibility and efficiency for the improved GUI desig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more than 90% respectively. The improved design of the PARE operation console i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enhance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PAR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V-Catch Vision System

  • Kim, Dong Keun;Cho, Yongjoo;Park, Kyoung Sh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45-52
    • /
    • 2022
  • 체감형 스포츠 게임은 센서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추적하고 현실감을 느끼게 하는 운동 게임이다. 최근 체감형 스포츠 게임을 학교 체육활동에 사용하기 위해 가상현실 실내 스포츠룸 시스템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주로 화면 터치 사용자 상호작용을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벽 터치 인터랙션이 아닌 3차원 공간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도록 AI 이미지 인식 기술을 사용하는 브이캐치 비전 시스템을 개발했다. 그리고 본 시스템의 운동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성 평가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에서 피험자에게 혈중 산소 포화도와 실시간 심박변이와 키넥트 골격 이동량, 각도 변화량을 측정하여 정량적 운동 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브이캐치 비젼 시스템 사용 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심박수 증가와 신체 움직임양 증가로 운동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후 설문조사 주관적 평가 결과에서 대부분의 피실험자들은 이 시스템을 사용한 운동이 재미있고 만족스러워했다.

가속도 기반 자율주행 패턴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평가 연구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Evaluation of Acceleration-Based Automated Driving Patterns)

  • 황순천;이동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284-298
    • /
    • 2023
  • 자율주행 기술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자율주행 기술을 직·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대중에게 제공되고 있지만, 이용자 관점에서 편안한 승차감을 기대할 수 있는 선호하는 자율주행 패턴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주행 시뮬레이터와 자율주행이 가능한 실험차를 활용하여 종·횡방향 가속도에 대한 이용자 측면 만족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주행 실험을 통하여 도출한 5가지 종·횡방향 가속도 값을 활용하여 자율주행 패턴을 가상환경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하였으며, 그 중 3가지 값에 대해서는 실차 기반 자율주행으로 구현하여 만족도 및 불안감 수준 평가실험을 추가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 참가자들은 종방향 가속도에 비하여 횡방향 가속도에 더 민감한 평가를 하였으며, 불안감 수준도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용자 측면 자율주행 패턴 평가연구 필요성과, 시뮬레이터 기반 평가방법의 적정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