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L Spoofing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URL 스푸핑을 이용한 피싱 공격의 방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ishing Attack Protection using RUL Spoofing)

  • 민동옥;손태식;문종섭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5-45
    • /
    • 2005
  • 최근 증가하고 있는 피싱 공격은 사용자의 실수를 유발해 개인정보를 공격자에게 노출시켜 공격자가 경제적 이득을 취하는 공격이다 유사 메일이나 유사 주소로 사용자를 속이던 이 기법은, 메일주소 위조, 도메인 주소 위조 등으로 점점 다양해지며 기술적으로 발전해 왔다. 최근에 이르러서는 몇몇 웹 브라우저에서 발생한 취약점, 정상적인 스크립트, HTML, DNS 스니핑 등을 이용한 RUL 스푸핑 공격을 피싱 공격에 이용하면서 그 피해가 크게 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피싱 공격에 사용되는 고도화된 기법인 URL 스푸핑을 이용한 피싱 공격에 대해서 논의하고 이에 대한 검사방법과 예방책, 더 나아가 피싱 공격을 근본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스킴을 제안한다.

인터넷 트래픽 제어에 관한 연구: IP 주소 위조 기법을 사용한 유해 정보 차단 시스템 (A Study ou Iuternet Traffic Coutrol: Blockiug of harmful information based on IP spoofing)

  • 백선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447-453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유해한 사이트에 접근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해하는 새로운 유해 정보 차단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차단 서버 시스템은 설치된 망의 외부로 전송되는 모든 트래픽의 URL 정보를 감시하다가 외부의 유해한 사이트에 접속을 시도하는 내부 사용자를 발견하면 마치 유해 사이트로부터의 응답인 것처럼 위조된 TCP RST 세그먼트를 그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사용자가 스스로 접속을 포기하도록 유도하는 IP 주소 위조(IP spoofing)기술을 사용하였다. 본 차단 시스템은 망 내부의 각 사용자 시스템에는 유해 정보 차단과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서버에만 설치하면 되므로 쉽게 설치 및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 또한, 정상적인 트래픽 흐름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IP spoofing 기법에 기반하고 있으므로 정상적인 접속요청도 방해하는 해킹 도구로 악용될 수 도 있는데, 이러한 가능성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제안하였다.

  • PDF

HTTP Outbound Traffic 감시를 통한 웹 공격의 효율적 탐지 기법 (An Efficient Detecting Scheme of Web-based Attacks through Monitoring HTTP Outbound Traffics)

  • 최병하;최승교;조경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25-132
    • /
    • 2011
  • 웹 기반 공격에 대한 대응책으로 계층적 웹 보안 시스템이 있지만 다양한 혼합 및 우회 공격에는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웹 공격에 의해 발생하는 악성코드 유포, XSS, 웹쉘 생성, URL Spoofing, 개인 정보유출 등의 증상을 HTTP outbound traffic의 감시를 통해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효율적인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다양한 웹 공격에 의해 생성되는 HTML 태그와 Javascript 코드를 분석하여 설정한 시그너처를 outbound traffic과 비교 검색하여 웹 공격을 탐지한다. 실제 침입 환경에서의 검증 분석을 통해, 계층적 보안 시스템과 결합된 제안기법이 우회된 웹 공격에 대한 탐지능력이 탁월함을 보인다.

DNS 스푸핑을 이용한 파밍 공격 방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arming Attack Protection using DNS Spoofing)

  • 박정혁;안성환;박민우;정태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55-658
    • /
    • 2013
  • 최근 피싱의 한 유형으로 등장한 파밍은 웹 사이트를 위조하여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공격이다. 신뢰받는 기관(금융, 정부 등)의 사이트로 위장하여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방식은 같으나 차이점은 피싱의 경우 유사 도메인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가 주의를 기울이면 공격을 피할 수 있다. 하지만, 파밍의 경우 DNS 스푸핑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정확한 도메인주소(URL)를 입력 하더라도 공격자가 미리 만들어둔 위장 웹 서버로 접속이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주의 깊게 살펴보아도 공격을 인지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파밍 공격에 사용되는 DNS 스푸핑에 대해 논의하고 파밍 탐지기법에 대해 소개한다. 궁극적으로는 파밍 탐지기법들을 비교 및 분석한 후 실제 구현을 위해서 극복해야 할 한계점을 알아본다.

인터넷 통신상에서 자바 바이트 코드 수정을 이용한 애플릿 제어 (Applet Control using Java Bytecode Modification on the Internet Communication)

  • 김광준;나상동;배용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90-99
    • /
    • 2003
  • 인터넷을 통한 웹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자바 애플릿은 클라이언트 브라우저의 가상 머시인에 실행 하였다. 자바 애플릿을 실행하기 전에 자바 가상 머시인은 bytecode 수정자를 이용하여 bytecode 프로그램을 검색하며 해석기를 이용하여 실행시간 테스트를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테스트들은 서비스 거부 공격, 이메일 위조 공격, URL 추적 공격 또는 지속적인 사운드 공격과 같은 원하지 않는 실행시간 동작을 예방 할 수는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애플릿을 보호하기 위해 자바 바이트 코드 수정 기술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기술은 검사를 수행할 적절한 바이트 코드를 삽입함으로서 애플릿의 동작을 제한한다. 자바 바이트 수정은 두 개의 일반적인 형태로 분류되며, 클래스 레벨 수정은 마지막 클래스 아닌 서브클래스를 포함하고 메소드 레벨 수정은 마지막 클래스 또는 인터페이스로부터 객체를 제어할 때 사용된다. 본 논문은 악성 애플릿들이 프록시 서버를 이용한 자바 바이트 코드 수정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구현은 웹 서버, JVM, 웹 브라우저상에서 어떠한 변화도 요구하지 않는다.

자바 바이트 코드를 이용한 인터넷 통신의 애플릿 제어 (A Study on Applet Control on the Internet Communication using Java Bytecode)

  • 김문환;나상동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5C호
    • /
    • pp.523-531
    • /
    • 2003
  • 웹 브라우저에서 자바 애플릿 파일은 시스템의 가상머신에 의해 클라이언트 브라우저의 가상 머시인을 실행한다 자바애플릿을 실행하기 전에 자바 가상머신은 bytecode 수정자를 이용하여 bytecode 프로그램을 검색하며 해석기를 이용하여 실시간 테스트를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테스트들은 서비스 거부공격, 이메일 위조 공격 URL 추적공격 또는 지속적인 사운드 공격과 같은 원하지 않은 실행시간 동작을 예방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애플릿을 보호하기 위해 자바바이트 코드 수정기술이 사용한다 수정기술은 검사를 수행할 적절한 바이트코트를 삽입함으로서 애플릿 동작을 제안한다. 자바 바이트 수정은 두 개의 형태고 분류되며 클래스 레벨 수정은 마지막 크레스가 아닌 서브크레스를 포함하기 때문에 메소드 레벨수정은 마지막 클래스 아닌 서브크레스를 포함한다. 메소드 레벨 수정은 마지막 클래스 또는 인터페이스로부터 객체들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악성 애플릿들이 프록시 서버를 이용한 자바 바이트 코트 수정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나타냈으며 이러한 구현은 웹 서버, JVM, 웹 브라우저상에서 악성 애플릿들의 공격이 제어됨을 입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