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UI디자인

Search Result 28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Performance of Manipulation Based on Convergence Found For Mobile Interface usability (디지털 컨버전스에 따른 모바일 인터페이스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조작방식에 관한 연구-PUI와 GUI의 일관성 분석을 중심으로-)

  • Chang, Yoon-Je;Park, Seung-H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14-19
    • /
    • 2006
  • 최근 컨버전스 현상이 가속화 됨에 따라 모바일의 다양한 기능이 휴대 가능한 하나의 단말기에 통합되는 흐름을 보여준다. 이에 휴대형 통합단말은 항상 네트워크에 연결됨으로써 개인적인 종합 미디어로서 가능할 수 있게 되었다. 디지털 미디어, 특히 이용자의 개성과 능동성이 강조된 퍼스널 미디어에서는 인터페이스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된다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기능이 고도화, 복합화 됨에 따라 매체의 기술적 제약사항보다는 사용자의 필요가 우선 고려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사용하기 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는 문제가 더욱 중요시 되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기능의 고도화, 복합화에 따라 기능이란 요소를 가지고 사용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모바일 인터페이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Flower card puzzle game system use internet and flower card puzzle game (인터넷을 이용한 화투패 퍼즐게임 시스템 및 그 화투패 퍼즐게임 방법)

  • Seo, Min-Cheol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118-124
    • /
    • 2006
  • 현재 온라인 게임 시장은 매년 성장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기존의 MMORPG 나 ACTION, STRATEGY SIMULATION 등과 같은 게임시장과는 별개적으로 차별화 되고 보편화 된 게임 유저층을 가진 캐주얼 게임 시장이 전체 게임 시장 속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면서 자리매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의 차별화 된 캐주얼 게임이 제작되지 않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논문은 고스톱 게임으로 대표되는 기존의 카드 게임이 가진 룰과 게임 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기존의 고스톱 게임과 변별되는 새로운 형태의, 화투패를 이용한 퍼즐게임을 캐주얼 게임이 캐주얼 게임이 갖추어야 할 게임 디자인 요소와 새로운 게임을 만들어 내는 게임 디자인 개발 방법을 사용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 PDF

Stragery UX design on Mobile learning (모바일 러닝에서 학습자 중심의 UX디자인 설계전략)

  • Choi, Eun-young;Song, Ye-R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05a
    • /
    • pp.210-212
    • /
    • 2017
  • A design which would let its users optimize their learning experiences accordingly to the diversification of learning platforms is needed. Especially with the expansion of mobile learning, a heuristic evaluation was used to evaluate the usability in order to provide learners with various learning methods and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a mobile possesses. Therefore, we could conclude that systematic factors like information display, intuitiveness and conciseness d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users' attitudes.

  • PDF

Software Design Framework for Content Creation (콘텐츠 제작을 위한 소프트웨어 디자인 프레임워크)

  • Oh, Jung-Min;Moon, Nammee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2 no.11
    • /
    • pp.815-822
    • /
    • 2013
  • Nowadays, the various kind of software packages that support content creation consumed in touch-type terminals as an application have come into the market. These softwares have a different style of user task compare to existing user task. The reason why difference style has been appeared for now is because interaction timing has a important role of both content creation and consumption. For this reas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software UI design framework for content creation using MB-UID and UCD model based on task modeling. The proposed framework is made up of five steps: business rule model, creation role model, creation flow model, creation action model, presentation model. Through this framework, we handle the interaction between a content creator and software user interface at the content creation phase. At the same time, we consider a possible interaction type which can occur by consumers at the consumption phase in advance.

Multi - Modal Interface Design for Non - Touch Gesture Based 3D Sculpting Task (비접촉식 제스처 기반 3D 조형 태스크를 위한 다중 모달리티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 Son, Minji;Yoo, Seung Hun
    • Design Convergence Study
    • /
    • v.16 no.5
    • /
    • pp.177-190
    • /
    • 2017
  • This research aims to suggest a multimodal non-touch gesture interface design to improve the usability of 3D sculpting task. The task and procedure of design sculpting of users were analyzed across multiple circumstances from the physical sculpting to computer software. The optimal body posture, design process, work environment, gesture-task relationship, the combination of natural hand gesture and arm movement of designers were defined. The preliminary non-touch 3D S/W were also observed and natural gesture interaction, visual metaphor of UI and affordance for behavior guide were also designed. The prototype of gesture based 3D sculpting system were developed for validation of intuitiveness and learnability in comparison to the current S/W. The suggested gestures were proved with higher performance as a result in terms of understandability, memorability and error rate. Result of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gesture interface design for productivity system should reflect the natural experience of users in previous work domain and provide appropriate visual - behavioral metaphor.

A Development of Design database structure and Database Application System applicable for design Foundation Courses. (디자인 데이터베이스 체계구축 및 운용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교육을 중심으로-)

  • 이종호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2 no.4
    • /
    • pp.283-292
    • /
    • 1999
  • As network and multimedia service has increased in educational environment, it is needed to study on digital system based educational scenarios, especially in art and design departments in which visual educational materials mainly used.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ree objectives: first, developing components of design database and their classification system, second, developing contents of database for fundamental form education in design, and third, developing application method of database. According to these objectives, the secondary research was implemented into two directions; the analysis of classification categories of design, and the analysis of contents and process of fundamental form design education. From the secondary research, it was found that design database should have a flexible structure with flexible components as well as fixed components to include subjective and aesthetic assessment. In the end, the application methods and user interface system of design database was developed based on design educational scenarios.

  • PDF

The Study on the Physical Transition of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for Home (가정용 통합형 리모콘의 피지컬 트랜지션에 관한 연구)

  • Kang, Mi-Ryoung;Yoo, Yeon-Si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241-248
    • /
    • 2007
  • 가정용 통합형 리모콘에 관한 연구의 중간 점검 결과 5 가지 디자인 요소를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 선행 연구를 통해 조작대상 기기의 변환 제어에 관한 요소의 중요성이 인식되어 이에 관한 좀 더 심도있는 분석과 연구를 진행한 것이다. 먼저 가정용 통합형 리모콘의 사용상황을 3 가지 (C1, C2, C3)로 분류하고 물리적이고 직관적으로 기기를 사용하는 C1 조작 상황을 연구의 범위로 제한하였다. C1 조작 상황에서 통합형 리모콘으로 기기를 변환,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피지컬 트랜지션을 연구의 대상으로 정하였다. 피지컬 트랜지션 연구를 위해 현재 출시된 통합형 리모콘의 기기 변환, 제어 사례 연구와 조작 대상 기기의 특정을 분석하여 통합형 리모콘의 사례연구를 통해 기기 변환, 제어 방법을 4가지로 정리해 보았다. 또한 조작 대상 기기를 조작 상황인지를 위한 디스플레이 요소, 작동방식 (ON/OFF, OPEN/CLOSE), 사용빈도 등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하고 이 3 가지 종류의 조작 방식을 사용할 때, 어떻게 대상기기에 맞게 전환하여 사용할 것인지, 사용자가 어떻게 이 방법에 접근할 수 있는지에 관한 피지컬 트랜지션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피지컬 트랜지션 아이디어는 현재 출시된 통합형 리모콘의 추출 연구 및 조작 대상 기기의 사용 특성 분류 연구 아이디어 도출 연구 일반 제품의 인터페이스 연구관련 유사 사례 연구를 통해 대안을 개발 제시 하였다. 본 연구는 통합형 리모콘 디자인에서 조작 방식 전환을 위한 디자인 개발 시에 유용하게 쓰여 질 것이라고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Mobile Phone GUI Designs as the analysis on Trends and User's Sensibility for Female Users in 20s (20대 여성 사용자 감성 및 트렌드 분석을 통한 휴대폰 GUI연구)

  • Chang, Dong-Hoon;Hong, Tai-Wha;Hong, Joo-Hee;Choi, Soo-Ji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499-504
    • /
    • 2006
  • 본 연구는 사회 트렌드 변화에 따른 적응 속도가 빠르고 소비 또한 타 계층에 비해서 매우 높은 지수로 구성된 20대 여성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들의 다양한 감성 니즈를 파악하고 현 시점에서의 트렌드 분석을 통해 그들의 요구와 취향이 적절하게 반영된 휴대폰 GUI디자인을 대기화면을 중심으로 제시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사용자 감성 니즈 분석을 위해 FGI 기법을 사용하였고, 트렌드 분석을 위해서는 Town Watching과 잡지 및 웹사이트 분석을 통하여 감성형용사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형용사간의 상관치와 의미에 따라 상대축을 설정하여 공간을 설정하고 공간 위에 각 형용사와 이미지를 배열하여 감성형용사 공간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감성평가 결과에 FGI를 통해 구분한 사용자의 감성 니즈 분류를 기초로 하여 3가지의 감성테마로 분류를 하였다. 분류 기준은 사용자들이 원하는 휴대폰 이미지와 트랜드 분석을 하여 얻은 형용사를 비교하여 그룹핑하였다. 분류된 그룹에 해당하는 테마명을 지정해주었고 그에 맞는 휴대폰 GUI 디자인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시장세분화 경향에 따라 특정 사용자 층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시점에서 20대 여성이라는 특정 사용자층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디자인을 이끌어내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 A study on Game design with minimized game addiction by application of Bio rhythm > (< 게임중독의 최소화를 위한 인체리듬의 적용과 인터페이스 디자인 >)

  • Kim, Du-Beom;Cho, Ok-Hue;Kim, Hyung-Gi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597-601
    • /
    • 2006
  • 게임 시장 규모는 하루가 다르게 성장 하고 있고 게임의 종류 또한 다양해지고 유저층도 넓어지고 있다. 그로 인한 새로운 하나의 여가문화가 생겼으며, 미디어 산업의 고부가 가치 창출을 이끌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재미로써의 기능과 그에 따른 병폐가 고부가가치 게임산업의 많은 부작용으로 대두되며, 최근 사회의 이슈가 되여 게임 중독성이 날로 심각해 지고 있는 실정이다. 게임 개발업체와 판매자 입장에선 유저들의 게임중독은 오히려 이득이 될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 될 것이다. 이런 사태를 미연에 방지 하기 위해서는 대책이 필요한데 불행히도 게임에 중독 되는 원인은 너무나도 다양하다. 또한 현재 게임 개발자들에게 이러한 인식과 대책이 미흡한 실정이고, 뒤늦게 나온 대책으로 청소년 PC방 출입을 아침9시부터 밤 10시까지로 제한한 사례도 있지만 현 실정에 큰 영향은 주지 못하고 있다. 게임 중독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법적인 제제가 필요하며, 게임 디자인에 시작에서부터 중독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게임의 중독성을 방지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가상에서의 자신의 얼굴 ID나 캐릭터에 인체의 리듬을 적용하여 ID나 캐릭터도 쉬어야 한다는 개념을 심는 대안 시스템을 제작한다면 지금 까지 보아왔던 게임 속의 등장 캐릭터를 단순한 그래픽이 아닌 자신과 같은 인격체로 느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게임의 몰입과 중독에 어떠한 효과가 나타나는지 분석하고 나온 결과를 근거로 인간에게 이로운 게임을 만드는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 PDF

A Study on the Personalized Smart Home Health-Care IoT Service Design (개인맞춤형 스마트 홈 헬스케어 IoT 서비스디자인 연구: LH 스마트 홈 헬스케어 플랫폼 사례분석 중심으로)

  • Ui Jeong, Park;Jae Boong, Choi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 /
    • v.21 no.6
    • /
    • pp.21-37
    • /
    • 2022
  •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medical care follow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edical paradigm is shifting towards patient-centered medical service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smart home technology,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s changing into a residential space that cares for and heals the lifestyles and the healthcare of families. As lifestyle changes, the concept of supporting smart home care based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s making it possible to build a smart home IoT service design with enhanced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for medical appointments and well-being lifestyle care. This paper is a study on user-centered health care smart home IoT service design suitable for family members based on the health care, beauty care, exercise care, and customized diet care beyond the conventional concept of health care monitoring. Based on the analysis, this paper proposes a personal care coordinate smart home service design in a human-centered wellness clinic care smart home service design environment. Human-centered wellness clinic smart home IoT service design is meaningful in presenting a vision for research on smart home service design that links hospital-linked and care-linked service industries, which should be considered from the smart home construction planning s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