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Construction

검색결과 1,152건 처리시간 0.029초

측정지표에 따른 건설생산성 비교 - 한국, 미국, 영국, 일본(1995-2015) - (A Comparative Study on Construction Productivity Trends as Analyzed by Various Measures - South Korea, the U.S., the U.K., and Japan (1995-2015) -)

  • 이치주;이강;원종성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5권4호
    • /
    • pp.175-184
    • /
    • 2019
  • To improve productivity in the architecture, construction and engineering industry,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both current and historic trends in construction productivity.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construction productivity trends of South Korea, the U.S., the U.K., and Japan 1995 to 2015 using the following three measures: construction labor productivity, construction duration per floor, and construction duration per 1,000 m2 floor area. As the results,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each country varied according to which measures were used to analyze them. Among the four countries, the construction labor productivity of the U.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at of South Korea. South Korea also had the second highest productivity growth rate, following that of Japan. On the other hand, when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on duration,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in South Korea appeared relatively lower than those of other countrie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ocation of construction competitiveness of each country analyzed by various measures. Therefore, to accurately diagnose and improve the construction competitiveness in South Korea, strategies based on various measures are need to established simultaneously.

u-City서비스.기술.기반시설의 연계성 확보방안 (Study on the Relationship Establishment among u-City Service, Technology and Infrastructure)

  • 조춘만;김정훈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287-299
    • /
    • 2009
  • U-City의 계획, 건설 및 개발 후 운영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유비쿼터스도시의건설등에관한법률(이하 u-City 법) 이 제정 공포되었다(2008.3.28). 본 법률을 근거로 한 국가주도 u-City도입의 궁극적 목표는 이미 선진국 궤도에 근접한 우리나라의 IT, 공간정보인프라를 적극 활용한 도시공간 이용 및 관리의 첨단화에 있다고 하겠다. 법에 의한 u-City의 정의는 물리적 도시기반시설에 u-City기술을 적용하여 u-City기반시설 화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u-City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시로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현 법규정의 가장 핵심개념에 해당하는 u-City서비스, 기술 및 기반시설과 이들의 상호관계의 상세 정도로는 각 지자체의 특성과 역량에 맞는 도시기반시설지능화 및 이를 통한 u-City서비스 제공 등의 가이드 효과를 충분히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정적이고 만족도 높은 u-City서비스의 계획, 구축 및 운영관리를 위한 법제도 정비의 핵심사안의 하나로서 서비스-기술-기반시설간 상호관계 정립의 기본방향 및 추진전략을 제시하는데 있다.

  • PDF

U-Eco City 구축 가이드라인 프레임워크 개발 (Framework Development for the U-Eco City Construction Guideline)

  • 강영옥;피민희;조아라;이주연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85-93
    • /
    • 2010
  • 현재 유비쿼터스 도시개발과 관련한 사업계획 수립이나 설계과정은 사업수행자의 역량에 따라 과정이나 고려사항이 다양하고 체계화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며, 지방자치단체는 유비쿼터스 도시 개발 과정에서 고려해야할 요소들이 제대로 분석되지 않아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다. U-Eco City 구축 가이드라인은 유비쿼터스 도시개발의 전 과정과 U-Eco City R&D 사업의 성과물을 체계화하여 지방자치단체 및 사업수행자가 활용할 수 있는 지침서 작성을 목적으로 한다. 본격적인 U-Eco City 구축 가이드라인의 개발에 앞서 본 연구에서는 U-Eco City 구축의 세부단계별 과정 및 핵심고려사항을 체계화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레임워크는 관련단계에서 수행해야할 활동을 체계적으로 수행하여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지속가능한 U-Eco City 사업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하며, U-Eco City 사업의 성과물을 체계적으로 담아내는 기본틀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BIM/GIS 기반 u-City 해외진출 전략 연구 (A Study on the Overseas Expansion Strategy of u-City based on BIM/GIS)

  • 나준엽;이우식;홍창희;황정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6호
    • /
    • pp.119-127
    • /
    • 2012
  • u-City는 첨단 IT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를 도시 공간에 융합하여 생활의 편의 증대와 삶의 질 향상, 체계적 도시 관리에 의한 안전 보장 등 도시의 제반 기능을 혁신시키는 차세대 도시이다. 현재 u-City 시장규모는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이를 한국만의 새로운 브랜드화하여 추진할 경우 건설기술과 더불어 공간정보기술, 센서기술, 통신망 구축, 관련 장비산업 등을 복합하여 동반 진출함으로써 막대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City 구축 운영기술 및 관련 서비스, BIM/GIS 연계 활용 등의 측면에서 u-City 건설사업의 해외 진출 활성화를 위해 u-City와 관련된 국내외 시장 및 연구, 요소기술을 분석하고 진출 대상국의 선정 및 유형 분석, u-City 서비스의 패키지화 방안, BIM/GIS 연계 기술의 활용 등 u-City 해외진출 전략을 제시하였다.

A FUNDAMENTAL STUDY TO DEVELOP STANDARD TECHNOLOGY CRITERIA FOR IT-CONSTRUCTION FUSION TECHNOLOGIES, TO BE APPLIED TO A U-CITY

  • Kyoon-Tai Kim;Jae-Goo Han;Chang-Han Kim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352-1358
    • /
    • 2009
  • As the demand for a convergence between construction technologies and IT is on the rise, as seen in the visualization of U-City construction, studies on the ways in which IT in should be utilized in the building and construction field have been continuously and actively performed. However, there has been almost no development of standardized technology criteria relating to the life cycle of a building (planning,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That is, there are almost no examples of efforts made to combine construction technology and IT in a fundamental way, considering the environment, the facility, its spatial characteristics, engineering, materials, and structure, aspects that are commonly required not only for interior spaces but also for exterior construction of U-City. Despite the fact that a state-of-the-art infrastructure has been built, and the competency of users with the cutting-edge technology, composite studies on technologies, facilities, services and spaces are still lacking, and basic research on the composite operation method including compatibility and linkage between facilities and services within a U-City has been insufficient as well. It is generally known that by fusing IT with construction technologies, the total period of construction taken can be reduced and construction expenses can be curtailed, while construction quality can be improved. For this reason, it is vital to prepare a standardized base to connect cutting-edge IT with the construction technologies. In preparing such a base, the most urgent issue is to develop standardized technology criteria.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the technological criteria system required to apply construction-IT fused technologies to U-Cities, and to develop the technological criteria for the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the U-Cities. This paper, whose objective is to establish development strategies for construction-IT fused technologies by way of analyzing the criteria for conventional construction projects, the necessity of criteria for construction-IT fused technologies, and the current status of U-Cities' development, is the underlying research for this purpose. The strategies established are expected to be utilized in establishing the system of criteria for construction-IT fused technologies, and to contribute to a knowledge base in the construction-IT field. In addition, based on the strategies established, criteria for construction-IT fused technologies, such as design criteria and construction standards, will be developed, and by applying these criteria and standards, the ultimate objectives of U-Cities, which are the enhancement of urban competitiveness and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will be attained

  • PDF

RFID 기술의 국내적용 실태 (The State of Art of RFID Technology for Construction Project in Korea)

  • 장상혁;송낙현;이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19-822
    • /
    • 2007
  • 최근 건설 산업의 화두는 U-건설이다. 건설에 IT 기술인 유비쿼터스(ubiquitous)를 접목한 것으로 기술 경쟁력이 부족한 국내의 건설 산업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유력한 방안이 될 수 있다. RFID 기술은 U-건설의 핵심 기술이라 볼 수 있다. 비접촉식으로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는 기술로서 활용 범위가 크다. 건설 산업에서도 인력관리, 품질관리, 공정관리, 안전관리, 물류관리 등에 적용되어지고 있으며 인력관리 및 안전간리에서는 이미 보편화 된 기술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건설전문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건설 산업에 RFID 기술적용 현황을 파악하였고, RFID 기술적용 범위가 공사규모와 공사기간에 따라 넓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공정관리와 물류관리에서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RFID 기술이 건설공사의 전 과정에 적용되고 있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PDF

U-Eco City 구축 가이드라인 작성을 위한 기초연구 (Preliminary study of Guideline for the Construction of U-Eco City)

  • 강영옥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70-176
    • /
    • 2009
  • U-Eco City 테스트베드 구축사업은 U-Eco City사업 단의 타 핵심과제에서 개발된 요소기술과 타 연구과제의 기술을 테스트베드에 적용하여 각 기술의 현장 적용 시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완체계를 수립해 나감으로써 기술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와 함께 테스트베드 구축의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 지방자치단체 및 해외 시장에 U-Eco City 건설 경험을 체계화하여 이를 판매하고자 하는 목표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U-Eco City 적용 기술 평가, U-Eco City 테스트베드 대상지에 대한 종합시설계획 수립, 상세계획 수립, U-Eco City 테스트베드 구축 및 모니터링 등 전 과정의 경험과 지식을 체계화하고, 이를 국내 및 국외 시장에 적용할 수 있는 U-Eco City 구축 가이드라인의 작성이 필요하다. U-Eco City 테스트베드 구축의 1차년도 연구목적은 U-Eco City 구축 가이드라인 작성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는 것으로 기존 U-City 추진상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생태도시와 U-City와의 연계성을 파악하였으며, U-City 구축 단계를 체계화하고, 단계별 고려사항을 정리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COLLECTIVE MANAGEMENT SYSTEM FOR INTEGRATED OPERATION OF U-SPACE

  • Sang-Hun Paek;Jeong-Nam Lee;Jae-Hee Cho;In-Shick Song;Sang-Chae Lim;Kyoon-Tai Kim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377-1382
    • /
    • 2009
  • U-City related researches and development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in Korea since 2002. According to the Act on Ubiquitous City Construction, "U-City" is defined as "the city to provide ubiquitous service anytime anywhere through the existing ubiquitous backbone systems and ubiquitous technologies, ultimatel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urban competitiveness and quality of life. This research explains the plan to develop collective management technology for integrated operation of U-Space which makes up U-City. Specifically, this report is intended to suggest basic approach of identifying collective management elements of each U-Space type, develop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creating interface module to link the system with urban integrated operation center.

  • PDF

건설분야에 적용가능한 IT 서비스 모델 구축방안 연구 - 빌딩시설물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IT Service Model for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Construction Field - Focused on the building facility -)

  • 이우식;홍창희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6호
    • /
    • pp.123-131
    • /
    • 2011
  • 본 연구는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IT기술을 건술 분야와 융합하여 얻을 수 있는 서비스 모델을 구축함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전통적인 건설 산업에 첨단 IT기술을 선택적으로 융합시켜 건설산업을 단순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고부가가치 기술집약적인 산업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생산성 제고는 물론 새로운 시장 창출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건설과 IT기술이 융합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분야는 최근 국내외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U-City 산업분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건설 산업 또는 U-City 산업에 활용되고 있는 각종 IT기술에 대한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향후 건설 분야에서 유망한 IT기술에 대하여 수요자 요구분석을 통해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U-City산업과 IT산업에 대한 환경과 전망분석을 통해 이를 융합한 U-City 서비스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