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rosine-isoleucine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5초

한지(韓紙) 초조용(抄造用) 점액(粘液)에 관한 연구(硏究) -제2보(第二報). 느릅나무근(根) 점액(粘液)의 아미노산류(酸類)의 검색(檢索)- (Studies on the Mucilage for the Manufacture of Korean Hand-Made Paper -Part II. Detection of Amino acids in the Mucilage of Ulmus coreana, Nakai Root-)

  • 손주환;임제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5권3호
    • /
    • pp.173-176
    • /
    • 1982
  • 느릅나무근(根) 점액(粘液)은 단백질(蛋白質)을 함유(含有)하며 그 함량(含量)은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의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보다 크다. 점액(粘液)에서 alanine, aspartic acid, glutamine, glutamic acid, hydroxyproline, isoleucine, leucine, proline, phenylalanine 및 tyrsine 등(等) 아미노산(酸_이 검출(檢出)되고 또 이 점액(粘液)에 무수(無水) ethanol을 가(加)하여 얻은 점질물(粘質物)의 가수분해(加水分解) 생성물(生成物)에서는 alanine, aspargine, aspartic acid, glutamine, glutamic acid, hydroxyproline, isoleucine, leucine, methionine, proline, phenylalanine, serine, tyrosine 그리고 valine등(等) 여러 종류(種類)의 아미노산(酸)이 검출(檢出)되었다.

  • PDF

Isolation of Soya-cerebroside I from the Roots of Trichosanthes kirilowii

  • Kim, Ju-Sun;Byun, Ji-Hye;Kang, Sam-Si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7권2호
    • /
    • pp.27-32
    • /
    • 2001
  • In addition to known cucurbitacins, a glucosphingosine type cerebroside and amino acids were isolated from the roots of Trichosanthes kirilowii. The structure of cerebroside was determined as soya-cerebroside I by means of spectroscopic methods. Fifteen amino acids were identified as aspartic acid, glutamic acid, serine, glycine, histidine, citrulline, threonine, alanine, proline, tyrosine, val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and tryptophan, among which the major components such as citrulline, phenylalanine, leucine/isoleucine and valine were isolated.

  • PDF

탱자 과피와 과육의 성분특성 (Chemical Components in Peel and Flesh of Trifoliate Oranges(Poncirus trifoliata))

  • 정헌식;이주백;성종환;최종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42-346
    • /
    • 2004
  • 탱자의 식품학적 가치평가와 활용을 위한 기본 자료를 얻기 위하여, 완숙한 과실을 수확하여 껍질과 육질의 조단백질, 조지방, 회분, 총당, 비타민 C, 유리당, 유기산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탱자의 조단백질 함량은 과피에서 5.15$\%$, 과육에서 3.31$\%$를, 조지방은 과피에서 3.82$\%$,과육에서 6.65$\%$를, 조회분은 과피에서 2.62$\%$, 과육에서 2.09$\%$를 각각 나타내었다 비타민 C 함량은 과피에서 4.70mg$\%$, 과육에서 70.93 mg$\%$를 나타내었다.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및 sucrose가 확인되었고 각 성분 및 전체 양이 과육보다는 과피에서 약 2배정도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유기산은 citric acid, malic acid 및 oxalic acid가 확인되었으며 총 함량은 과피보다 과육에서 3.5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으로 과피에서는 aspartic acid, histidine, tyrosine, arginine, valine, lysine, ammonia, cysteine, alanine, glutamic acid, isoleucine, leucine 등이 검출되었고, 과육에서는 Iysine, valine, ammonia, arginine, tyrosine, isoleucine, methionine, leucine, histidine, phenylalanine 등이 검출되었다.

단백질(蛋白質) 분해효소(分解酵素) 첨가시(添加時) 우육(牛肉)의 숙성(熟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1보(報) Papain처리(處理)에 의한 우육(牛肉)의 유리(遊離) Amino Acid변화(變化)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Ripening of Beef at Adding the Proteolytic Enzyme I. Changes of Free Amino Acid in Beef According to the Papain Addition)

  • 윤정의;오석흔;황칠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71-77
    • /
    • 1973
  • 한우(韓牛)의 사태근육에 효소(酵素)를 첨가(添加)해서 유리(遊離) amino acid를 automatic amino acid analyzer 로 분석(分析)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효소(酵素)를 첨가(添加)하지 않은 사태근육에서 유리(遊離) amino acid 의 함량(含量)은 alanine, glutamic acid, lysine, glycine, histidine, leucine, threonine, arginine, cystine, serine, proline, isoleucine, phenylalanine, tyrosine, methionine, aspartic acid, valine 의 순서(順序)로 함유(含有)되었다. 2) 효소(酵素)를 0.01%, 0.05%, 0.1%로 첨가(添加)함에 따라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cystine, val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arginine 의 9개(個) 유리(遊離) amino acid는 계속 증가(增加)하였다. 3) Proline, histidine 은 control에서 높은 함량(含量)을 보이다가 0.01%의 효소첨가(酵素添加)에서 감소(減少)된후 효소량(酵素量)이 증가(增加)됨에 따라 유리(遊離) amino acid 의 량(量)이 증가(增加)되었다. 4)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methionine, tyrosine, phenylalanine 은 0.05%의 효소첨가(酵素添加)까지 증가(增加)하다가 0.1%에서 현저히 감소(減少)되었다. 5) 육(肉) 조리시(調理時) 효소(酵素)의 첨가량(添加量)은 육중량(肉重量)의 0.05%가 가장 효과적(效果的)이다.

  • PDF

굴젓갈 숙성중 글리코겐과 단백질의 분해 (Decomposition of Glycogen and Protein in Pickled Oyster during Fermentation with Salt)

  • 김장양;변재형;남택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6-71
    • /
    • 1981
  • 굴의 주요구성분인 글리코겐과 단백질의 굴젓갈 숙성중의 분해과정과 분해생성물 상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글리코겐의 분해생성물인 유리환원당과 젓산의 생성 유리아미노산과 단백질 구성아미노산의 젓갈 숙성 전후의 구성변화 및 유리환원당과 유리아미노산간의 첫갈숙성조건에서의 반응성의 지표로서 유효성라이신의 양의변화 등을 분석 검토하였다. 글젓갈 숙성중 글리코겐과 단백질은 분해생성물인 유리환원당과 젓산, 그리고 유리아미노산에로 분해하여 갔으며, 유효성라이신의 양은 미미하게 감소하였다.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구성을 분석한 결과, 생굴 단백질 구성아미노산중에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proline이 많았으며, tryptophan과 methionine, histidine 및 tyrosine은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굴젓갈 단백질 구성아미노산중에는 생굴단백질 구성아미노산중 valine과 histdine isoleucine 및 lysine이 감소된 것이 주목을 끌었다. 유리아미노산의 구성을 보면 생굴중에는 proline, taurine, glycine, glutamic acid, alanine이 특히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들 아미노산의 전체 생굴 유리아미노산에 대한 비율은 약 $69\%$에 달하였다. 그리고 젓갈중에는 proline,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aspartic acid 및 lysine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들 유리아미노산은 전체 굴 젓갈 유리아미노산의 약 $65\%$에 달하였다. 굴젓갈 숙성중에 증가한 유리아미노산은lysine, argi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cysteine, isoleucine, tyrosine등을, 그리고 감소한 아미노산은 taurine, proline, leucine등을 들 수 있었다.

  • PDF

한국산(韓國産) 녹두(綠豆)의 성숙과정중(成熟過程中) 유리(遊離) Amino Acid 함량(含量)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hanges of Free Amino Acid Composition in Seeds of Korean Mung Bean During the Ripening Process)

  • 고무석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3권3호
    • /
    • pp.150-154
    • /
    • 1980
  • 한국에서 생산된 녹두의 성숙 중에 아미노산의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개화 후 10일, 15일 20 일, 25일과 30일의 5단계로 취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기에 검출된 아미노산은 histidine, arginine, cystine, aspartic acid, threonine(Serine 포함), glutamic acid와 valine이었고 methionine sulfoxide와 methionine sulfone도 나타났다. 2) 15일에는 초기의 것에 glycine, iso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과 methionine의 5종(種)이 더 검출되었으며, methionine sulfoxide와 methionine sulfone의 양이 감소하면서 methionine이 나타났다. 3) 중기에 leucine이 나타났고 성숙하면서 약간의 증가를 보였고 25일 이후에는 methionine sulfoxide와 methionine sulfone이 검출되지 않는 대신 methionine 앙이 증가하였다. 4) 개화 20일 이후의 아미노산은 완숙기까지 계속 존재하였고 증가된 아미노산은 leucine, valine, isoleucine과 methionine이었으며, 그 외 대부분은 감소 또는 그대로 남았다.

  • PDF

모발 탈색 및 퍼머넌트 웨이브가 모발의 아미노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leaching and Permanent Wave Manipulation on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Hair)

  • 하병조;김준광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3-148
    • /
    • 2008
  • 아미노산 자동분석기(amino acid auto analyzer, AAA)를 이용하여 모발의 탈색 및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에 의한 모발시료의 17가지 아미노산(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alanine, cystein,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 histidine, lysine, arginine) 함량변화를 조사하였다. 시료는 30대 남성 10명의 모발을 채취하였으며 $110^{\circ}C$ 24 h 동안 6 N 염산 10 mL로 가수분해 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처치별 모발의 아미노산 함량은 정상모발 73.9%, 퍼머넌트 웨이브 모발 71.5% 및 탈색모발 69.3%로 분석되었고, 탈색효과에 의한 아미노산 함량 감소가 퍼머넌트 웨이브 효과에서 보다 크게 분석되었다. 특히 lysine과 tyrosine의 조성은 탈색이나 퍼머넌트 웨이브 모발에서 25% 가량 현저히 감소하였다. 반면에 serine, cystein, leucine 및 histidine의 함량변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식용(食用)버섯중(中)의 새로운 아미노산(酸)의 구명(究明) (Study on the Identification and Contents of New Amino Acid in Edible Mushrooms)

  • 노일협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2권1호
    • /
    • pp.31-41
    • /
    • 1979
  • Free amino acid in ethanol extracts and total amino acids in hydrolysates of eleven species of edible mushrooms were analyzed and determinated the contents five kind of new amino acid by means of amino acid autoanalyzer and gas liquid chromatography. The result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Five kind of new amino acid turned out to be ${\alpha}$-aminobutyric acid, allo-isoleucine, ethanolamine, $\gamma$-aminobutyric acid and ornithine. 2) By means of amino acid autoanalyzer, the monoethanolamine was identified on the chromatogram ahead of alanine, ${\alpha}$-aminobutyric acid between peak of threonine and glycine, allo-isoeleucine between peak of valine and leucine, isoleucine, ${\gamma}$-aminobutyric acid followed by proline between peak of leucine, isoleucine and methionine and ornithine between peak of phenylalanine and tyrosine 3) By means of Gas liquid chromatography, the ${\alpha}$-aminobutyric acid was identified on the chromatogram between peaks of alanine and valine, allo-isoleucine between peaks of methionine and isoleucine, monoethanolamine followed by ${\gamma}$-aminobutyric acid between peaks of phenylalanine and ammonia, ornithine between the peaks of ammonia and lysine. 4) Of five amino acids which were identified, ornithine was the highest of its content in the mushroom extracts, and allo-isoleucine, ethanolamine, and ${\gamma}$-aminobutyric acid came next in decreasing order. 5) Also which were identified, ornithine was the highest of its content in the hydrolysates, and ${\alpha}$-aminobutyric acid, ${\gamma}$-aminobutyric acid, allo-isoleucine came next in decreasing order, ethanol extracts and hydrolysates of Auriculariaauricula-Judae(Fr.) $Qu\acute{e}l$ species didn't contain any of five kind of new amino acid. Ornithine also was the highest in the hydrolysates of ll mushrooms.

  • PDF

아미노산의 광학이성화 및 GC, GC/MS, HPLC에 의한 광학이성질체의 분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cemization of Amino acids and its Separation with GC, GC/MS and HPLC)

  • 이재성;홍종기;어연우;김택제
    • 분석과학
    • /
    • 제7권1호
    • /
    • pp.41-52
    • /
    • 1994
  • 아미노산 중 alanine, threonine, isoleucine, leucine, aspartic acid, methionine, glutamic acid, tyrosine을 대상으로 열처리, 산처리, UV 광선 조사, 효소(trypsin)의 영향을 살펴보고 6N-HCl, $105^{\circ}C$로 가열했을 때 이성화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Mass Spectrometer를 이용할 때 각 아미노산의 fragment되는 과정을 조사하여 GC에서 서로 겹칠 때 분석하는 법을 개발하였다. HPLC에서 cyclodextrin bonded phase를 이용해서 dansyl amino acid의 분리를 시도하였다.

  • PDF

HPLC에 의한 증제와 볶음 녹차 중의 유리 아미노산과 유리당의 정량 (Quantitative Analysis of Free Amino Acids and Free Sugars in Steamed and Roasted Green Tea by HPLC)

  • 고영수;이인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01-304
    • /
    • 1985
  • 녹차의 맛을 내는데 주요 성분인 유리아미노산과 유리당을 HPLC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6종의 유리아미노산이 검출되었다. 즉,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ala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 histidine, lysine, arginine이 그것이었다. 2. 증제차가 볶음차보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많았고, 녹차중에는 특히 threonine과 aspartic acid, lysine의 함량이 많았다. 3. Fructose, glucose, sucrose, raffinose등 4종의 유리당이 검출되었다. 4. 유리당은 가열시간 증가에 따라 각 성분의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