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pe of health insurance

검색결과 489건 처리시간 0.028초

일부 만성 정신질환자의 구강건강 상태 (Oral Health Status of Some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in Korea)

  • 서혜연;전현선;박수경;박기창;정원균;문소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93-500
    • /
    • 2013
  • 본 연구는 최근에 크게 증가하고 있는 정신질환자의 구강건강 문제에 주목하여 그 실태를 파악하고자 시행하였다. 강원도 소재의 정신보건센터 한 곳의 주간 프로그램 참여대상자(23명)와 정신병원 한 곳의 입원 대상자(69명) 전체 92명을 편의집락추출하여 구강건강상태와 치주건강상태, 구강위생상태를 사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실치아(MT)는 병원 대상자(6.42)가 센터 대상자(1.83)보다 더 높았으나, 충전치아(FT)는 센터 대상자(4.78)가 병원 대상자(2.52)보다 높았다(p<0.05). DMFT index는 정신질환자(12.80)가 전국표본(6.22)에 비해 더 높았고,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의료급여 대상자의 구강건강 상태가 더 나빴다(p<0.05). 2. 구강위생상태는 PHP index 3.41로 자가구강건강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편이였다(p<0.05). 3. 치주건강 상태는 병원 대상자(81.7%)가 센터 대상자(47.6%)에 비해 치주요양필요자율이 더 높았으며, 특히 40대와 60대, 학력이 낮을수록, 가족이 없을수록 더 나빴다(p<0.05). 치주요양불필요자율(CPITN0)은 병원 대상자(18.3%)가 전국표본(27.4%)에 비해 낮았으며, 치주조기병치료필요자율(CPITN3)은 병원 대상자(13.3%)가 전국표본(5.7%)보다 더 높았다. 4. 정신질환자의 구강건강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치과위생사는 정신질환자의 구강건강 상태 증진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하며, 이에 앞서 해당 집단 안에서 연령과 학력, 결혼유무, 가족 형태, 경제적인 상태 등을 선행조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신질환 종류와 심도별 인지능력을 고려하여 교육매체와 교육 프로그램을 구분하여 고안해야 한다. 한편 치과계에서는 정신질환자의 구강건강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점진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주기적인 구강건강관리실태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5. 본 연구는 접근이 어려운 정신질환자를 대상자로 선정하여 전반적인 구강건강상태를 측정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으나, 표본을 단일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는 점에 한계가 있다.

농촌지역 재가장애인의 재활서비스 이용실태 (The Rehabilitation Services Utiliz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a Rural Area)

  • 최경진;김건엽;이덕희;한창현;최세묵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6권4호
    • /
    • pp.227-237
    • /
    • 2011
  • 농촌지역 재가장애인의 재활서비스 이용실태를 파악하고자 일개 농촌지역 재가장애인(3-6급 뇌 병변 지체장애) 101명을 대상으로 2011년 3월부터 4월까지 면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여자가 65.3%였고, 70세 이상이 53.5%로 가장 많았고, 초등졸 이하가 72.3%이었다. 주관적 경제상태는 보통이상이 56.4%, 의료보장형태는 94.1%가 건강보험이었다. 대상자의 장애 및 건강관련 특성으로는 지체장애가 81.2%, 장애등급별은 3-4급이 41.6%로 가장 많았고, 동반 질환이 있는 경우가 74.3%였다. 본인이 생각하는 자신의 장애정도가 '심각하다'고 한 경우가 69.3%였다. 재가장애인의 70.3%는 퇴원 후 현재 재활서비스를 받고 있었다.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치료의 효과성과 주변 서비스 기관의 부재, 경제적인 측면 등을 이유로 들었다. 재활서비스를 받기 위해 이용하고 있는 기관은 병의원, 재활의학과 병의원, 한의원 보건소 순으로 많았다. 현재 이용하고 있는 재활서비스 내용에 대해 19.7%가 만족한다고 하였고, 불만족의 이유로는 거리가 멀어서가 가장 많았다. 현재 재활서비스 이용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는 성별, 직업유무, 주관적 경제상태, 장애발생 원인이었다. 즉, 여자인 경우, 직업을 가진 경우, 경제상태가 좋은 경우, 장애발생이 후천적인 경우 재활서비스 이용이 높았다. 농촌지역 재가장애인의 70.3%가 현재 재활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나 포괄성, 접근성, 지속성, 만족도 등에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국가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을 중심으로 농촌지역 재가장애인을 위한 양적 및 질적으로 충분한 재활서비스 제공이 요구되며, 미이용 집단 및 미충족 집단을 우선 사업대상자로 선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세포병리사의 업무량에 따른 적정인력 산정을 위한 업무실태 조사 연구 (Working Conditions that Impact the Workload of Cytotechnologists: A Study Calculating the Actual Man Power Required)

  • 지수일;안용호;하화정;강정은;원준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74-187
    • /
    • 2021
  • 세포병리사는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의 상태를 분석하여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을 진단하는 1차 선별자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세포병리사의 고용 형태, 업무량 등이 제대로 파악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세포병리사의 효율적인 직무수행의 범위, 의료기관의 종별에 따른 세포병리사의 업무량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병리과질관리 인증평가항목의 기준 설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전국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세포병리사 자격증 소지자를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45명의 세포병리사가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그 중 1차 선별검사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인원은 178명(72.7%)으로 조사되었다. 각 기관별 1일 기준, 세포병리사 1인의 평균 1차 선별검사 건수는 대학병원그룹이 75.4장(16.8장/시간), 병원그룹이 72.4장(18.6장/시간) 그리고 76명이 응답한 전문수탁 기관은 231장(32.6장/시간)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세포 선별검사 업무에 대한 기준지침을 수립하여 대한세포병리학회 등과 협의체를 구축하고, 현안 사항에 대한 해결방법을 모색하여 국민건강 보건 향상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전북지역(全北地域) 산업근로자(産業勤勞者)의 산업재해(産業災害)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 (A Study on Industrial Accidents of Workers in Jeonbug Areas)

  • 황인담;박영수;서석관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4권1호
    • /
    • pp.89-96
    • /
    • 1981
  • Of 2,740 industries in Jeonbug area which are covered by industrial insurance policy, 462 facilities which the accidents related to industry occured during the year of 1979 were studied.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ccidents related to industry occured in 462 industries of the total 2,740 industrial facilities in Jeonbug area as of 1979. 2. The incidence rate of accident per 1,000 workers was 34.3 (49.2 in male workers and 12.8 in female workers), the frequency rate of the total industries in jeonbug area was 13.36, and severity rate was 1.3. 3. The frequency rates and severity rates by type of industry in study area were quite different to compare with those of national rates. 4. The incidence rate of construction industry was 223.6 per 1,000 workers, and that of transportation-communication industries were 78.6. 5. The proportion of industrial accidents of $20{\sim}24$ age group was 22.1 per cent of the total accidents, and the proportions decreased according to age increase. 6. The incidence rate in the industry having less than 49 workers was 20.6 per 1,000 workers, that of industry with $50{\sim]99$ workers was 26.7, that of industry with $100{\sim}199$ was 51.9, that of industry with $200{\sim}499$ was 80.2 and that of with more than 500 worker was 40.7. 7. The accidents which occured in the workers with experience of less than one year was 69.4 per cent of the total accidents, otherwise, the longer the workers have worked the less accident they have. 8. The most accidents occured in tile shift between 10 to 12 o'clock, and 16 to 18 hour 9. The primary causes of the industrial accidents were found to be collisions, machinery falling objects and falls. 10. The site of injury by type of industry were quite different, and the major site of injury was finger. 11. The laceration and open injuries of the accidents related to industry were 37.2 per cent of the total cases, and fractures or dislocations were 23.5 per cent, and contusions were 6.5 per cent. 12. Death rate of industrial accident was 5.0 per 10,000 workers, and those of industry were 47.6 in transportation, 42.8 in construction industry, 24.4 in mine industry, and 2.0 in manufacturing industry.

  • PDF

100병상미만 의료기관대상 퇴원환자조사 시범운영 및 평가 (National hospital discharge survey for the hospitals with fewer than 100 beds: A pilot project and evaluation)

  • 최행정;김광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336-3340
    • /
    • 2010
  • 2007년1월1일부터 12월 31일까지 퇴원환자조사에서 제외되었던, 100병상미만 의료기관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퇴원환자조사를 위해 조사 기반자료인 의무기록을 토대로 손상퇴원환자의 일반적 특성, 진료비지불방법, 질병 및 수술 양상과 의료이용 실태를 파악하였다. 2007년 한 해 동안 전국 100병상미만의 급성기 의료기관을 퇴원한 추정 환자 수는 총 4,697,095명으로 이는 전체 인구의 9.7%에 해당한다. 인구 10만 명당 퇴원 율은 9,693명이며 평균재원일수는 9.8일이었다. 퇴원후 귀가한 퇴원환자수는 전체 4,538,861명이었고 이중 남성은 1,784,041명, 여성은 2,754,821명이었다. 타병원으로 이송된 환자는 119,378명이었으며 의뢰병원으로 회송된 환자도 8,970명 이었다.이상과 같은 결과는 특정 손상에 대한 고위험군을 파악하고 중재가 필요한 곳을 확인하여 손상을 예방함으로써 공중보건비용을 줄이는 사업계획에 활용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수집되는 손상감시자료는 손상예방프로그램의 효율성을 감시 하고 평가하는데도 활용될 수 있다.

족관절염좌 환자 관리를 위한 한의표준임상경로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linical Pathway of Korean Medicine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nkle Sprain)

  • 윤상도;송미연;정원석;김형석;신우철;김태오;조휘성;서연호;서상우;서준원;강준혁;유승호;김세윤;조재흥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41-151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Korean medicine by standardizing managements, improving quality of medical services, and reducing medical costs in ankle sprain by develop clinical pathway (CP). Methods The development of CP in this study is based 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 (CPG) for ankle sprain, and aims to maximize the quality of treatment, such as reducing treatment time and medical costs, and increasing patient satisfaction through standardized pathway. The CP was revised after consultation and review by the advisory committee. The advisory committee is consisted of a stakeholder group applying the CP. Results In previous research studies, there were no Korean medicine CP studies on ankle sprain. Based on CPG for ankle sprain and analysis of medical records, 6 types of time task matrix type CP (for Korean medicine doctors, medical assistant, patients) and 4 types of algorithm type CP (for Korean medicine clinics, Korean medicine hospitals, and cooperative practicing hospitals, public medical centers) were derived as a result. Conclusions Ankle sprain CP is expected to not only increase patient satisfaction and maximize the quality of treatment, but also reduce the financial burden of health insurance by reducing medical costs.

복합만성질환 입원환자의 중증도 보정 사망비에 대한 융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in the Severity-adjusted Mortality Ratio on inpatients with multiple chronic conditions)

  • 서영숙;강성홍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2호
    • /
    • pp.245-257
    • /
    • 2015
  • 본 연구는 복합만성질환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중증도 보정 사망 예측모형을 개발하고, 중증도 보정 사망비의 변이 요인을 규명하여 변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자료를 수집하고 주진단이 만성질환이면서 주진단을 포함하여 2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보유한 30세 이상의 복합만성질환 입원환자 110,700건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예측 모형 개발 시 데이터마이닝 기법(로지스틱회귀분석, 의사결정나무, 신경망 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Elixhauser comorbidity index 동반상병 보정지수를 이용하여 의사결정나무분석으로 복합만성질환 입원환자의 중증도 보정 사망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복합만성질환 입원환자의 의료기관 중증도 보정 사망비(HSMR)를 산출 한 결과 진료비 지불방법별, 병상규모별, 의료기관소재지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복합만성질환 입원환자의 사망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의료의 질 향상과 증가하는 의료비 부담 감소를 위해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뇌졸중 환자의 Charlson Comorbidity Index에 따른 사망률 분석 (Mortality of Stroke Patients Based on Charlson Comorbidity Index)

  • 김가희;임지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2-32
    • /
    • 2016
  • 인구구조의 급속한 고령화로 뇌졸중 질환의 발생빈도와 진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표성이 있는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Charlson comorbidity index에 따른 사망률 현황을 살펴보고, 뇌졸중 환자의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보고자 시행하였다. 2005년에서 2010년까지의 6년간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연령이 20세 이상이며 주진단명이 뇌졸중으로 분류된 21,494건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자의 동반상병 분포와 CCI에 따른 사망률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뇌졸중 환자의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 기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뇌졸중 환자의 사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연령, 보험유형, 거주지 도시규모, 병상규모, 의료기관 소재지, 입원경로, Physical therapy 유무, 뇌수술 시행 유무, 뇌졸중 유형, CCI로 나타났다. 이는 뇌졸중 환자의 연령, 뇌졸중 유형, 동반상병의 위험요인에 따른 좀 더 효율적인 접근법과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의료급여 환자의 지원 확대가 개선되어야 함을 시사해준다.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뇌졸중 환자들의 의료의 질 평가와 보건의료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의미 있게 활용되어질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자기 효능감에 의한 스마트폰 사용의도 연구 (A Study on Self efficacy Difference between User and Nonuser of Smartphone)

  • 이장형;김종원;성백춘;최영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57-164
    • /
    • 2013
  • 자기효능감은 심리학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자기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이다. 즉,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특정한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이라고 정의되어진다. 이것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우리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다고 믿고 있다. 자기효능감의 발달을 강화시키는 방법을 이해한다는 것은 그것이 보다 생산적이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도록 하기 때문에 긍정적인 심리를 위한 활기 있는 중요한 목표가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효능감에 의해 스마트폰 사용자와 비사용자 사이의 관계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3가지 형태의 자기효능감으로 구성된 연구모형을 제안한다. 이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자와 비사용자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진 직장인들로부터 표본자료를 수집하였다. 다중분석을 통하여 두 집단 간에는 차이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자기효능감(자기조절 효능감, 과제 난이도)은 스마트 폰 사용자와 비사용자 간에는 차이가 있다.

의료이용 전.후 기대와 만족수준 비교 (Consumer expect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health care service)

  • 박장순;유승흠;손태용;박은철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2-13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sumer's expectation before the health care service and the consumer's satisfaction after it.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are inpatients in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The resources were collected from the self-administration questionnaire survey run parallel with face to face interview. In order to measure the degree of the consumer's expectation, 349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first questionnaire survey on the date of admission to the hospital. The second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on the date of discharge to the hospital with the participants responding to the first questionnaire survey. There are 154 samples collected from this survey.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se resources are as follow. First, the survey shows that one of the highest consumers' expectations was about the generosity, kindliness and sincerity from the staff at the hospital, specially from doctors.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expectations of the consumers, with regard to path of admission to a hospital relating to patient's features, outpatient who gets into a hospital expected good medical care much more than the other patients. In regard of doctor's features, patients usually and highly expect good medical care from doctors who have good carrier and much experience. Third, according to the second questionnaire survey, what patients are satisfied most with is about the generosity and sincerity from staff at a hospital, especially from doctors and their gem attitudes. The results from survey show that the differences among the degree of consumers' satisfaction are very variable, depending on surrounding environments and facilities. The only fact that expectation didn't meet with satisfaction appeared to the case about technology and skill of medical care and the case about updated medical skills and equipments. Fourth, comparing the degree of expectation with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consumers, correlative analysis was concerned significantly and specifically about the part of overall cleanliness relating to facilities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the items about medical examination and test plan procedure relating to skill of medical care, professional specialties and convenience for procedure, and the items about satisfying explanations and concern about patients from doctors relating to staff's generosity and sincerity. Fifth, the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how much patients are satisfied with shows that relating to sociodemographical features, patients are not satisfied with the case when the time and process of medical treatment are getting longer. It is surveyed that consumer were satisfied with the motivation to visit a hospital and the insurance type in patient's feature and so were the medical department and the factor of the degree of the expectation in disease's feature. Sixth, according to analysis based on the survey, patients would join again a hospital when they get satisfaction from the medical care and also they want to come again regarding to doctor's capability. For example, when doctors are old, have a good carrier and much experience, patients would come again. As seen from the above, consumers are usually satisfied with the medical treatment more than that they expected before. They would intend to use again when they get satisfaction from the medical care provided at a hospital. Patients and consumers highly expect good attitude as well as capacity from medical doctors and they are also generally satisfied with those thing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degree of consumer's satisfaction and their intention to come again, the hospital staff would have to commit themselves to achieve high quality service continuously and would have to make an effort to offer the finest quality servi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