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tor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2초

UNIX-TUTOR : UNIX 교육을 위한 지능형 개인교사 시스템 (UNIX-TUTOR : Intelligent Tutoring System for Teaching UNIX)

  • 정목동;김용란;김영성;신교선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1B권7호
    • /
    • pp.159-169
    • /
    • 1994
  • In this paper, we develop a prototype of ITS(Intelligent Tutoring Systems) system: UNIX TUTOR. It is designed for the purpose of teaching the UNIX beginners the principal concepts of UNIX and the shell commands us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tudent and the system. UNIX TUTOR engages the student in a two-way conversation that is mixed-initiative dialogue and attempts to teach the student UNIX via the Socratic method of guided discovery and the Coaching method interchangeably. And the student model is based on both the overlay model and the buggy model together. Thus TUTOR aims at teaching the students effectively whose levels of learning are different using various explanations which are determined by the student model. Because the knowledge representation for UNIX-TUTOR is based on the frame structure and the production rules it is easy to represent the complicated constructs. UNIX TUTOR is implemented on the SPARC station using X/Motif and C for cp command among 10 ones which were selected.

  • PDF

가상 교수자를 이용한 지능형 u-러닝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 Intelligent u-Learning System using Cyber Tutor)

  • 김용범;정복문;김영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4A권3호
    • /
    • pp.159-166
    • /
    • 2007
  • u-러닝(u-learning) 체제의 도입은, 원격교육을 지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u-러닝 시스템 및 모형을 요구하며, 이에 따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u-러닝 환경의 원격교육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현재 운영되고 있는 대부분의 원격교육시스템은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지속적인 쌍방향 상호작용 유지의 어려움, 시스템 구축을 위한 경제적 부담, 시스템 운영에 투입되는 교수자의 기술적 소양 부족 등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접속 여부와 무관한 지속적인 학습 활동의 유지, 시스템 구축의 경제성 및 사용상의 편리성에 대한 고려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동성과 내재성 등의 u-러닝 개념을 포함하고, 가상 교수자(cyber tutor)의 결합에 의해 실제 교수자의 접속 상태와는 독립적으로 지속적인 교수-학습 과정을 지원하며, 사용자의 기술적, 경제적 부담의 제거가 가능한 지능형 u-러닝시스템을 개발하고, 그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가상교육 시스템에서 학습자-튜터간 상호작용 모형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Learner-Tutor Interaction Model in a Virtual Education System)

  • 정은선;송희헌;강오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0A권5호
    • /
    • pp.589-59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튜터간 상호작용 모델을 웹 기반 가상교육시스템에 구현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웹기반 가상교육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새로운 튜터 모델을 제안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튜터의 역할을 도출해내고, 이를 기준으로 웹에서 구현이 가능한 학습자-튜터간 상호작용 요소를 모형화하여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모델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기존의 웹 기반 가상교육시스템을 기반으로 튜터 모델을 적용한 가상교육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실험 결과에서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튜터 모델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상호작용성을 항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Mediation Effect of Motivation and Immersion for Learning in the Relation between Tutor and Learning Effectiveness of Cyber Home Learning

  • Baek, Hyun-Ki;Kang, Jung-Hwa;Ha, Tai-Hyun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7권1호
    • /
    • pp.137-147
    • /
    • 2009
  • The main purpose of cyber home education in public sector is to promote public education and restrain expensive private education expense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motivation, immersion and tutor on the effectiveness of cyber home learning. The variables of motivation, immersion and tutor participation were incorporated in this study as follows: 1) tutor participation was classed as a single independent variable, which has interaction and also effects passion; 2) motivation and 3) immersion were classed as two mediatory variables: motivation which include relevance and confidence; and immersion which includes attention and controllability. 4) learning effect was classed as a single dependent variable of learning influence factor which has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 that a tutor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effects of the learners' study but motivation and immersion had an indirect influence on the effects of learners' study independently. Based on these findings a tutor should provide motivation and immersion with various learning methods and contents for learners to get maximum benefits from cyber home learning.

  • PDF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주기적인 척추운동이 청소년의 요부근력과 균형 감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gularly Spine Strength Exercise on Lumbar Muscle Strength and Balance Ability in Teenager with Tutor)

  • 구봉오;문현주;조성학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5-61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gularly strength exercise of spine in teenagers with tutor. Method: Study subjects were 24 middle school students. They were arranged to 2 groups(n=12, respectively). Then experimental group did regularly strength exercise of spine as the handout maneuver during 50min/day and 1day/week in 8 weeks with tutor, but control group did regularly exercise of spine as same maneuver without tutor. For muscle strength of both extensor and flexor of lumbar, the balancing ability and weight distribution index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For muscle strength of both extensor and flexor of lumbar,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the intervention, but both flexor and extensor increase mean value of muscle strength than control group. For balancing ability and weight distribution index,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intervention(p>.05), but experimental group show a tendency to decrease in a few position than control group. Conclusion: When teenagers regularly exercise for spine strengthening for a long time with tutor, it may be increased muscle strength of lumbar and trunk balance.

문제중심학습에서 교수평가, 동료평가, 자기평가와 지필시험과의 관계 (Correlation between Tutor, Peer, Self-Evaluation and Paper Test in Problem-Based Learning)

  • 김수진;김성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275-28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중심학습에서 교수, 동료, 자기평가간의 평가점수와 평가주체별 관대화와 중심화의 경향을 알아보고 평가주체별 점수와 지필시험 점수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문제중심학습으로 수업받는 간호학과 학생 중 연구에 동의한 1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수, 동료, 자기평가는 문제중심학습 효과 도구를 가지고 실시하였고 지필시험은 문제중심학습 수업이 종료된 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동료평가, 자기평가, 교수평가 점수 순으로, 학생평가 점수가 교수평가 점수보다 높았다. 관대화와 중심화의 경향에서도 동료평가, 자기평가가 교수평가보다 높고 강하게 나타났다. 평가주체별 점수와 지필시험 점수간의 관계는 교수평가 점수와 지필시험 점수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나 동료평가나 자기평가 점수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평가는 교육목표와 밀접한 관련을 갖기 때문에 문제중심학습이 본래의 목적을 제대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문제중심학습의 목적에 맞는 평가방법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평가방법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논의가 필요하며 문제중심학습 평가와 관련된 실제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간호학 교육에서의 문제중심학습에서 튜터의 내용전문성과 튜터경험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 (Tutors' Content Expertise and Experience on Student Satisfaction in Problem-Based Learning Nursing Curriculum)

  • 김수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551-55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과 문제중심학습에서 튜터의 내용전문성과 튜터경험에 따른 학습자의 만족도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인 간호학과는 전체 학년을 대상으로 간호학 전공교과목을 통합한 hybrid PBL curriculum을 운영하고 있다. 튜터의 내용전문성은 최종 학위논문과 근무했던 임상분야를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PBL 튜터경험은 초보자는 1년 이하, 경력자는 10년 이상인 경우이다. 3학년을 대상으로 6주 동안 PBL 수업 후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튜터의 내용전문성에 따라 학습자 만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튜터경험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와 튜터의 내용전문성과 튜터경험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PBL에서 내용전문가로서의 튜터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환기시켰다고 할 수 있다. 향후 다양한 학과와 전공분야를 가진 더 많은 튜터를 대상으로 한 추후연구가 반복되어야 하며 학습자 만족도 외의 다양한 변인과의 차이를 측정해봐야 할 것이다.

문제중심학습에서 평가주체에 따른 평가 - 튜터평가, 동료평가, 자기평가를 중심으로 (Problem Based Learning Evaluation and Evaluation Agents - Focused on Tutor, Peer and Self Evaluation)

  • 김수진;강희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732-3738
    • /
    • 2013
  •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에서 튜터, 동료, 자기평가간의 평가점수를 비교하고 평가주체 점수간의 관련성과 평가주체별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영역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제중심학습으로 수업받는 간호학과 학생 105명을 대상으로 문제중심학습 효과도구를 가지고 3차에 걸쳐 튜터, 동료, 자기평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V. 12.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3차례의 수업 모두 자기평가 점수가 튜터, 동료평가 점수보다 높았다. 평가주체별 점수간의 관계는 3차례의 수업에서 튜터평가와 동료평가간에 관련성이 있었다. 평가주체별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영역은 튜터평가는 '문제해결능력'이었고, 동료평가와 자기평가는 '협동학습능력'이었다.

의과대학 문제중심학습에서 튜터의 전문분야와 교수경험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Tutors' Domain and Teaching Expertise on Medical Students' Learning Outcomes in a PBL Environment)

  • 강명희;이수지;김민정;김민지
    • 의학교육논단
    • /
    • 제13권2호
    • /
    • pp.9-23
    • /
    • 2011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utors' domain and teaching expertise on learning outcomes in a problem based learning (PBL) environment. Four tutors and 25 first-year medica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utors' domain expertise was classified by clinical or non-clinical which is basic medicine and teaching expertise by previous tutoring experiences or not. The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hievement depending on the tutors' domain expertise. Students grouped with an experienced clinical tutor attained higher achievement scores than those with an experienced non-clinical tutor, while those with an inexperienced non-clinical tutor attained higher scores than those with both inexperienced clinical tutors and experienced non-clinical tutors. Students with clinical medicine tutors also showed higher satisfaction scores than those with non-clinical medicine tutors. In particular, students grouped with an experienced clinical tutor gained higher satisfaction scores than those with inexperienced non-clinical tutors, and among the inexperienced tutors, students tutored by a clinical tutor showed higher scores than those with a non-clinical tutor. Different intervention styles were also found depending on tutors' domain and teaching expertise. Experienced tutors gradually reduced the tutoring intervention, whereas the novice provided more as the semester proceeded. Moreover, experts with a clinical medicine degree preferred direct teaching, whereas, non-clinical tutors preferred facilitating. Also, experienced tutors in the clinical medicine facilitated critical awareness than the other tutors. These results show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 program for novice tutors to improve PBL in medical education.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 중학생의 튜터 역할에 대한 인식이 심층학습, 학업성취, 수업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tudents' Perception of Tutor's roles on Deep Learning, Achievement, and Course Evaluation in Online Gifted Education Program)

  • 최경애;이성혜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857-879
    • /
    • 2015
  • 본 연구는 중학생 대상의 수학, 과학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 튜터의 역할별 수행 수준을 측정하고, 그것이 학습자의 심층학습과 학업성취 수준 및 수업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과학, 수학 온라인 수업을 수강한 중학생 249명을 대상으로 튜터 역할 수행 수준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심층학습, 학업성취, 수업평가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심층학습의 하위변인인 종합적 학습, 반성적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공통적으로 학습내용 및 평가 전문가로서의 튜터의 역할인 반면, 고차적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튜터의 역할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튜터 역할의 하위 변인 중 학습자의 탐구학습 점수와 전체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습과정 및 방법 안내자로서의 역할이었으며, 튜터 역할과 개념학습 점수는 유의미한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온라인학습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참여도, 이해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튜터 역할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