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sushima current

검색결과 287건 처리시간 0.032초

대마난류의 유동 특성과 PDO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and Pacific Decadal Oscillation)

  • 서호산;정용현;김동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882-88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대마난류(Tsushima Warm Current, TWC)의 유동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TWC의 수송량과 태평양 순년진동(Pacific Decadal Oscillation, PDO) 및 엘니뇨 남방진동(El Niño - Southern Oscillation, ENSO)의 상호 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25년(1993~2018년) 동안의 TWC의 월별 수송량을 계산해보면 하계에 가장 크고 동계에 가장 작게 나타나는 계절변동 주기가 뚜렷하다. TWC 수송량과 PDO 및 ENSO의 한 척도인 Oceanic Niño Index(ONI) 각각의 주기성 파악을 위한 power spectrum 분석결과, TWC 수송량은 1년 주기에서 peak를 보이지만 PDO 및 ONI는 뚜렷한 주기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TWC 수송량과 PDO 및 ONI의 상호 관계 파악을 위해 coherence 추정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DO 및 ONI의 coherence는 3년 이상의 장주기 변동에서 상호 기여도가 높으나 1년 이내의 단주기 변동에서는 상호 기여도가 낮다. 그러나 TWC 수송량과 PDO 두 요소 간 0.8~1.2년 주기에서 coherence 값은 0.7로 상호 기여도가 높다. 한편 서수도를 통과하는 TWC 수송량과 PDO는 I기간(1993~2002년)과 III기간(2010~2018년)에 역상관 관계성을 가진다. TWC 최대 수송량 (2.2 Sv 이상)이 높게 나타나는 시기에 PDO 지수가 -1.0 이하의 음의 값, 2.2 Sv 이하로 작은 시기에 PDO 지수가 양의 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장기적인 PDO 지수 자료를 이용하면 TWC 수송량 변동 및 동해 연안역의 수온변화를 예측 또한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치모델을 이용한 한국 남해의 유동특성 이해 (Understanding the Flow Properties by a Numerical Modeling in the South Sea of Korea)

  • 배상완;김동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95-307
    • /
    • 2012
  • 한국 남해에서 조류와 취송류, 밀도류 그리고 잔차류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3차원유동모델(POM; Princeton Ocean Model)을 이용하였다. 조석 잔차류의 분포를 보면, 대조기에는 동쪽 방향으로의 흐름이, 소조기에는 서쪽으로의 흐름이 우세하였다. 잔차류는 연안에서 지형의 효과로 인하여 불규칙하게 나타났다. 연안역에서의 밀도류는 비교적 약하고 계절적인 차이는 작다. 외해에서는 특별한 유동현상을 주목해야 한다. 즉, 외양역에서의 흐름은 쓰시마 해류와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연안역에서의 취송류는 외해역에서 보다 매우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표층의 해류가 저층의 해류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남해안에서의 물질 이동 확산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동해 재분석 자료에 나타난 북한한류의 계절 및 경년변동성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bility of the North Korean Cold Current in the East Sea Reanalysis Data)

  • 김영호;민홍식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0권1호
    • /
    • pp.21-31
    • /
    • 2008
  • Analyzing the results of East Sea Regional Ocean Model using a 3-dimensional variational data assimilation scheme, we investigated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the North Korean Cold Current (NKCC) in the East Sea. The climatological monthly mean transport of the NKCC clearly shows seasonal variation of the NKCC within the range of about 0.35 Sv ($=0^6m^3/s$), which increases from its minimum (about 0.45 Sv) through December-January to March, decreases during March and May, and then increases again to the maximum (about 0.8 Sv) in August-September. The volume transport of the NKCC shows interannual variation of the NKCC with the range of about 1.0 Sv that is larger than seasonal variation. The southward current of the NKCC appears often not only in summer but in winter as well. The width of the NKCC is about 35 km near the Korean coast and its core is located under the East Korea Warm Current. The North Korean Cold Water (NKCW), characterized by low salinity and low temperature, is located both under the Tsushima Warm Water and in the western side of the maximum southward current of the NKCC that means the NKCC advects the NKCW southward along the Korean coast. It is revealed that the intermediate low salinity water, formed off the Vladivostok in winter, flows southward to the south of $37^{\circ}N$ through $2{\sim}3$ paths; one path along the Korean coast, another one along $132^{\circ}E$, and the middle path along $130^{\circ}E$. The path of the intermediate low salinity varies with years. The reanalysis fields suggest that the NKCW is advected through the paths along the Korean coast and along $130^{\circ}E$.

하계 대한해역 서수도에 유입되는 쓰시마 난류수의 기원 ( 1 ) - 표층수에 대한 고찰 - (In Summer , the Origin of Tsushima Warm Current Water in Western Channel of the Korea Strait ( 1 ) - On the Water in Surface Layer -)

  • 조규대;윤종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6권2호
    • /
    • pp.184-191
    • /
    • 1990
  • 하계 대한해협 서수도에는 연직적으로 특성이 서로 다른 세 개의 수괴가 존재한다. 그 중 표층수에 대하여 인접 해역의 해수 특성과 상호 비교함으로써 그 기원과 유로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표층수는 동지나해의 대륙붕 상에서 형성된 Kuroshio수와 중국대륙연안수의 혼합수로써, 중국대륙연안수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표층수는 Kyushu Island의 서쪽 해역, 경도 126$^{\circ}$E와 127$^{\circ}$E 사이 해역과 제주도 동쪽 해역을 거쳐 유입되고, 한국 연안 부근에 있는 일부 표층수는 제주도 서쪽해협을 거쳐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영만 해황의 계절적 변동 특성 (Seasonal Variation of Oceanic Conditions in Suyoung Bay)

  • 김동선;조규대;이병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7권2호
    • /
    • pp.105-119
    • /
    • 1991
  • In order to study the seasonal variation in the physical properites in Suyoung Bay,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s of temperature, salinity, transparency and water color from May 1989 to April 1990. We also observed the tidal currents from February 27 to March 6 1990. There are conspicuous seasonal variation in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ater masses are characterized by two water types, i.e., one is influenced principally by river runoff and the other by the Tsushima Current. Transparency and water color increased gradually from the head of the bay to the mouth of the bay in all seasons. In winter, the transparency of water becomes minimum due to the enhanced vertical mixing.

  • PDF

Hybrid Capacitors Using Organic Electrolytes

  • Morimoto, T.;Che, Y.;Tsushima, M.
    • 전기화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74-177
    • /
    • 2003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based on charge storage at the interface between a high surface area activated carbon electrode and an electrolyte solution are characterized by their long cycle-life and high power density in comparison with batteries. However, energy density of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btained at present is about 6 Wh/kg at a power density of 500W/kg which is smaller as compared with that of batteries and limits the wide spread use of the capacitors. Therefore, a new capacitor that shows larger energy density than that of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is proposed. The new capacitor is the hybrid capacitor consisting of activated carbon cathode, carbonaceous anode and an organic electrolyte. Maximum voltage applicable to the cell is over 4.2V that is larger than that of the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 As a result, discharged energy density on the basis of stacked volume of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separator is more than 18Wh/l at a power density of 500W/l.

REPORT OF Malleus regula (FORSSKÅL IN NIEBUHR, 1775) (BIVALVIA: MALLEIDAE) IN KOREA

  • Noseworthy, Ronald G.;Waki, Tsukasa;Nobuhisa, Kajino;Choi, Kwang-Sik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29-333
    • /
    • 2016
  • The bivalve Malleus regula ($Forssk{\aa}l$ in Niebuhr, 1775)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This is the second species of Malleidae reported from this country. Since the species is quite variable, comparisons were made with the original description and descriptions in the literature; some taxonomic comments were also made. Global warming and possible changes in the northward-flowing Tsushima Current may account for the addition of new mollusk species to the island's fauna.

대만 난류의 계절변동에 대한 연구 (The Effects of Seasonal Wind Stress on the Formation of the Tsushima Current)

  • 남수용;석문식;방인권;승영호;박필성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4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14-18
    • /
    • 1994
  • Barotropic Model을 이용하여 바람의 계절변화에 따른 대마난류의 형성을 살펴보았다. 모델 격자간격은 위도와 경도방향 모두 $0.25^{\circ}$로 하였고 바람은 Hellerman & Rosenstein (1983)의 바람을 이용하였다. 모델결과에 의하면 대마난류는 대만해협이 음의 유선함수 (Stream Function) 값을 갖는 동계 (10월-3월)에는 쿠로시오로 부터 직접 분기되어 형성되며 대만해협이 양의 유선함수값을 갖는 하계 (4월-9월)에는 대만해협을 통해 유입된 대만난류가 대마난류의 기원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대만난류 유입경로의 계절변화는 쿠로시오 수송량의 계절변화에 의한 것이 아니라 연해 (동지나해) 에서의 바람의 계절변화에 의해 야기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대한해협과 대만해협에서의 수송량과 쿠로시오의 수송량변화는 각각의 최대, 최소값만을 고려하면 쿠로시오와 대한해협에서의 수송량 변화는 약 $180^{\circ}$의 위상차를 갖으며, 대만해협에서의 수송량변화는 북풍계열의 바람이 우세한 동계를 제외하고는 쿠로시오의 수송량변화와 같은 위상을 갖는다.

  • PDF

First Record of Three Pleuromamma Species (Copepoda: Calanoida: Metridinidae) in Korea

  • Jeong, Hyeon Gyeong;Lee, Seok Ju;Soh, Ho Yo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8권1호
    • /
    • pp.1-13
    • /
    • 2022
  • Three Pleuromamma copepods were newly collected from the South Sea of Korea in the summer when the Tsushima Warm Current was strong. They were identified as Pleuromamma abdominalis(Lubbock, 1856), P. indica Wolfenden, 1905, and P. xiphias (Giesbrecht, 1889). Although these species have been reported in world oceans, they were first reported from Korean waters. So far, four species of Pleuromamma (P. borealis Dahl, 1893, P. gracilis Claus, 1863, P. piseki Farran, 1929, and P. robusta (Dahl, 1893)) have been recorded in Korean waters. We provided re-description of these three species insufficiently described by previous authors and key characters for species identification in addition to species hitherto known in Korea.

부산연안 미역(Undaria pinnatifida)양식 생산 예측을 위한 장기 해양자료 분석 (Analysis of Long-term Oceanic Data for the Prediction of Undaria pinnatifida Aquaculture Production off the Coast of Busan)

  • 한인성;서영상;이준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941-947
    • /
    • 2013
  •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oceanographic factors and seaweed production, we examined the annual accumulated aquaculture production of Undaria pinnatifida with respect to water temperature, salinity, dissolved oxygen, current patterns and nutrients over 21 years (1990-2010) (this date range does not add up to over 21 years) along the coast of Busan,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ross-correlation function, annual production of U. pinnatifida was closely related to the following conditions: low water temperature, low salinity, strong Tsushima Warm Current, and high concentrations of dissolved oxygen and nutrients. In this study, we also considered the Index of Oceanographic factors for U. pinnatifida (IOU) by computation of a simple equation. This index will be used for the prediction of U. pinnatifida aquaculture production off the coast of Bus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