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ust degree information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4초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가입자 단체의 의사결정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Insured Organizations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Process in Health Insurance Policy Committee)

  • 한주성;김창엽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36-346
    • /
    • 2017
  • Background: Due to the asymmetry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and the power of bureaucrats and medical professionals, it is not easy for citizens to participate in health care policy making. This study analyzes the case of the insured organization participating in the Health Insurance Policy Committee (HIPC) and provides a basis for discussing methods and conditions for better public participation. Methods: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and document data such as materials for HIPC meeting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urposively sampled six participants from organizations representing the insured in HIPC. The meanings related to the factors affecting participation were found and categorized into major categories. Results: The main factors affecting participating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were trust and cooperation among the participants, structure and procedure of governance, representation and expertise of participants, and contents of issues. Due to limited cooperation, participants lacked influence in important decisions. There was an imbalance in power due to unreasonable procedures and criteria for governance. As the materials for meetings were provided inappropriate manner, it was difficult for participants to understand the contents and comments on the meeting. Due to weak accountability structure, opinions from external stakeholders have not been well received. The participation was made depending on the expertise of individual members. The degree of influence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tents of the issues. Conclusion: In order to meet the values of democracy and realize the participation that the insured can demonstrate influence, it is necessary to have a fair and reasonable procedure and a sufficient learning environment. More deliberative structure which reflects citizen's public perspective is required, rather than current negotiating structure of HIPC.

애자일 수행 방식으로 본 디지털 전환의 성공요인 : 서울교통공사의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Success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Context of the Agile Principles : A Case Study of the Seoul Metro)

  • 윤정원;김종열;장석권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37-153
    • /
    • 2020
  • Most enterprises today work on digital transformation projects to cope with uncertainties caused by the rapid change and cutting-edge technology. The key point is they need to take a novel approach on new projects for high performance. In this context,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utilizing agile method; however, many studies on Impact of Digital Transformation on the Results of Innovation do not deal with agile methodology. The research specifies the case of Seoul Metro, regarded as best-practice on digital transformation, based on the agile way of working. The case study is based on in-depth interview with Seoul Metro's executives and employees, and the interview is analyzed using keywords from the 12 Agile Principles. Thus, among the 12 Agile Principles, Motivation and Trust, Face-to-face Interactions, Continuous Attention to Technical excellence and good design, Self-Organizing Team contributed the most to successful digital transformation projects. In addition, based on Requirements Uncertainty and Technical Degree of Uncertainty, they carry different kinds of traits. For instance, the higher the uncertainty toward requirements and required technology is, the more technological development pace is maintained. Given the conservative nature of public corporations, it is necessary to adopt the agile way of working, such as improving employees'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allowing teams to be organized within themselves, in a bid to produce successful innovation outcome.

Factors Affecting Public Non-compliance With Large-scale Social Restrictions to Control COVID-19 Transmission in Greater Jakarta, Indonesia

  • Rosha, Bunga Christitha;Suryaputri, Indri Yunita;Irawan, Irlina Raswanti;Arfines, Prisca Petty;Triwinarto, Agus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4권4호
    • /
    • pp.221-229
    • /
    • 2021
  • Objectives: The Indonesian government issued large-scale social restrictions (called Pembatasan Sosial Berskala Besar, or PSBB) at the beginning of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to control the spread of COVID-19 in Jakarta, Bogor, Depok, Tangerang, and Bekasi (Greater Jakarta). Public compliance poses a challenge when implementing large-scale social restrictions, and various factors have contributed to public non-compliance with the regulation.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non-compliance and identify the factors that contributed to public non-compliance with the PSBB in Greater Jakarta, Indonesia. Methods: This was a quantitative study with a cross-sectional design. A total of 839 residents of Greater Jakarta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online using a Google Form, and convenience sampling was undertaken.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were perfor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public non-compliance with the PSBB regulation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respondents' opinion of the PSBB, and social capital. Results: A total of 22.6% of subjects reported participating in activities that did not comply with the PSBB. The variables that most affected non-compliance with the PSBB were age, gender, income, opinion of the PSBB, and social capital. Conclusions: Strengthening social capital and providing information about COVID-19 prevention measures, such as washing one's hands with soap, wearing masks properly, and maintaining social distancing, is essential. Robust public understanding will foster trust and cooperation with regard to COVID-19 prevention efforts and provide a basis for mutual agreement regarding rules/penalties.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web celebrity live broadcast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 Adjusting effect of web celebrity live broadcast contextualization

  • Zou, Ji-Kai;Guo, Han-Wen;Liu, Zi-Y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239-250
    • /
    • 2020
  • 이 논문의 목적은 전자 상거래 플랫폼에서 웹 유명인 생방송의 "컨텍스트 화"효과가 소비자의 제품 가치, 위험 및 구매 의도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입니다. 본 논문에 실은 Taobao 쇼핑 소비자를 연구 대상으로 사용, 설문 조사 방법, 설문 조사가 채택되었으며, 설문 및 분산 네트워크를 통한 형태, 소비자 구매에 대한 실제 상황 영향의 웹 유명인 효과에 대한 웹 유명인 효과의 추가 검증을 위해 라이브 의도, 설문지는 데이터 처리 후 통계 소프트웨어 SPSS 23.0 및 AMOS 22.0을 사용하여 리 커트 스케일, 7 및 재활용 설문지 분석을 설계합니다. 설문지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결정한 후, 탐색 요소 분석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고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대한 웹 유명 인사 생방송의 "문맥 화"효과의 실제 조정 정도를 계산했습니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1)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인지 된 가치는 구매 의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있는 반면,인지 된 위험은 구매 의도에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2)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와 구매 의도는 웹 유명 인사 생방송의 "컨텍스트 화"에 의해 규제됩니다. 특히, "컨텍스트 화"효과가 우수한 웹 유명인 라이브 방송의 경우 소비자 제품의 인지 된 가치는 제품 신뢰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는 "컨텍스트 화"효과가 좋지 않은 웹 유명인 라이브 방송의 가치보다 높습니다.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인지 된 위험을 해결하는 관점에서, "컨텍스트 화"효과가 우수한 웹 유명인 라이브 방송은 "컨텍스트 화"효과가 낮은 웹 유명인 라이브 브로드 캐스트보다 훨씬 우수합니다. 이 논문은 경험적 분석을 바탕으로 웹 연예인 생방송이 전자 상거래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위한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이며 전자 상거래 마케팅 모드와 웹 연예인 생방송 산업의 변화에 대한 제안을 제시 할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소셜네트워크분석을 통한 국내 거버넌스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Domestic SNA-based Governance Study Trends)

  • 김나랑;최형림;이태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7호
    • /
    • pp.35-45
    • /
    • 2018
  • 사회변화에 따라 정부의 정책입안 및 실행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새로운 거버넌스 구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거버넌스는 포괄적이고 여러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실제 적용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거버넌스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분류와 연구동향 분석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 정책학, 경영정보학 등의 다른 전공을 가진 3명의 연구자가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중심으로 2016년 이후 발간된 거버넌스 관련 학위논문들을 검색하여 소셜네트워크분석(SN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주된 연구 주제는 협력거버넌스와 로컬거버넌스로 크게 분류 되었다. 거버넌스가 가지는 특징에 맞게 네트워크, 참여, 갈등, 신뢰 등의 주제어가 나타났으며, 거버넌스의 대상으로는 도시재생과 환경, 교육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또한 매개중심성 분석 결과 융복합 연구를 위해 로컬거버넌스가 주요 주제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거버넌스 연구에 대한 이해를 돕고, 거버넌스 연구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한계점으로는 거버넌스 전체 논문이 아닌 키워드가 제공된 일부 학위 연구 논문만을 분석 대상으로 한 점이다.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전체 거버넌스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을 확대 하고, SNA 분석지표와 함께 통계적으로 이를 검증하는 연구도 필요하다.

기업-소비자 동일시 수준에 따른 기업루머에 대한 반박효과의 차이 (A Study on Level of Company-Consumer Identification on Company Rumor Impact and Effectiveness of Refutation countered the effect of the difference)

  • 최태호;황지민;오대양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1권4호
    • /
    • pp.261-286
    • /
    • 2012
  • 본 연구는 오늘날 기업에 관한 부정적 소문인 루머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리 방안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기업-소비자동일시 수준에 따른 루머의 신뢰 정도와 그에 따른 확산정도를 파악하고 루머의 신뢰와 확산을 막고자 하는 기업이 루머반박을 했을 경우, 동일시 수준에 따른 반박효과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시 수준에 따라 악성루머에 대한 신뢰도 반응 확산의도 차이, 재구매 의도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 보았으며, 동일시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동일시가 낮은 소비자가 루머에 대한 신뢰도가 높았고, 확산의도 또한 동일시가 낮은 소비자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재구매 의도는 동일시가 높은 소비자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소비자 동일시 수준에 따라 루머에 대한 반응의 차이와 그 후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기업이 반박기사를 냈을 경우, 동일시 수준에 따라, 반박 기사에 대한 반응이 다를 것이라 보았다. 동일시가 높은 소비자는 동일시가 낮은 소비자 보다 반박기사에 대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RFID 응용 기술의 도입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for Adopting of RFID Application Technology)

  • 박차길;이선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018-102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RFID 응용 기술의 도입 요인을 관련 정보 기술 즉, ERP, SCM, EDI 등과 같은 정보 시스템의 도입 요인을 문헌 연구를 통하여 살펴보면서 RFID 응용 기술의 도입 요인을 Delphi 방법으로 도출 하였다. 위 3개 분야의 정보 기술 도입 요인은 ERP 분야는 41개, SCM 분야는 42개, EDI 분야는 33개의 도입 요인이 도출되어 총 116개의 도입 요인들이 추출되었으며, 이들 116개의 도입 요인을 바탕으로 RFID 응용 기술의 도입 요인을 도출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9개의 도입 요인(태그 관련 비용, 거래업체와의 관계, 기술의 호환성, 정보 기술 기반 구조, 기업 간 신뢰 및 조정, 산업 내 경쟁 강도, RFID 기술의 표준화, 최고 경영층의 지원, 거래기업의 참여도)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도입 요인들은 ERP, SCM, EDI 등과 같은 정보 기술의 도입 요인들과 RFID 응용 기술의 도입 요인들과는 다소 다르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 태그 관련 비용과 RFID 기술의 표준화 등과 같은 요인들은 RFID 응용 기술의 도입에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금융회사 마케팅 현황에 대한 탐색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Marketing of Financial Services Companies in Korea)

  • 천성용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2권2호
    • /
    • pp.111-133
    • /
    • 2010
  • 투자상품의 확산, 고령화 등으로 인한 금융니즈 다양화와 자본시장법 시행으로 인한 금융회사간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금융산업 내에서 마케팅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다른 산업에 비해 금융산업의 마케팅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구체적인 금융마케팅 연구들이 진행되기에 앞서 국내 금융마케팅 연구들을 정리하고, 국내 금융회사 마케팅 담당자를 In-depth 인터뷰하여 실제 국내 금융 마케팅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금융마케팅 연구에 필요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다른 산업의 마케팅과 다른 금융 마케팅만의 고유 특징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가 부족하였고, 금융산업 내에서 은행, 증권, 보험, 카드 산업 간의 마케팅 특징 차이에 대한 연구도 부족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소비자행동 관점에서 금융고객의 의사결정 과정에 관한 연구도 부족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금융회사의 마케팅 현황은 외형적으로 어느 정도 성숙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으나, 실제 업무는 여전히 과거의 영업지원, 혹은 프로모션 및 CRM 데이터 분석 등 단기적인 부분에 치중되어 있었다. 그리고, 은행, 증권, 보험, 카드 회사 등 각 세부 금융산업별 마케팅 담당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금융마케팅의 키워드와 문제 인식 정도도 서로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금융마케팅 연구를 위한 시사점과 함께 6가지의 연구명제를 제안하였다.

  • PDF

주부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과 안전성우려의 관련 요인 (Consumer Perceptions of Food-Related Hazards and Correlates of Degree of Concerns about Food)

  • 최정숙;전혜경;황대용;남희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6-74
    • /
    • 2005
  • 전국의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의 주부 1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전화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식품안전에 대하여 불안을 느끼는 사람이 55.4%, 불안을 느끼지 않는 사람이 34.6%로 식품안전성에 대해 불안을 느끼는 사람의 비율이 1.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안전에 대한 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아나 초등학생의 자녀여부, 학력, 채소류 구입 장소, 브랜드, 보존료나 착색료 등의 식품첨가물, 원재료의 원산지 등이었다. 불안요인 중 잔류농약은 대상자의 96.0%가, 보존료나 착색료 등 식품첨가물 95.7%, 환경호르몬 93.0%, 식중독균 등 유해 미생물 91.7%, 유전가변형식품은 90.2%가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로는 잔류농약이나 식품첨가물보다 미생물의 발생으로 인한 식품오염으로 나타날 수 있는 식중독의 경우 더욱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사실을 일반 소비자들에게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불안을 느끼는 식품으로, 도시락은 대상자의 93.3%가, 수입 식품은 92.7%, 패스트푸드 89.9%, 햄과 소시지 등 식육가공식품 88.7%, 외식(패스트푸드 이외의 식품) 81.6%, 통조림과 냉동식품 등 가공식품 83.5%, 컵라면 등 인스턴트식품 82.0%, 쌀 47.4%, 식용유 53.8%, 우유 및 유제품은 56.6%가 불안하다고 느꼈다. 식품의 제조(재배) 및 원료(원산지)를 제시해주는 식품표시에 대하여 신뢰하지 못하고 불안을 느끼는 대상자가 많으므로(75.2%) 표시 제도와 인증제도의 적절한 운용을 통해 식품에 관련한 충분한 정보가 소비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는 대책이 강구되어야 하겠다. 신선식품(농축산물)구입시 가장 우려되며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사항은 '수입산인지 국내산인지'이었으며 '유통기한', '무농약 및 유기재배 여부', '만질 때 혹은 외관상으로 느껴지는 신선함' 등이 그 다음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 구입시에는 '보존료 및 착색료 등의 식품첨 가물'(93.6%), '유통기한'(92.4%), '원재료가 무농약$.$유기재배인지'(88.8%)에 대하여 염려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식품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식품생산에서 소비단계까지 개선사항으로 '비료, 농약 살포, 수확시 관리 등 생산단계'(59.6%) 및 '물, 토양, 대기 등 자연환경'(43.6%)의 개선이 중요하다는 견해가 많았다. 위의 결과로 볼 때 식품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식품위생과 안전성, 식품표시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소비자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과 신뢰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농장단계에서 오염원을 줄이는 방안이 최종생산물의 검사에 기반을 둔 식품안전정책보다도 안전성 확보에 훨씬 유효하다는 사고방식이 보편화되고 있으므로 농산물 생산단계에 우수농산물관리 제도(good agricultural practices)를 정착시키고, 나아가 사전예방 원칙을 적용한 HACCP 시스템을 도입하여 식품(특히 축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하겠다. 또 food chain 전반에 관한 이력정보의 부족과 정보의 신뢰성이 문제가 되므로 생산단계부터 가공단계, 유통단계, 그리고 판매 단계 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소비자가 역으로 거슬러 올라가 확인할 수 있는 '이력정보체계 (traceability system)'를 활성화하여야 하겠다.

자기노출 에이전트의 효과 (Effects of Self-disclosing Agents)

  • 박주연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35-42
    • /
    • 2006
  • 컴퓨터가 우리의 일상적 환경으로 스며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인터페이스 에이전트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이러한 인터페이스 에이전트는 사용자와 사회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에이전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간관계를 형성, 유지하는 데 중요한 요소인 자기노출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고, 에이전트의 자기노출 정도에 대한 사용자의 사회적 반응을 측정하였다. 실험은 2(에이전트의 자기노출 깊이: 높음/낮음)${\times}\;2$(에이전트의 자기노출 양: 많음/적음)의 피험자간 요인설계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1) 에이전트로부터 깊은 수준의 자기노출을 받은 피험자들은 자신에 대해 보다 개인적인 정보를 노출하였으며, 많은 양의 자기노출을 받은 피험자들은 자신에 대해 보다 많이 이야기하였다. 2) 에이전트의 자기노출 깊이가 낮은 경우보다 깊은 경우에 에이전트에 대한 호감, 신뢰, 친밀성에 대한 기대는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에이전트의 자기노출 깊이가 사용자의 정보획득과 사용자-에이전트의 사회적 관계형성에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즉 사용자의 정보획득을 위해서는 에이전트의 깊은 노출이, 사용자-에이전트의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 형성을 위해서는 에이전트의 적절한 자기노출이 더 유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