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llium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1초

Steroidal Sapogenin Contents in Some Domestic Plants

  • Kim, Chang-Min;Son, Kun-Ho;Kim, Sung-Hwan;Kim, Hyun-Py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4권4호
    • /
    • pp.305-310
    • /
    • 1991
  • In order to find out the values of the steroid resources for the future use, the compositions and contents of steroidal sapogenins from 13 domestic plants have been investigated. As a result Dioscorea nipponica, D. quinqueloba and Smilax china were found to have large amount of diosgenin. And pennogenin in Trillium kamtschaticum and Paris verticillata, yuccagenin in Allium fistulosum, hecogenin in Agave americana and neochlorogenin in Solanum nigum were appeared to be major steroidal sapogenins.

  • PDF

울릉도 자생 큰연령초의 분포와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Native Trillium tschonoskii in Ulleung Island)

  • 안영희;이성제;이상현
    • 생약학회지
    • /
    • 제38권2호통권149호
    • /
    • pp.157-163
    • /
    • 2007
  • Trillium tschonoskii Maxim. is a kind of 64 endangered plant specie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It is very a rare native plant throughout the country.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ative T. tschonoskii in Ulleung Island for their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They were mostly distributed valley, mid-slope of the mountain from 186 to 458 m altitude. They had a little low light conditions as they faced west, north west, south west, south-south west, north-north east and east-east north. They were provided with slightly humid condition. Aerial humidities of these quadrates were variable as 21.5-71%. They were located on the variable slopes of 5 to 43 degrees. Soil humidity was slightly dry. Native sites were semi-shaded because tree layer such as Tilia insularis, Zelkova serrata, okamotoanum etc.and sub-tall tree layer such as Ligustrum foliosum, Comellia japonica, Tilia insularis, Callicarpa japonica and so on were grown near by. Woody plants such as A. Okamotoanum, Sorbus commixta, Fagus japonica var. multinervis etc. were frequently observed. These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suitable that T. tschonoskii grows up naturally because of high Percentage as 52.78% of blooming individuals in this study. These native sites were classified with three communities, T. tschonoskii-Majanthemum dilatatum community, T. tschonoskii-Anthriscus sylvestris community and T. tschonoskii-Hepatica maxima community in accordance with altitude and aerial humidity. The best way ffr the preservation of T. tschonoskii habitats and maintainance of its recent population is maintained in recent environmental condition and ecological condition without any management by human-being.

고속 대용량 ATM Switching칩 구현을 위한 MCM기술 적응 (High-Speed, Large-Capacity ATM switching-chip Implemented by MCM Technology)

  • 김남우;허창우;임실묵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791-797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고속 대용량 ATM교환기에 쓰이는 스위칭소자들 중 서로 관련 있는 두 종류의 칩을 MCM기술을 이용하여 하나의 칩으로 구현하고 그 기능을 검증하였다. MCM은 소형화와 이종간 소자의 결합이 주목적으로 개발된 기술로서 하나의 패키지 상에 다양한 칩들을 실장 함으로써 칩간 지연시간이 시스템 성능향상을 가져오며 고성능화와 소형화가 시스템 개발에 도움으로 주는 기술로 각광을 받고 있는 기술이다. 고속 대용량화를 위해 구현된 MCM 스위칭 칩의 기능 검증을 위하여 기존에 개발된 칩들의 VHDL코드를 가지고 시뮬레이션 모델을 생성하였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모델링된 패턴의 입출력 값을 얻었다. 칩 테스트 장비에 패턴 값을 입력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동작성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행된 시뮬레이션은 SUN 워크스테이션 상에서 Synopsys툴을 사용하였고, 칩의 기능 시험은 Trillium장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은 결과와 시험장비를 통해 얻은 결과를 비교한 결과 처음에 목적한 패턴의 시험에 대한 기능들이 일치됨을 알았다.

  • PDF

MCM기술을 사용한 ATM용 Swithching칩 구현 (An Implementation of the switching-chip for ATM using the MCM technology)

  • 김남우;이정희;한인탁;윤재석;허창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199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98-402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MCM기술을 사용한 ATM용 Switching칩을 구현하고, 그 기능을 검증하였다. Switching칩의 MCM구현을 위해 기능 검증 및 상용화가 이루어진 기존 칩들의 VHDL코드를 이용하여 패키지 모델을 생성하였고, 칩의 검증은 VHDL 테스트벡터를 생성하고, 입ㆍ출력 값을 얻었다. 얻은 입력 데이터를 칩 테스트장비에 입력하여 구현된 칩에 넣고 나오는 출력을 벡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은 결과 값과 비교하였다. 다양한 기능의 검증을 위하여 3가지 패턴의 벡터를 생성,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생성된 테스트 벡터는 썬 웍스테이션 상에서 Synopsys사의 툴인 vhdl analyzer와 vhdl debugger를 이용하여 simulation하였고, 각 벡터들의 입출력을 텍스트로 얻었다. 그리고 칩의 기능 시험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Trillium 장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MCM후에 생성된 벡터의 입ㆍ출력 값과 테스트장비로부터 얻은 출력이 여러 기능들에 대하여 일치됨을 알았다.

  • PDF

향로봉지역(香爐峰地域)의 식물상(植物相) 연구(硏究) (A Study on the Flora Mt. Hyangro-Bong)

  • 박완근;유석인;박광서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44-64
    • /
    • 1999
  • 향로봉(香爐峰)지역을 대상으로 식물상(植物相)을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管束植物)은 86과(科) 254속(屬) 393종(種) 2아종(亞種) 48변종(變種) 4품종(品種)으로 총 450종류(種類)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한국특산식물(韓國特塵植物)은 지리대사초, 키버들, 누른종덩굴, 진범, 금강제비꽃, 산오이풀, 노랑갈퀴, 금마타리, 금강초롱꽃, 흰금강초롱꽃, 각시서덜취 등 23종류(種類), 희귀(稀貴) 및 멸종위기식물(滅種危機植物)은 진부애기나리, 말나리, 연령초, 천마, 누른종덩굴, 도깨비부채, 붉은인가목, 금강제비꽃, 꽃개회나무, 금강초롱꽃 등 17종류(種類)가 분포하고 있었으며, 조사지역내의 귀화식물(歸化植物)로는 오리새, 왕포아풀, 애기수영, 대나물, 다닥냉이, 달맞이꽃, 미국쑥부쟁이, 지느러미엉겅퀴, 개망초, 서양민들레 등 14종류(種類)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중국과 북한 접경지역 두만강 일대의 Flora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y of the flora at Tumen river area, border of North Korea and China)

  • Ahn, Young-Hee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5-132
    • /
    • 2003
  • This study was executed by China along with the Tumen river, which formed border of North Korea and China. As a result 91 family, 282 genera, 363 species, 57 variety 4 species, total 424 taxa of vascular plants were identified. The examination area was include the region that had various vegetation such as upper swampy land, seashore dune, a river, a high mountain grassy plain, deciduous tree zone, evergreen coniferous forest zone. The followings are representative plants, which found in an examination area but not in South Korea. Picea koraiensis, Larix gmelini var. principis-ruprechtii, Betula playphylla, Ulmus pumila, Populus koreana, Ledum palustre var. diversipilosum, Rhododendron parvifolium, Salix brachypoda, Phacelurus latifolius, Carex gotoi, Carex capricornis, Calla palustris, Aquilegia flabellata var. pumila, Lilium davuricum, Astragalus membranaceus, Trifolium lupinaster, Ledebourieila seselodeds, Polemonium racemosum, Scutellaria baicalensis, Linnaea borealis, Thladiantha dubia, Inula helenium, Trollius hondoensis, Hypocaeris ciliata, Aconitum kirinense, Aconitum arcuatum, Potentilla viscosa var. macrophylla. And there are 21 rare and endangered species, which Korean Forest Sevice designated, such as Aconitum koreanum,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Polygonatum stenophyllum, Drosera rotundifolia, Iris setosa, Jeffersonia dubia, Lilium davuricum, Lilium cernum, Paeonia obovata, Penthorum chinense, Phacelurus latifolius, Rosa marretii, Sparganium stoloniferum, Thymus quinquecostatus, Trillium tschonoskii, Utricularia japonica, Tripterospermum japonicum, Vaccinium uliginosum, Vaccinium vitis-idaea, etc. Especially, plants like, Acanthopanax senticosus, Jeffersonia dubia and Lillum cernum which have high values of ornamental, and medical use are in an extinction crisis. High swampy land was formed to upper stream of Tumen river. It showed representative vegitation, like Carex sp., Scirpus radirans, Eriophorum latifolium. Wetlands plant and a dune plant were mixed in down stream area of Tumen river. On a dune, seashore plants, such as Carex kobomugi, Salsola collina, Raphanus sativus var. raphanistroides, Rosa rugosa, Scutellaria strigillosa, Linaria japonica, Phacelurus latifolius were appeared frequently.

민통선 접경지역(매봉산, 칠절봉, 향로봉)일대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Civilian Control Line Area (Hyangro-Bong, Chiljeol-Bong, Mt. Mae-Bong in Inje-gun, kangwon-do))

  • 박광서;안치호;박완근
    • 임산에너지
    • /
    • 제20권2호
    • /
    • pp.81-116
    • /
    • 2001
  • 민통선 접경지역을 대상으로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104과 331속 634종 2아종 90변종 7품종으로 총 730종류가 분포하였으며, 양치식물계수(Pte-Q)는 1.27로 종다양성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의 한국특산식물은 지리대사초, 키버들, 누른종덩굴, 진범, 금감제비꽃 등 31종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진부애기나리, 말나리, 연령초, 천마 등 35종류가 분포하고 있었으며, 조사지역내의 귀화식물로는 오리새, 왕포아풀, 애기수영, 대나물, 다닥냉이 등 26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통선 접경지역의 식생은 1군목, 1군단, 6군락으로 분류되었다. Rhododendro-Quercetalia mongolicae Kim 1990(신갈나무-철쭉군목), Lindero-Quercion mongolicae Kim 1990(신갈나무-생강나무군단), A. Carex humilis v. nana- Phinus densiflora Community 소나무-산거울군락, B. Acer pseudo-sieboldianum-Quercus mongolica Community 당단풍-신갈나무군락, C. Styrax obassia-Quercus mongolica Community 쪽동백-신갈나무군락, D. Acer palmatum-Quercus mongolica Community 단풍나무-신갈나무군락, E. Rheodendron mucronulatum-Quercus mongolica Community 진달래-신갈나무군락, F. Betula schmiditii-Quercus mongolica Community 박달나무-신갈나무군락

  • PDF

금대봉 산림유전자원보호림의 하층식생 분포양상 (Distributional Patterns of Understory Vegetation at Mt. Geumdae's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s)

  • 전승훈;이형숙;임종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3호
    • /
    • pp.339-350
    • /
    • 2009
  • 본 연구는 금대봉 산림유전자원보호림의 희귀식물 및 유용 식물자원의 분포실태와 상층식생의 군집구조에 따른 하층식생의 분포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금대봉 산림유전자원보호림지역내 출현하고 있는 관속식물상은 모두 59과 160속 218종류로 확인되었으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나도개감채, 연령초, 말나리, 노랑무늬붓꽃, 홀아비바람꽃, 금강제비꽃 등 6종류가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 지역에 걸쳐 대규모 군락지 형태의 분포양상을 나타내는 홀아비바람꽃 등 8종류의 초본종과 소규모 패치상 또는 적은 개체수가 흩어져 출현하는 나도잠자리난 등 15종류의 초본종이 유용 식물자원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금대봉 산림유전자원보호림의 현존식생은 하층식생의 분포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정한 방형구의 조사자료를 기준으로 유집분석한 결과 상층식생의 군집은 신갈나무 우점 군집, 일본잎갈나무 우점 군집, 그리고 과거 산림벌채와 풍충성 고산지대의 영향으로 인한 초본식생 우점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하층식생의 분포양상은 임분 내 상층 및 중층식생의 군집구조와 어느 정도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다른 한편으로 교란에 따른 입지적 특성과 하층식생의 종 조성의 차이 및 경쟁압력으로 인하여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산림유전자원인 주요 하층 식생의 보존을 위해서 상층식생의 밀도조절 등으로 인해 야기되는 하층식생의 동태 및 생육환경의 변화를 정확하게 파악 한 후 간벌 등 산림시업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산마늘(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의 형태적.유전적 변이 (Morphological and Genetic Variation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 배관호;홍성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3권
    • /
    • pp.45-53
    • /
    • 1995
  • 약용 또는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산림자원 식물인 산마늘(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의 지역별 군락생태적 특징과 형태적 유전적 변이를 살펴본 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식생구성을 살펴보면 오대산과 함백산의 경우는 고목충의 우점종은 신갈나무이며 아고목 관목층은 당단풍, 쇠물푸레, 철쭉꽃의 피도가 높게 나타났다. 울릉도의 경우는 너도밤나무, 우산고로쇠, 섬피나무, 마가목, 섬단풍나무가 고목층에 나타나며, 초본층에는 우점종인 산마늘과 함께 일색고사리, 섬말나리, 큰연령초의 피도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오(1977)의 식물지리구계구분에서 울릉도를 울릉도아구로 별도로 구분하고 있는 것과 같이 내륙의 오대산, 함백산과 울릉도의 전반적인 식생구성은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형태적 인자에 대한 주성분분석과 판별분석 결과 울릉도와 함백산 및 오대산의 두 group으로 구분되었다 울릉도의 산마늘은 함백산 및 오대산 지역과 비교하여 $A_1$, $C_1$ band가 없고, 대신 $C_3$ band가 나타나 유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함백산과 오대산 두 지역의 산마늘에 있어서는 함백산에 $A_4$ band가 하나 더 있을 뿐이어서 동위효소 GOT에 의한 변이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세 지역의 산마늘에 대한 유전적 변이에 있어 함백산과 오대산은 큰 차이가 없으나 이들 두 지역과 울릉도와는 변이의 폭이 크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