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owicz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4초

과루인 및 과루인청혈플러스가 인간 탯줄 정맥 내피 세포(Human umbilic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에서 염증인자 발현 억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owicz Extract and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owicz Cheonghyeol Plus on Anti-Inflammatory Factor Expression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 김해융;설인찬;유호룡;김윤식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14-528
    • /
    • 2022
  • Objective: To examine the effects of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owicz extract (TE) and Trichosanthes kirilowii Maxi mowicz Cheonghyeol Plus Phellinus linteus Cheonghyeol plus (TCP) on anti-inflammatory factor expression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Methods: HUVECs were activated with TNF-α and then treated with TE and TCP. The expression levels were then measured for intracellular genes (KLF2, eNOS, MCP-1, ICAM-1, and VCAM-1), proteins (KLF2, eNOS, MCP-1, ICAM-1, VCAM-1, ERK, and JNK, p38), and extracellular biomarkers (ICAM-1, VCAM-1, and MCP-1). Results: 1. TCP at concentrations of 100 ㎍/mL or greater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KLF2 and eNOS intracellular genes and significantly decreased the expression of ICAM-1, VCAM-1, and MCP-1 gen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2. TCP at concentrations of 100 ㎍/mL or greater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KLF2, eNOS protein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significantly reduced the expression of VCAM-1, ICAM-1, MCP-1, ERK, and p38 proteins. However, JNK protein phosphorylation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3. TCP at concentrations of 100 ㎍/mL or mo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roduction of MCP-1, ICAM-1, and VCAM-1 extracellular biomarker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4. TE at a concentration of 100 ㎍/mL did not cause any significant change in the expression of intracellular genes or proteins, in the production of the extracellular biomarker MCP-1, or in the amount of JNK protei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Other intracellular genes, proteins, and extracellular biomarker expression showed the same trend as observed with TCP exposure. Conclusion: This study experimentally confirmed that TE and TCP could be effective in preventing or inhibiting various inflammatory vascular diseases due to their anti-inflammatory effects.

하늘타리(Trichosantes kirilowii Maximowicz)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ive Effectiveness of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owicz Extracts)

  • 조춘구;엄태용;김주찬
    • 공업화학
    • /
    • 제18권6호
    • /
    • pp.625-629
    • /
    • 2007
  • 최근 피부친화성, 흡수력, 나노 입자의 제조 등에 우수한 특성을 지닌 불포화 레시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불포화레시친의 산화안정성을 높이고, 변질되기 쉽고 독성을 지닌 합성화합물을 대체하는 천연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결과, 하늘타리(T. kirilowii Maximowicz)의 열매와 뿌리의 성분분석을 한 결과 항산화 성분으로는 갈릭산, 카페인산, 3,5-디하이드록시벤조익산, 플라보논이 검출되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열매추출물(53.5 mg/g)보다 뿌리추출물(133.85mg/g)에서 높게 나타났고 프리라디칼 제거 및 지질산패 억제효과 또한 뿌리 추출물이 우수하였으며 뿌리 추출물은 폴리페놀 함량이 100 ppm 이상일 때 대조군으로 사용한 BHT보다 약 20.1%, 19.2%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하늘타리 추출물은 1250ppm 이하에서 95% 이상의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안전성이 우수하였다. 리포좀의 안정성에 대한 효과는 열매보다 뿌리추출물이 우수하였으며 뿌리추출물은 대조군인 BHT에 비해 항산화 효과 15.1%, 제타전위 13.9% 높았으며, 입자크기는 9.3% 낮아 기존의 합성 원료보다 우수하였다

하늘타리의 이화학적 조성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owicz)

  • 전병영;한광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50-153
    • /
    • 2005
  • 하늘타리는 한약재로 많이 사용되지만 이들의 일반성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한약재로 사용되는 각 부위 중의 일반성분을 조사한 결과 괄루실의 경우 탄수화물 70%, 조단백질이 13%, 조지방 5%, 조섬유소 6%, 조회분 6%의 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괄루인은 탄수화물 62.59%, 조단백질이 12.75%, 조지방 14.80%, 조섬유소 6.5%, 조회분 3.36%의 함량을 나타냈고 괄루근은 탄수화물 89.40%, 조단백질이 4.10%, 조지방 0.50%, 조섬유소 3.5%, 조회분 2.50%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괄루실과 괄루인은 15종류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중 괄루실에는 폐닐알라닌과 글리신이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괄루인에는 루신이 없는 대신 라이신이 검출되었으며, 괄루근에서는 14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다.

호박$(Cucurbita\;moschata\;D_{UCHESNE})$잎에서 리보즘불활성화 단백질의 분리 및 특성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Ribosome-inactivating Proteins from the Leaves of $Cucurbita\;moschata\;D_{UCHESNE}$)

  • 이시명;김영태;황영수;조강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5호
    • /
    • pp.375-379
    • /
    • 1997
  • 리보즘불활성화 단백질(Ribosome-inactivating protein, RIP)을 생성하는 식물을 탐색하여 그중 호박$(Cucurbita\;moschata\;D_{UCHESNE})$ 잎에서 ammonium sulfate 침전, DE 52-Cellulose, S-Sepharose, FPLC Superose 12 HR, FPLC Mono-S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ribosome-Inactivating 활성이 있는 단백질(PR 1, PRIP 2)을 분리하였다. 정제된 단백질의 분자량은 SDS-PAGE에서 약 31,000과 30,500인 염기성 단백질로서, 특히 PRIP 1은 열에도 안정하여 $50^{\circ}C$에서 30분간 처리한 경우에도 활성이 유지되었다. 이 단백질들의 ribosome-inactivating 활성을 in vitro translation system에서 측정한 결과 50% 활성저해농도 $(IC_{50})$는 PRIP 1은 0.82nM, PRIP 2은 0.79 nM이었다. PRIP 1과 PRIP 2의 N-말단부분의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하여, 이미 밝혀진 리보즘불활성화 단백질들과 아미노산서열의 유사성을 분석해 본 결과, PRIP 1은 Luffa cylindrica에서 분리된 Luffin B 및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owicz에서 분리된 Trichokirin과, PRE 2은 Momordia charantia에서 분리된 Momordin II 및 MAP 30과 유사성이 매우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