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age Algorithm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IoT개념을 활용한 중증도 분류 시스템에 관한 연구 (Research of IoT concept implemented severity classification system)

  • Kim, Seungyong;Kim, Gyeongyong;Hwang, Incheol;Kim, Dongsik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28-3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재난현장 또는 일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수사상자의 중증도 분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여 구현하였으며, 중증도 분류 알고리즘의 정확도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의성 등 현장의 요구사항을 적극 반영하였다. 개발된 e-Triage System은 IoT개념을 활용하여 다양한 중증도 분류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으며, 기존의 중증도 분류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NFC 모듈 등 전자적 요소를 반영한 e-Triage Tag를 구현하였다. 앱으로 구현된 중증도 분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환자의 평가가 가능함을 입증하였고, 시인성을 위해 전자 중증도 분류 결과를 4가지 LED램프로 표출하였으며, 2차 분류를 통해 RTS 점수를 FND(Flexible Numeric Display)로 표출하였다.

딥 러닝을 이용한 버그 담당자 자동 배정 연구 (Study on Automatic Bug Triage using Deep Learning)

  • 이선로;김혜민;이찬근;이기성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4권11호
    • /
    • pp.1156-1164
    • /
    • 2017
  • 기존의 버그 담당자 자동 배정 연구들은 대부분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예측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고성능의 기계학습 모델을 적용하는 것이 담당자 자동 배정 시스템 성능의 핵심이 된다고 할 수 있으며 관련 연구에서는 높은 성능을 보이는 SVM, Naive Bayes 등의 기계학습 모델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계학습 분야에서 최근 좋은 성능을 보이고 있는 딥 러닝을 버그 담당자 자동 배정에 적용하고 그 성능을 평가한다. 실험 결과, 딥 러닝 기반 Bug Triage 시스템이 활성 개발자 대상 실험에서 48%의 정확도를 달성했으며 이는 기존의 기계학습 대비 최대 69%향상된 결과이다.

한국형응급환자분류도구를 적용한 응급실에서 소아 환자의 중증도 분류 정확성 (Triage Accuracy of Pediatric Patients using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in Emergency Departments)

  • 문선희;심재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626-634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형응급환자분류도구(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를 사용한 소아 중증도 분류의 정확성을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자료는 2016년 10월부터 2017년 9월까지 1개 권역응급의료센터, 1개 지역응급의료센터에 방문한 소아환자의 자료 중 무작위로 추출한 250건의 간호초진기록지와 진료결과였다. 수집된 자료를 검정된 전문가가 분석하여 true-triage를 정하였다. 중증도 분류 정확도는 응급실간호사의 중증도 분류 결과와 전문가의 true-triage결과와의 일치도로 평가하였다. 전문가 의견에 따라 중증도 분류 오류의 원인이 분석되었고, KTAS 등급과 퇴원, 체류시간, 진료비와의 연관성이 비교되었다. 연구결과 전문가와 응급실 간호사의 중증도 분류 등급은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weighted kappa=.77). 중증도 분류 불일치의 원인 중 활력징후 결과를 KTAS 알고리즘 기준에 잘 못 적용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n=13). KTAS 1,2 등급과 같이 중증도가 높을수록 퇴원이 적었다(${\chi}=43.25$, p<.001). 연령을 보정했을 때 KTAS 등급에 따라 체류시간(F=12.39, p<.001)과 진료비(F=11.78, p<.001)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KTAS는 국내 응급실에서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므로, 새로 개발된 중증도 분류 도구가 국내 응급실에 잘 적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Suitability of the CDC Field Triage for Korean Trauma Care

  • Choi, Kang Kook;Jang, Myung Jin;Lee, Min A;Lee, Gil Jae;Yoo, Byungchul;Park, Youngeun;Lee, Jung Nam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3권1호
    • /
    • pp.13-17
    • /
    • 2020
  • Purpose: Accurate and appropriate prehospital field triage is essential for a trauma system. The Korean trauma system (established in 2014) uses the trauma field triage algorithm of the United Stat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This study evaluated the suitability of the CDC field triage criteria for major trauma cases (injury severity score >15) in Korea. Methods: 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evaluated trauma patients who presented at the authors' regional trauma center from January 1 to May 7, 2017. The undertriage and overtriage rates of each CDC field triage step were calculated.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were constructed, and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was evaluated for each step. Results: Among the 1,009 enrolled patients, 168 (16.7%) had major trauma. The undertriage/overtriage rates of each step (steps I, II, III, and IV) of CDC field triage were 9.2%/47.4%, 6.3%/50.8%, 4.5%/59.4%, and 5.3%/78.9%, respectively. The AUC values of each CDC triage step were 0.722, 0.783, 0.791, and 0.615, respectively. The AUC values of the separate components of each step (physiologic criteria, anatomic criteria, mechanism-of-injury criteria, and special considerations) were 0.722, 0.648, 0.647, and 0.456,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CDC field triage system is acceptable, but not ideal, for Korean trauma care. If we follow the protocol, it would be preferable to omit step IV.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may be a good indicator for in-hospital triage. However, a new triage protocol that is simple to estimate on-scene while having good performance should be developed.

Cost-Effectiveness Analysis of Different Management Strategies for Detection CIN2+ of Women with Atypical Squamous Cell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ASC-US) Pap Smear in Thailand

  • Tantitamit, Tanitra;Termrungruanglert, Wichai;Oranratanaphan, Shina;Niruthisard, Somchai;Tanbirojn, Patuou;Havanond, Piyalampor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6호
    • /
    • pp.6857-6862
    • /
    • 2015
  • Background: To identify the optimal cost effective strategy for the management of women having ASC-US who attended at King Chulalongkorn Memorial Hospital (KMCH). Design: An Economical Analysis based on a retrospective study. Subject: The women who were referred to the gynecological department due to screening result of ASC-US at King Chulalongkorn Memorial Hospital, a general and tertiary referral center in Bangkok Thailand, from Jan 2008 - Dec 2012. Materials and Methods: A decision tree-based was constructed to evaluate the cost effectiveness of three follow up strategies in the management of ASC-US results: repeat cytology, triage with HPV testing and immediate colposcopy. Each ASC-US woman made the decision of each strategy after receiving all details about this algorithm,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strategy from a doctor. The model compared the incremental costs per case of high-grade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2+) detected as measured by incremental cost-effectiveness ratio (ICER). Results: From the provider's perspective, immediate colposcopy is the least costly strategy and also the most effective option among the three follow up strategies. Compared with HPV triage, repeat cytology triage is less costly than HPV triage, whereas the latter provides a more effective option at an incremental cost-effectiveness ratio (ICER) of 56,048 Baht per additional case of CIN 2+ detected. From the patient's perspective, the least costly and least effective is repeat cytology triage. Repeat colposcopy has an incremental cost-effectiveness (ICER) of 2,500 Baht per additional case of CIN2+ detected when compared to colposcopy. From the sensitivity analysis, immediate colposcopy triage is no longer cost effective when the cost exceeds 2,250 Baht or the cost of cytology is less than 50 Baht (1USD = 31.58 THB). Conclusions: In women with ASC-US cytology, colposcopy is more cost-effective than repeat cytology or triage with HPV testing for both provider and patient perspectives.

Ovarian Malignancy Probability Score (OMPS) for Appropriate Referral of Adnexal Masses

  • Arab, Maliheh;Honarvar, Zahra;Hosseini-Zijoud, Seyed-Mostaf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0호
    • /
    • pp.8647-8650
    • /
    • 2014
  • Background: Ovarian cancer is the most common cancer cause of gynecologic cancer deaths. In order to increase the likelihood of patient survival through primary operation by gyneco-oncologists, an appropriate algorithm for referral is considered here. Materials and Methods: Suspicious adnexal mass cases including ovarian malignancy probability score-1 (OMPS1) scores between 2.3-3.65 are re-evaluated by OMPS2.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each score were determined. Results: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ith a 3.82 score of OMPS2 in the studied subgroup (OMPS1 scores between 2.3-3.65) were 64% and 76.9% respectively. Conclusions: Management of OMPS1 scores of below 2.3 with sensitivity of 100% and above 3.65 with specificity of 72.9% is clear. In the subgroup of cases with OMPS1 score between 2.3-3.65, OMPS2 is helpful for triage with a cutoff score of 3.82.

팬데믹 감염병 시대에 안전이송을 위한 정보시스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System for Safe Transportation of Emergency Patients in the Era of Pandemic Infectious Disease)

  • 김승용;황인철;김동식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839-846
    • /
    • 2022
  • 연구목적:감염병 유행시 감염병 의심 환자의 구급활동을 위해 출동한 소방대원의 안전을 확보하고, 현장에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지역별 감염병 의심환자 발생 현황을 파악하여 현장 통제 및 지원이 가능한 소방 감염병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감염병 의심 환자를 분류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앱을 개발하여 감염병 의심 여부를 확인하고, 감염병 의심 환자로부터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환자 식별용 NFC 태그를 1회용 형태로 개발한다. 현장에서 입력되는 감염병 의심 응급환자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해당 업무 관련자에게 제공하여 감염병 의심 응급환자의 이송을 개선하는지 평가한다. 연구결과: 실험결과 스마트폰 앱에 구현된 알고리듬을 통해 감염병 의심 여부를 판단할 수 있었으며, 적정 이송병원으로 이송함으로써 재이송 비율히 현저히 감소되었다. 결론:본 연구를 통해 응급의료 서비스에 ICT 기술을 적용하여 응급의료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감염병 의심환자에 대한 적정병원 이송으로 이송시간 단축 및 응급환자의 소생률 향상과 함께 구급대원의 안전을 적극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