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pa Japonica Flerow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열매 특성에 의한 한국산 마름과 큰마름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A taxonomical examination of Trapa japonica and T. bispinosa based on nut characters)

  • 나혜련;김창균;정종덕;최홍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3-117
    • /
    • 2010
  • 국내에서 채집된 마름속 식물들을 동정한 결과, 열매가 대형인 Trapa bispinosa Roxb.가 확인되었다. Trapa bispinosa는 국내에서 마름(T. japonica Flerow)으로 동정되어 보고된 바 있으나, 마름속 식물의 중요 식별형질인 열매 형태와 크기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두 분류군의 열매에 대한 16개 정량형질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주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열매 형질의 분석 결과, T. bispinosa는 마름에 비하여 열매의 너비와 두께가 크고, 열매의 뿔이 길고 비후된 특징을 가진다. 또한 전체 변이의 42.3%를 설명하는 주성분1에 의해서 마름과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이번에 조사된 T. bispinosa는 마름과 구별되는 독립된 분류군으로 취급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파악되며 일반명으로 '큰마름'을 부여하였다.

마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암세포증식 억제 활성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Water Chestnut (Trapa japonica Flerow))

  • 한혜민;권용수;김명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4-20
    • /
    • 2016
  • Background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water chestnut (Trapa japonica Flerow). Methods and Results :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pericarp and seed extract was 438.31 mg/g and 25.32 mg/g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showed that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_{50}$ values) of pericarp and seed extract were $5.28{\mu}g/m{\ell}$ and $355.51{\mu}g/m{\ell}$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ericarp extract showed strong reducing power. In the MTT assay, the pericarp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viability of A549, AGS, HeLa, PC-3, HCT116, HT29 and SW620 cell lines compared with the seed extract.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 japonica Flerow extracts have significant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