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mission of infection

검색결과 536건 처리시간 0.029초

2010/2011년도 한국 발생 구제역 확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read of the foot-and-mouth disease in Korea in 2010/2011)

  • 황지현;오창혁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2호
    • /
    • pp.271-280
    • /
    • 2014
  • 구제역은 전염성이 높고 치명적 결과를 유발하는 우제류 전염병이며, 2010/2011년도에 국내에서 발생한 구제역 (2010/2011 구제역)은 사회 및 경제적으로 국가에 재난 수준의 손실을 끼쳤다. 따라서 국가적 차원에서 구제역의 예방과, 발병 시 피해를 줄이려는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하나로 구제역의 전염 현상을 확률적으로 모형화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영국에서 발생한 2001년 구제역은 그 규모와 피해가 막대하여, 영국에서는 다양한 확률적 모형으로 구제역 전파 현상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미래의 발생에 대비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2010/2011 구제역에 대하여는 확률적 모형을 활용한 연구가 미미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0/2011 구제역에 대하여 시간-공간 확률 SIR 확률모형을 가정하고 시간과 공간에 따르는 전파 현상에 대하여 고찰한다.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에서 발표한 구제역 감염데이터와 통계청의 전국농가센서스 자료의 일부인 전체 우제류 농가의 데이터가 본 연구의 분석에 필요한 정도로 상세하지 않으므로 추정 및 보정작업을 통하여 데이터를 보완하였다. 감염데이터를 이용하여 커널함수를 추정하고, 전국 우제류 농장데이터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모형의 모수를 추정하였다.

Bombina orientalis 피부손상 후 과립선 재생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 (Fine Structural Approach of Granular Gland Regeneration after Skin Injury in Bombina orientalis)

  • 정문진;임도선;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3호
    • /
    • pp.275-284
    • /
    • 2002
  • 두꺼비 등 피부손상 후 과립선의 재생과정을 주사전자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절개에 의하여 피부손상을 가한 후 실험을 위하여 특수히 제작된 cage 내에서 최대 20일간 사육하였다. 투과전자현미경 관찰에서 손상 4일 후 미성숙 형태의 신생 과립선이 관찰되었으며, 상피세포는 신생 과립선의 첨단부로 이동하여 있었다. 상피세포의 표면은 편평하였으며 desmosome 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았다. 미토콘드리아를 많이 함유한 세포돌기 (MRC)들이 선의 내강을 형성하고 있었고, 이들 돌기에서는 hemidesmosome이 관찰되었다. 신생선의 기저강은 MRC, 과립형성전세포 및 과립형성 세포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특히, 손상 후 10일에 xanthophore가 상피세포의 기저부로 이동하여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들 세포는 다수의 크기가 큰 pterinosome 과 중등도의 전자밀도를 가진 carotenoid vesicle을 포함하고 있었다. 손상 후 13일에, xanthophore는 많은 carotinoid vesicle과 lammelated pterinosomes을 포함하고 있었다. Iridophore는 손상 16일에 분화중인 xanthophore 주변에서 관찰되었다. 이러한 소견은 손상으로부터의 회복 과정에 선조세포(glandular precursor cell)로부터 과립선이 재생되며, 선세포의 팽대는 이들 신생 세포의 성숙 및 증식에 의한 것을 의미한다.

실시간 뎅기열 관리를 위한 관제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Real-Time Control & Management System with In-Vitro Diagnostic Medical Device for Dengue Fever)

  • 안창선;박용호;문정대;박종찬;서영곤;손유락;최윤종;하양화;정봉수;김영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2권2호
    • /
    • pp.77-84
    • /
    • 2023
  • 뎅기열 발병은 전 세계 인구의 약 1/3이 거주하고 있는 열대, 아열대 기후에 집중되며, 우리나라도 아열대 기후로 바꾸고 있어 뎅기열 발병에 취약해지고 있다. 뎅기열은 감염병 관리 차원에서 진단 이력 관리가 중요하다. 감염병 이력에 따라서 지역별, 연령별, 남녀비율 등에 따라서 개개인의 치료 방법과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뎅기열 관제시스템을 제안하며, 이러한 시스템은 뎅기열의 발병에 대한 체외진단기기를 이용한 실시간 집계방식으로 발병률과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뎅기열 관리를 위한 관제시스템 구성으로 형광면역진단 키트를 이용한 뎅기열 체외진단기기와 실시간 뎅기열 관제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으로 개발된 뎅기열 관제시스템은 향후 정부의 감염병 통합정보와 결합되어 다양한 감염병 관리 및 정책 활용을 위해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소아의 만성 B형 간염: 새로운 병리조직학적 분류와 임상 소견의 상관 분석 (Chronic HBV Infection in Children: The histopathologic classification and its correlation with clinical findings)

  • 이선영;고재성;김종재;장자준;서정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권1호
    • /
    • pp.56-78
    • /
    • 1998
  • 연구목적: 만성 B형 간염의 간조직 소견은 진단 및 예후의 평가 뿐아니라 치료여부의 결정 및 치료효과의 평가를 위해서 중요하고, 이는 좀 더 객관적, 구체적, 포괄적으로 새롭게 분류할 필요성이 있다. 우리나라 소아의 만성 B형 간염의 빈도는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아직 이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고찰은 거의 없는 상태이다. 이에 저자들은 점수로 평가한 최근의 반정량적 분류 방법(Ludwig 분류법)을 전통적으로 이용되어온 De Groute의 분류법과 비교하여 연관성을 밝히고, 반정량적 분류법이 좀 더 객관적으로 예후를 예견하고 형태학적 변화를 감시하는 유용한 방법임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간조직 생검을 받은 만성 B형 간염 환아 99명을 대상으로 병리조직 소견과 병록지 고찰을 시행하였다. B형 간염 표식자로는 HBsAg, anti-HBs, HBeAg, anti-HBe, anti-HBc(IgG, IgM), HDV를 방사면역측정(radioimmunoassay)을 이용하여 검사하였다. 간생검조직은 전통적인 De Groute의 병리조직학적 분류법과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문맥강 및 문맥강 주변의 염증(Portal/Periportal activity), 간소엽 내 염증(Lobular activity), 섬유화(Fibrosis)로 나누어 각각의 정도를 0에서 4로 점수화(Numerical scoring)한 Ludwig의 체계에 따라 분류하였다. 두가지 분류법 간의 연관성과, 병리조직 소견에 따른 빈도, 연령 및 성별 분포, 임상적 특징, 생화학적 및 혈청학적 검사 소견을 비교 조사하였다. 또한 간세포암 5례는 따로 분류하여 임상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결 과: 1) 총 99례 중 남아 83례, 여아 16례였고, 연령별 분포는 1년 5개월에서 16년 4개월까지였으며, 평균연령은 9.4세였다. 병리조직형별 연령 및 성별분포에는 차이가 없었다. 2) 병리조직형별 분포는 정상 조직 소견 2례, 만성 소엽성 간염 2례, 만성 지속성 간염 22례, 경도 만성 활동성 간염 40례, 중등도 만성 활동성 간염 19례, 고도 만성 활동성 간염 1례, 간경변을 동반한 만성 활동성 간염 7례, 간경변증 1례, 간세포암 5례였다. 두가지 분류법은 높은 연관성을 보였으나 간경화의 경우는 연관성이 떨어져서, 간조직내 염증과 섬유화는 따로 분리하여 평가하거나, 섬유화의 중량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3) 간세포암을 제외한 94례 중 66례(70%)가 신체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된 경우였으며, 2례는 전신 부종이 주소로서 B형 간염과 관련된 막성 사구체 신염이 동반되어 있었다. 그 외는 비특이적인 간염증상을 주소로 내원하여 진단되었다. 내원시 임상 증상으로는 이피로성, 식욕부진, 오심, 구토, 복통, 복부팽만, 체중감소, 발열, 진한 소변색, 황달, 비출혈, 부종, 혈뇨 등이 있었고, 이학적 소견으로는 간장비대, 비장비대, 우측 상복부통이 있었다. 병리조직형별 임상증상, 이학적 소견 및 그 빈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4) 총 99례 중 가족력상 어머니에 B형 간염의 병력이 있는 경우가 54례, 아버지가 12례, 형제들의 경우가 25례 있었으며, 그 외의 동거 가족에서 가족력이 있는 경우는 17례 있었고, 가족력이 없는 경우는 28례였다. 가족 중 간경화가 있는 경우는 9례였고, 간세포암도 2례에서 있었다. 어머니가 만성 활동성 간염으로 사망한 례가 1례 있었고, 형제가 전격성 간염으로 사망한 경우도 1례 있었다. 병리조직형별 가족력의 차이는 없었다. 5) 간기능 검사소견을 보면, AST와 ALT의 평균은 각각 $151{\pm}158$ U/L, $215{\pm}221$ U/L이고, 병리조직형별로는 조직 염증소견이 심할수록 유의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병리조직형별로 중복되는 부분이 많아 AST, ALT치로 조직형을 예측하는 것은 어려웠다. Ludwig의 분류와 간기능 검사치와의 관계를 보면, 혈청 알부민은 섬유화가 진행할수록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ALT, AST는 간조직내 염증 및 섬유화가 심할수록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6) Prothrombin time은 조직형이 심할수록 유의하게 길어졌고, 특히 간경화가 진행될수록 나빠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APT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도 조직형이 심할수록 길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반정량적 방법에 의한 분류와의 관계를 보면, Prothrombin time과 APTT는 간조직내 염증 및 섬유화가 심할수록 길어지는 것을 관찰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7) IgM anti-HBc는 검사가 이루어진 80명 중 1명에서만 양성이었고, HDV는 검사가 이루어진 83명 중 양성인 경우는 한 례도 없었다. HBeAg은 간생검 당시 81례에서 양성이였고, 이 후 평균 $41.8{\pm}31.3$개월간의 추적 중에 HBeAg 음전을 보인 경우는 50례가 있었고, 1년 음전율은 37%였다. 병리조직형별로는 조직형이 심할수록 음전시까지의 기간이 짧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8) 간세포암 5례의 남녀 분포는 남아 4례, 여아 1례이고, 평균연령은 $10.4{\pm}3.1$세(7세~13세 6개월)였다. 모두에서 HBsAg양성, HBeAb양성과 어머니의 만성 B형 간염의 가족력이 있었다. 간세포암 주변 조직 소견은 1례를 제외하고는 모두에서 간경화의 소견을 보였다. 추적 중 혈청 AFP의 증가로 조기발견된 1례는 종양절제술 후 항암요법으로 추적 중에 있고, 그 외에는 모두 수술 후 항암요법 혹은 방사선요법을 병행하여 시행했으나 사망하였다. 결 론: 만성 B형 간염의 간손상 정도는 임상증상이나 생화학적 검사소견으로 평가할 수 없었고, 간조직검사에 의한 병리조직학적 분류가 필요하였다. 이는 De Groute의 분류와 잘 연관되는 반정량적 Ludwig 방법에 의해 좀 더 포괄적, 구체적, 객관적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후자는 예후를 예견하고, 형태학적 변화를 감시하며,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데 유용한 방법임을 시사하였다.

  • PDF

A Survey of Dung Beetles Infected with Larval Nematodes with Particular Note on Copris lunaris Beetles as a Vector for Gongylonema sp. in Iran

  • Mowlavi, Gholamreza;Mikaeili, Elmira;Mobedi, Iraj;Kia, Eshratbeigom;Masoomi, Lotfali;Vatandoost, Hassa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7권1호
    • /
    • pp.13-17
    • /
    • 2009
  • Dung beetles (family Scarabaeidae) are one of the largest families of beetles worldwide. Due to biological behavior of these arthropods, they are consider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life cycle of some helminths. In the present study, dung beetles collected from cattle pastures in rural areas of Ardabil province, north-west of Iran were examined for infection with larval stages of helminths. According to the results, nematodes of 2 genera were identified including Rhabditis and Gongylonema. The more common species was Rhabditis sp. which was found in 9 species of beetles. Out of 15 different species of dung beetles, Copris lunaris was the only scarabaeid to be found naturally infected with the larval stages of Gongylonema sp. Our new findings introduce C. lunaris as a potential biological vector for transmission of Gongylonema sp. to vertebrates in the surveyed region.

Transmission of $Toxocara$ $canis$ via Ingestion of Raw Cow Liver: A Cross-Sectional Study in Healthy Adults

  • Choi, Dong-Il;Lim, Jae-Hoon;Choi, Dong-Chull;Lee, Kyung-Soo;Paik, Seung-Woon;Kim, Sun-Hee;Choi, Yoon-Ho;Huh, Su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0권1호
    • /
    • pp.23-27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gestion of raw cow liver and $Toxocara$ $canis$ infection. A total of 150 apparently healthy adul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1 group consisted of 86 adults with positive results of Toxocara ELISA, and the other group of 64 adults with negative results. One researcher collected the history of ingestion of raw cow liver within 1 year and recent history of keeping dogs. Among 86 seropositive adults for $T.$ $canis$, 68 (79.1%) had a recent history of ingestion of raw cow liver.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a recent ingestion of raw cow liver and keeping dogs were related to an increased risk of toxocariasis (odds ratios, 4.4 and 3.7; and 95% confidence intervals, 1.9-10.2 and 1.2-11.6, respectively). A recent history of ingestion of raw cow liver and keeping dog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oxocariasis.

Childhood cutaneous leishmaniasis: report of 117 cases from Iran

  • Talari Safar Ali;Talaei Rezvan;Shajari Cholamreza;Vakili Zarichehr;Taghaviardakani Abbas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4권4호
    • /
    • pp.355-360
    • /
    • 2006
  • Cutaneous leishmaniasis (CL), due to Leishmania major, is endemic in different parts of Iran and has long been recognized in most provinces of Ira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childhood leishmaniasis in 3 areas at the southeast of Kashan, A descriptive study was carried out on all children referred to central laboratories during a 3-year period. Initial information including age, sex, sites of ulcer on the body, number of lesions, address, and the place of the disease was obtained. The study gathered 117 children, and the results showed a prevalence of 7.2% in patients with lesions among the population and 4.2% of people displayed lesion and scar. The ages of subjects were from 6 to 15 years (average 9.75 years). The boy: girl ratio was 1.2. All of our patients lived in an endemic area. The face was affected in 47.0% of cases. The encountered forms of leishmaniasis are as follows: papulonodular 27.4%, ulcer 60.7%, sporotrichoid 6%, impetiginous 2.5%, and erysipeloid 3.4%. Treatment with intramuscular meglumine antimoniate 20-30 mg/kg/day was done for 93 patients. Meglumine antimoniate treatment was tolerated with no side effects. All leishmaniasis lesions healed within an average period of 2-14 months. Hyperpigmented scars were formed in 25.6% of the patients, atrophic scars in 4.3%, and hypopigmented scars were in 3.4%, respective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increased prevalence of CL in the villages at the area of Kashan and Aran-Bidgol. The clinical finding patterns belonged to different endemic strains of L. major in Isfahan, which indicates the possible transmission of infection from Isfahan to this area.

Clinico-Epidemiological Patterns of Cutaneous Leishmaniasis Patients Attending the Anuradhapura Teaching Hospital, Sri Lanka

  • Galgamuwa, Lahiru Sandaruwan;Sumanasena, Buthsiri;Iddawela, Devika;Yatawara, Lalani;Wickramasinghe, Susiji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5권1호
    • /
    • pp.1-7
    • /
    • 2017
  • Cutaneous leishmaniasis (CL) caused by Leishmania donovani is an endemic vector-borne disease in Sri Lanka. Over 2,500 cases have been reported since 2000 and the number of CL cases has dramatically increased annually. Total 57 clinically suspected CL patients attending the dermatology clinic in Anuradhapura Teaching Hospital were recruited from January to June 2015. Slit skin smears and skin biopsies were taken from each of the subjects.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data were obtained using interviewer administered questionnaire. Forty-three (75.4%) patients among 57 were confirmed positive for L. donovani. The majority (77%) of infected patients was males, and the most affected age group was 21-40 years. Soldiers in security forces, farmers, and housewives were identified as high risk groups. The presence of scrub jungles around the residence or places of occupation (P=0.003), the presence of sandflies (P=0.021), and working outsides more than 6 hr per day (P=0.00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L. The number of lesions ranged from 1-3, and the majority (76%) of the patients had a single lesion. Upper and lower extremities were the prominent places of lesions, while the wet type of lesions were more prevalent in females (P=0.022). A nodular-ulcerative type lesion was common in both sexes. The presence of sandflies, scrub jungles, and outdoor activities contributed to spread of Leishmania parasites in an endemic pattern. Implementation of vector control programs together with health education with regard to transmission and prevention of CL are necessary to control the spread of this infection.

Successful Control of Lymphatic Filariasis in the Republic of Korea

  • Cheun, Hyeng-Il;Kong, Yoon;Cho, Shin-Hyeong;Lee, Jong-Soo;Chai, Jong-Yil;Lee, Joo-Shil;Lee, Jong-Koo;Kim, Tong-So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7권4호
    • /
    • pp.323-335
    • /
    • 2009
  • A successful experience of lymphatic filariasis control in the Republic of Korea is briefly reviewed. Filariasis in the Republic of Korea was exclusively caused by infection with Brugia malayi.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from the 1950s to 2006, many investigators exerted their efforts to detection, treatment, and follow-up of filariasis patients in endemic areas, and to control filariasis. Mass, combined with selective, treatments with diethylcarbamazine to microfilaria positive persons had been made them free from microfilaremia and contributed to significant decrease of the microfilarial density in previously endemic areas. Significant decrease of microfilaria positive cases in an area influenced eventually to the endemicity of filariasis in the relevant locality. Together with remarkable economic growth followed by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and personal hygiene and living standards, the factors stated above have contributed to blocking the transmission cycle of B. malayi and led to disappearance of this mosquito-borne ancient disease in the Republic of Korea.

Molecular Detection of Giardia intestinalis from Stray Dogs in Animal Shelters of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Daejeon, Korea

  • Shin, Jin-Cheol;Reyes, Alisha Wehdnesday Bernardo;Kim, Sang-Hun;Kim, Suk;Park, Hyung-Jin;Seo, Kyoung-Won;Song, Kun-H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3권4호
    • /
    • pp.477-481
    • /
    • 2015
  • Giardia is a major public health concern and considered as reemerging in industrialized countri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giardiosis in 202 sheltered dogs using PCR. The infection rate was 33.2% (67/202); Gyeongsangbuk-do and Daejeon showed 25.7% (39/152, P<0.0001) and 56% (28/50), respectively. The prevalence of infected female dogs (46.7%, P<0.001) was higher than in male dogs (21.8%). A higher prevalence (43.5%, P<0.0001) was observed in mixed breed dogs than purebred (14.1%). Although most of the fecal samples collected were from dogs of ${\geq}1$ year of age which showed only 27.4% positive rate, 61.8% (P<0.001) of the total samples collected from young animals (<1 year of age) were positive for G. intestinalis. A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in symptomatic dogs (60.8%, P<0.0001) was observed than in asymptomatic dogs (23.8%). Furthermore, the analysis of nucleotide sequences of the samples revealed that G. intestinalis Assemblages A and C were found in the feces of dogs from Gyeongsangbuk-do and Daejeon. Since G. intestinalis Assemblage A has been known to infect humans, our results suggest that dogs can act as an important reservoir of giardiosis in Korea. Hence, hygienic management should be given to prevent possible transmission to hum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