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media Contents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1초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연구 : 스토리텔링과 개념화 (A Study of Transmedia Contents : Storytelling and Conceptualization)

  • 신동희;김희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80-189
    • /
    • 2010
  • 문화콘텐츠는 개별적인 장르로도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서로 다른 장르끼리 넘나들기를 하면서 관람객에게 기존과는 다른 재미를 주고 있다. 바로 OSMU에 이어 등장한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Transmedia Contents)가 그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OSMU와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개념과 스토리텔링 방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그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출판 영화 게임 애니메이션 그래픽 노블(만화) 콘텐츠의 몇 가지 사례에 대입해 보았다. OSMU에서 사람들이 기대하는 것은 이야기의 중첩, 즉 다른 미디어에서 같은 이야기가 어떻게 표현되는가에 있다면,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에서는 하나의 콘텐츠에서 궁금했던 핵심 스토리를 뒷받침하는 배경이 야기, 단서가 되는 부차적 플롯, 좋아하는 캐릭터가 독자적으로 다른 장르에서 새로운 이야기와 액션으로 탄생하게 되어 각각 다른 콘텐츠를 접하게 될 때 하나의 완성된 세계를 보게 된다는 점에서 퍼즐이나 콜라주와 같음을 밝혔다. 결론에서는 국내에서 시도가 미비한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국내에서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를 개발함에 있어서의 문제점도 지적하였다.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텍스트 및 이용 특징 (Characteristics of Transmedia Contents Textuality and Usage)

  • 전경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43-250
    • /
    • 2010
  • 디지털기술은 콘텐츠의 제작과정을 매우 유연하게 하고, 그와 동시에 디지털화된 미디어는 동일 콘텐츠 혹은 동일 콘텐츠에서 변형, 수정, 가공된 콘텐츠가 자유롭게 호환될 수 있는 트랜스미디어 현상을 추동하고 있다.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는 다차원적인 속성을 지님으로써 각각의 콘텐츠 판본이 독자적인 세계를 구현하는 동시에 하나의 전체 콘텐츠 세계를 창조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이용자들은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에 기반한 여러 판본의 콘텐츠를 접하면서 콘텐츠 체험을 창조하고 심화할 수 있다. 트랜스 미디어 콘텐츠는 독자적인 미학과 존재의의를 구축하면서 콘텐츠의 텍스트적 특징, 제작원리, 소비행위 등 콘텐츠 전반에 걸쳐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특성 (Concept and Properties of Transmedia Storytelling)

  • 이상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93-200
    • /
    • 2009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에 기반한 다수의 콘텐츠가 하나의 세계를 구현하는 것으로,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에 새롭게 나타난 양식을 말한다. 하나의 세계를 창조해 내기 위해 각기 다른 미디어가 개별적인 세계를 유기적으로 창출하여 다양한 의미를 생산해 내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창작자의 영역을 넘어 소비자의 영역에까지 변화를 일으킨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첫 번째 특성은 창작의 공동 제작과 향유의 집단 지성이다. 두 번째 특성은 교차와 결합을 통한 스토리 분화로 소비자에게 새로운 경험과 통찰을 제시하는 것이다. 마지막 특성으로는 세계 구축을 위한 관계 맺기를 통해 콘텐츠가 수렴되고 발산되는 과정을 들 수 있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창작자와 소비자들이 만나는 여러 지점을 통해 모아지고 전개되는 것이다. 이러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특성은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구축되는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를 분석하는 기반으로 작용할 것이다.

잠재고객의 OSMU(One Source Multi Use) 콘텐츠 수용에 대한 탐색적 분석 : 영화, 드라마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Analysis on Adoption of Potential Customers in Transmedia Storytelling : Emphasis on Korean TV Drama and Movie)

  • 박봉원;이건창
    • 경영과학
    • /
    • 제27권2호
    • /
    • pp.81-95
    • /
    • 2010
  •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contents such as movie, drama and game using transmedia storytelling. It includes Le Grand Chef, The War of Flower, Dae Jang Geum, The Matrix, Harry Potter and The Lord of the Rings. However, transmedia contents have not always been successful. To study the factors affecting possible outcomes of transmedia storytelling, we analyzed the intention on transmedia of potential consumers who have not been exposed to transmedia contents before. To this end, we investigated two different cases : first, potential customer intention to watch dramas which will be produced after launching comic-based movies; second, potential customer intention to see movies which will be made after broadcasting comic-based TV dramas. In each case, we analyzed the outcomes from potential customers by applying several variables including gender, exposure to the original and components of contents (plot, quality of act and music etc). Our study showed that potential customers prefer movies or TV dramas with quality of acting, directing, casting and storylines. Interestingly, the quality of acting is more important in dramas than in movies and casting is an appealing factor to potential customers in movies. In TV drama cases, potential customers have high watching intentions when they read the original content. Among them, male potential customer have low watching intentions on TV drama when they did not read the original content. However, female potential customers have high watching intentions on TV drama regardless of the previous exposure to the originals. In movie cases, female potential customers have higher intentions on seeing movies than ma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one needs to consider several factors such as casting, acting and gender for generating transmedia contents with a high probability of success.

트랜스미디어에 대한 개념적 고찰 (A Conceptual Study on Transmedia)

  • 윤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644-652
    • /
    • 2019
  • 본 연구는 트랜스미디어라는 개념을 둘러싸고 난립해있는 용어의 문제를 인식하고, 언어기호학의 통합체 이론을 적용하여 개념에 대한 정리와 고찰을 시도하였다. 트랜스미디어에서 접두사 '트랜스'는 횡단과 변형, 초월을 의미한다. 트랜스미디어라는 단어 자체의 이와 같은 다의성은 트랜스미디어 개념을 횡단과 변형, 초월이라는 동사적 계열을 가진 미완의 통합체로 인식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미디어 기업, 창작자, 사용자처럼 미디어 콘텐츠 분야의 주체이자 주어가 누구냐에 따라 트랜스미디어 개념의 통합체는 트랜스미디어 프랜차이즈,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프로슈머와 같은 용어와 연결된다. 세 주체가 트랜스미디어의 담화에 참여하는 목적은 IP 활용과 스토리 세계의 확장, 작품 향유로 각각 다르다. 하지만 세 주체가 미디어를 횡단하고 변형하며 초월하는 목적에서 '반복'과 '연장', '확보'와 '연결'이라는 공통의 욕망이 발견된다. 트랜스미디어 프랜차이즈,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프로슈머와 같은 용어가 트랜스미디어 개념의 '파롤'이라면, 반복과 연장, 확보와 연결은 트랜스미디어 개념의 '랑그'이다.

사례를 중심으로 한 트랜스미디어 개념 재정립 연구 (A Study on the Reestablishment of the Definition on Transmedia Concept Focusing on Cases)

  • 김해영;정영애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45-451
    • /
    • 2018
  • 트랜스미디어는 뚜렷한 이론과 정의를 가지지 못한 채로 이 순간에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트랜스미디어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그동안 연구되었던 트랜스미디어 개념을 정리한 뒤 트랜스미디어의 사례인 과 <미생>과 <군도: 민란의 시대>를 분석하고, 이 세 가지 사례가 기존에 논의되었던 트랜스미디어의 개념에 속하는지 검토하였다. 에서 보이는 양상은 기존에 논의되었던 트랜스미디어의 개념과 거의 일치하였으나 <미생>과 <군도:민란의 시대>는 일부에서 제시한 개념과는 조금 다른 양상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사례들을 통하여 기존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개념의 한계를 점검하고, 트랜스미디어 개념의 확장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트랜스미디어와 게이미피케이션의 결합과 게임 디자인의 구조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ombination of transmedia and gamification and the structure of game design)

  • 조일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433-438
    • /
    • 2020
  • 미디어 환경과 콘텐츠의 제작 기술이 급속히 발달하면서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융·복합 트랜스미디어 시대가 대두되었고,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를 통한 의사소통 방식이 주목받게 되었다.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는 개별적 콘텐츠가 멀티 플랫폼으로 트랜스 되는 개념을 말하며, 이 때 컨버전스라는 확장된 세계관을 구축하게 되는데, 또한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인터랙션은 콘텐츠의 진행에 있어 매우 중요하면서도 통제하기 어려운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써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와 게이미피케이션 개념과의 결합에 주목하였고, 게임 디자인을 실행하기 위한 분석 및 접근법에 관한 이론체계인 'MDA 프레임 워크'를 기반으로 게임 디자인의 구조를 살펴보았다. 기술과 감성의 밸런스를 통한, 가치와 재미의 경험에 대한 예측 체계를 세우는 원론적인 게임 디자인의 구조에 대한 고찰이 트랜스 미디어 콘텐츠 설계에 있어 기초적 토대로써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트랜스미디어에 나타난 패션 문화 콘텐츠의 매개특성 연구 - 20세기 이후 현대 패션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ediation in Fashion Culture Contents Found in Transmedia - Focusing on Modern Fashion since the 20th Century -)

  • 김향자
    • 복식
    • /
    • 제67권4호
    • /
    • pp.131-15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odern fashion culture in the 20th century through changes in transmedia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fashion contents. The study also striv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remediation in modern fashion and media by exploring the cultural code, and use it to establish an integrated view. The subjects and the method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analyzed the development of transmedia and fashion culture since the 20th century. Second, it identified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transmedia. Third,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remediation in modern fashion culture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mediation, which appeared with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transmedia.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remediation are 'borrowing,' 'Representation,' 'Expansion,' 'Refashion,' and 'Absorb.' In old and new media, each type can be aesthetically experienced in 'transparency,' opaqueness,' 'Hypermediacy,' and 'Immediacy.' Second, fashion culture can undergo a transformation from its original form to a second and a third iteration, and this process allows for possibility of an expansion of multiple plots and well-rounded character settings. This opens up the possibility for fashion consumer participation, and signifies a transition into an environment where expansion of time and space is possible. The third finding is the non-mediation of fashion objects. The mediating relationship between clothes and media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The immersion of new media by fashion consumers has the characteristics of 'transparency'/'Non-mediation,' and the reinterpretation and reproduction of original fashion style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opaqueness'/'Hyper-mediation.' Fourth, fashion culture has data variability. Through 'Borrowing,' 'Representation,' 'Expansion,' 'Remodeling,' and 'Absorption,' the cultural hierarchy of reproduced fashion forms a multi-layered integrated network. Mediation code, which repurposes fashion culture contents, also creates new media fashion through transmedia.

구찌(Gucci)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 -Z세대를 중심으로- (Transmedia Storytelling Strategy of Gucci -Targeting Generation Z-)

  • 김미경;임은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087-1106
    • /
    • 2020
  •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innovative science and technology is changing lives at a rapid pace with the expansion of human perception.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extends the scope of activities of the body and the mind, realizing the imagination and challenging the limits of experience. In this process, the transformation of media into new forms such as disassembly, merging, and fusion have emerged that have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transmedia. In recent years, the fashion industry has responded quickly to trends and is actively engaged in transmedia communication activities. Among them, Gucci's media utilization strategy has attracted interest in the millennial gener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strategy of transmedia storytelling by concentrating on the case of Gucci among luxury fashion brands that utilize media effectively in various aspects. It reveals the aspect of how the use of transmedia can be used to enjoy the story of fashion content and spread its value.

셜록홈즈(Sherlock Holmes)의 사례를 통한 콘텐츠 확장성 연구 (A Study on the Expansion of Cultural Contents through the Case of Sherlock Holmes)

  • 임영준;이영숙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689-169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source of cultural contents by proposing extension possibility of cultural contents based on an original source. To this end, this article examined an aspect of Sherlock Holmes contents based on the novel "Sherlock Holmes" published in 1887. It has been produced as 217 different contents from 1899 to 2017 after publishing the novel Sherlock Holmes, and consequently, it has become the best material for the study of the expansion of contents. As a research method, we examined the concept of Transmedia with the change of media environment. Next, we examined the production method of "Sherlock Holmes" contents, analyzed the transformation factors according to each media, and presented the expansion of contents through "Sherlock Holmes"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