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fer Facilities

검색결과 429건 처리시간 0.027초

학교시설 복합화를 위한 민자사업 방식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s of Private Sector Investment for the Mixed-Use of School Facilities)

  • 이재국;오병욱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31-38
    • /
    • 2010
  • The use of school should not be limited to student education any longer but be extended for attaining social benefits. For this reason, school should play central roles not only in education but also in childcare, welfare, culture, physical education, etc. In order for school to accommodate various new functions, it is essential to promote the mixed-uses of school facilities, and this process requires the involvement of private capitals for early achievement of social benefits from school facilities. Thus,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necessity of the multiple uses of school facilities through the investment of private capitals, to diagnose the adequacy of build-transfer-lease (BTL) applied currently to the multiple uses of school facilities, and to find obstacles to the activation of private sector investment and suggest solutions for the obstacles. In particular, this study aimed at proposing plan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private sector investment and activate private sector investment projects by suggesting how to promote the multiple uses of school facilities in consideration of profitability for private investors.

지역 및 기능적 특성을 고려한 복합환승시설 유형분류 (Classification of Multi-modal Transfer Center Considering the Region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 김태균;이삼수;변완희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1호
    • /
    • pp.89-98
    • /
    • 2013
  • 최근 도시의 정책적 패러다임이 지속가능한 도시성장관리 중심으로 전환됨에 따라 교통정책도 승용차중심에서 대중교통중심으로 정책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복합환승센터의 도입은 매우 필연적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국가에서 주도하는 국가기간망중심의 환승센터 뿐 만 아니라 광역 및 지역중심의 환승시설에 대한 도입도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복합환승시설 도입을 위해 다양한 지역적 특성(영향권, 입지위치, 도시규모, 도시기능)과 환승시설기능(환승공간 이용방법, 연계교통수단)을 고려하여 66개의 사례를 유형화하였다. 또한 통계적인 유의성 검정을 통해 영향권-연계교통수단-도시기능조합과 도시규모-입지위치조합의 2가지 복합화된 유형을 제시하였다. 유형분류를 이용한 기존의 66개 사례지역을 정리해 본 결과 국내외 모두 비교적 규모가 큰 대도시를 중심으로 지역간 연계를 기반으로 하는 복합환승시설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복합환승시설에 대한 자료가 지속적으로 축적되어질 경우 좀 더 신뢰성이 높은 유형분류의 결과를 기대해 본다.

교통시설 DB구축과 환승시설 설계 적용에 관한 연구 (Construction of Transportation Facility Database and Design Process for Intermodal Facilities)

  • 임미;신용은;백태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27-135
    • /
    • 2008
  • 여러 교통수단이 만나는 교통 결절점에서 이용자의 수단간 환승의 편의를 도모하는 환승시설은 명확한 합리적 기준과 원칙에 의해 설계되어야하나 우리나라의 경우 주로 설계가의 주관과 외관에 치중되어 효율적이고 기능적이지 못한 경우가 많다. 본 연구의 주목적은 환승시설의 운영효율성과 서비스 질을 제고하기 위한 기본적 설계원칙의 제시와 이에 기초한 환승시설 설계과정 소개에 있다. 이를 위해 설계과정에 기초한 고려사항과 필요자료를 검토하고 이를 기초로 GIS를 활용한 교통DB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교통DB는 설계과정에 요구되는 항목 뿐 아니라 시설 관리에도 적용될 수 있는 포괄적인 내용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원칙을 부산역 설계안에 적용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제시된 원칙에 기초하여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 PDF

고속철도역 환승시설 용량 및 서비스수준 산정 방안 (Assessment of the New Capacity and LOS of Transfer Facilities in the High-speed Railway Stations)

  • 김종해;김시곤;이경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5D호
    • /
    • pp.735-740
    • /
    • 2008
  • 고속철도역 환승센터에서 용량 및 서비스 수준(LOS)을 산정하기 위해 현재 인용하고 있는 설계지침은 도시철도역과 고속철도역간 동일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고속철도역의 이용자의 특성은 도시철도역의 이용자들과 현저하게 다르다. 대표적인 사례로, 고속철도 이용자들은 부피가 큰 소지품이나 교통약자를 동반하는 비율이 도시철도에 비해 높다. 이에 따라 고속철도역 환승시설의 규모는 도시철도역 환승시설의 규모보다 크게 책정되어야 한다. 고속철도역내 환승시설은 크게 보행이동시설과 환승편의시설로 대별할 수 있다. 고속철도역 이용자들의 특성을 반영하는 기법으로, 복합보행자, 복합대기자를 각각 캐리어 소지자, 백팩 소지자, 유아 동반자로 나누었다. 또한, 이들의 고유한 단순보행자 환산계수(PME : Pedestrian Moving Equivalent), 단순대기자 환산계수(PWE : Pedestrian Waiting Equivalent)를 개발 및 적용하여 고속철도역 환승시설의 새로운 용량 및 서비스 수준(LOS)을 제시하였다.

충남에서 발생한 중증응급환자의 응급의료기관 일차 방문, 전원 및 재전원 현황 (Primary visit, transfer, and re-transfer to emergency department in patients with severe emergency diseases in Chungnam)

  • 최일국;최한주;이혜정
    • 대한응급의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399-407
    • /
    • 2018
  • Objective: Regionalization is one of the principal subjects for the advancement of rural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s in South Korea. This stud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interhospital transfer and status of the incidence of three major emergency disorders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acute stroke, and severe trauma) in one local province.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for patients with three major emergency disorders who visited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in one local province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15, on the basis of the 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NEDIS) data. Results: The incidence of three major emergency disorders had increased annually. Patients with each of these disorders tended to choose distinguishing methods of visiting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AMI patients tended to visited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using private cars or on foot, while severe trauma patients usually visited by 119 ambulance, and acute stroke patients used 119 ambulance and private car in similar amounts. Overall, 65% of AMI patients were treated in intraregional medical facilities, but about 70% of acute stoke and severe trauma patients were transferred outside of the region. Conclusion: Because each of these disorders has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it is difficult to expect a solution for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emergency disorders just by assuring the availability of medical resources. Based on regionalization, a policy to provide the optimal treatment for those emergency disorders should be developed by planning public medical service systems based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emergency disorders, the standardized transfer plans of emergency patients and the assurance for mobilization and sharing of confined medical resources.

도시공공서비스 측면에서의 대구시 고등학교 분포특성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s in Daegu Viewing from Public Service Facilities)

  • 우종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14-325
    • /
    • 2002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고등학교 분포 특성을 구(區)별로 고찰하여 공간 불균등 실태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 및 장래의 교육시설 입지와 관련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교육시설의 지역간 질적인 차이는 고려하지 않았고 다만 양적 측면의 분석이다. 2000년 말 현재 대구시에는 76개의 고등학교가 운영중인데 설립 주체에 따라서는 국 공립 고등학교보다 사립 고등학교가, 운영 유형에 따라서는 실업계보다 일반계 고등학교가 수적으로 우세하다. 전체적으로 대구시의 학교시설 분포는 인구분포(재분포)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데, 고등학교 교육시설의 수요와 중급간에 구별로 심한 불균형을 나타내고 있다. 학교시설의 지역불균등은 인구이동과 더불어 학교의 이전과 신설에 의해 그 정도가 심화되어 진다. 학교 미전의 경우 구간(區間) 이전은 도시 기능과 인구재분포가 주원인이며, 구내(區內)이동은 토지이용에 대한 민간부문의 개발압력이 학교의 이전을 촉진시키고 있다. 학교의 신설은 최근으로 올수록 민간부문(사립학교)보다 공공부문(국 공립학교)에 의해 공급되어지는 경향이 있는데, 학교의 이전 혹은 신설 대상지의 선정과 과정에서 특정지역을 선호하거나 기피하게 되고 결국은 이것이 교육기회의 공간불균등을 초래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교육시설은 공공서비스 중에서도 주민복지의 증진이라는 최종목표는 물론이고 이용자의 편리성을 고려한 사회적 형평성이 중요한 실천목표가 되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볼 때 학교 시설의 신설과 재분포는 더욱 활성화되어야 하며 특히 민간부문보다는 공공부문의 역할이 중요하다.

  • PDF

신호장치에 의한 ATS 신호장치 오동작 방지에 대한 연구 (A Study about Preventing Improper Working of Equipment on ATS System by Signaling Equipment)

  • 고영환;최규형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79-587
    • /
    • 2008
  • Promotion of the line no.2 in Seoul Metro was changing from the existing signaling facilities for ATS(Automatic Train Stop) vehicles to the up-to-date signaling facilities for ATO(Automatic Train Operation). But, in consequence of conducting a trial run after being equipped with the ATO signaling facilities, the matter related to mix-operation with the existing ATS signaling facilities appeared. The operation of the existing ATS signaling system in combination with the ATO signaling system has made improper working related to frequency recognition of the ATS On-board Computerized Equipment. This obstructs operation of a working ATS vehicle. That is, as barring operation of an ATS vehicle that should proceed, it may make the proceeding ATS vehicle stop suddenly and after all, it will cause safety concerns. In this paper, we designed a wayside track occupancy detector that previously prevents improper working related to frequency recognition of the ATS On-board Computerized Equipment by gripping classification and working processes of operating trains throughout transmission of local signaling information from the existing facilities, which does not need to change or replace the existing signaling facilities. Furthermore, we describ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wayside track occupancy detector and modeled the IFC(InterFace Contrivance) device and the logical circuit recognizing signal information. Then, we made an application program of PLC(programmable Logic Computer) based on the stated model. We, in relation to data transfer method, used the frame in TCP/IP transfer mode as the standard, and we demonstrated that ATO transmission frequency is intercepted.

  • PDF

도시철도역사의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환승시설의 중요도 분석 (Importance Factor Analysis on Transfer Facilities b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Urban Railway Station)

  • 김황배;안우영;이상화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87-496
    • /
    • 2014
  • 개별 도시철도역사의 불편성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는 있으나, 역사의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환승편의시설의 중요도(importance factor)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을 활용하여 도시철도역사의 유형(이용수요 및 승강장형태)에 따른 환승편의시설(이동편의시설, 정보제공시설 및 쾌적성 등)의 인과관계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고 도시철도역사의 유형별 환승편의시설에 대한 중요도 결정모형을 제시하였다. 도시철도역사의 유형별 중요도 분석결과 대형급 역사이면서 섬식과 상대식이 환승할 경우 정보안내시설, 이동편의시설위치 및 쾌적성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중형급 역사이면서 상대식과 상대식이 환승할 경우 정보안내시설, 이동편의시설 및 쾌적성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통카드데이터를 활용한 교통약자 대중교통 환승통행패턴 분석: 버스 지하철 간 환승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Transit Transfer Pattern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Using Traffic Card Big Data: Focus on Transfer between Bus and Metro)

  • 권민영;김영찬;구지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8-71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고령인구가 급증하고 이에 따라 이동에 불편을 겪는 교통약자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국내에서는 이동편의시설 설치 확대 등 교통약자에 대한 양질의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 중이다. 기존 대중교통 이동편의시설 설치는 역사의 면적, 층수, 시설 미확보역 등의 양적인 측면을 기준으로 우선적 확대·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양적 기준 보다는 실제 이용자 기준의 설치 필요 지역에 이동편의시설을 확보하는 것이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에 더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기반의 교통카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교통약자의 환승취약지점을 도출하고자 했다. 스마트카드 거래내역 데이터를 가공하여 환승통행데이터를 구축하고 이용자별 환승통행패턴 분석 및 환승통행시간 차이가 큰 경로를 기준으로 환승취약지점을 도출했다. 분석 결과 일반 이용자보다 교통약자의 환승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과 교통약자의 환승통행시간 차이와 시설물 개수와의 상관관계는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현장 조사 결과 환승통행시간 차이는 시설물의 단순 개수보다는 해당 환승최단경로 내 이동편의시설의 부재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교통약자를 위한 이동편의시설 확대 시 실질적 이용자 기반 데이터 분석을 통한 환승취약지점을 기준으로 우선적 시설 확보 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가 보다 더 향상될 것으로 사료된다.

환승통행과 토지이용의 연관성 분석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er Trips and Land Use)

  • 임수연;이향숙;추상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1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의 환승통행 특성을 분석하고 토지이용이 환승통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의 2013년 4월 평일 하루치 교통카드자료를 이용하여 환승통행의 일반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토지이용과 사회경제지표 등을 독립변수로 고려한 환승통행량의 다중선형 회귀모형을 구축하였다. 환승통행특성의 경우, 환승통행이 전체 통행의 26.7%를 차지하였으며, 이 중 1회 환승한 경우가 86.4%로 대부분이었다. 또한 버스-지하철간 환승이 64.7%로 큰 비중을 차지하였며, 주로 지하철 역 및 업무시설이 다수 위치하는 곳에서 환승통행이 많이 발생하였다. 회귀모형 구축 결과, 업무시설면적비율 및 백화점시설의 면적비가 높거나 복합토지이용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환승통행량이 많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복합환승센터와 같이 도시 내 환승통행을 고려하는 교통시설의 입지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