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raining Contents

검색결과 1,832건 처리시간 0.027초

제주지역 말 방목 초지의 혼파조합별 생산성 및 채식율 변화 (Changes in the Productivity and the Percentage of Grasses Intake in Different Mixtures Grazed by Thoroughbred Horses)

  • 이종언;박남건;박형수;오운용;고문석;김동훈;강동희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3-128
    • /
    • 2007
  •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말 방목에 적합한 혼파조합을 선발하기 위해 해발 450m에 위치한 한국마사회 경주마육성목장에서 티모시, 오차드그라슨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화본과 위주 초종으로 혼파 파종하여 2년 간 말(더러브렛)을 방목하면서 목초생산성, 식생변화 및 채식율 변화 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간 총 건물생산량은 1, 2차년도에 관계없이 혼파조합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시기별에 따라 생산량 차이를 보였다. 식생은 페레니얼 라이그라스가 봄철 크게 우점현상을 보였으나 여름철에는 하고 현상으로 식생구성이 낮게 나타났다. 방목 첫 해 티모시는 식생비율이 낮았으나, 그 후에는 연중 적절한 식생 구성을 보였다. 채식율은 티모시 주초종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식물체 NDF, ADF, Ca 및 P 함량은 처리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 제주지역(해발 400m 내외)애서 티모시 주초종(ha 당 티모시 20, 오차드그리스 5,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5, 화이트클로버 2kg)의 혼파조합은 시기별 생산성과 기호성을 고려할 때 말 방목초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인터넷에서의 유해 이미지 컨텐츠 등급 분류 기법 (Classification Method of Harmful Image Content Rates in Internet)

  • 남택용;정치윤;한치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2권3호
    • /
    • pp.318-326
    • /
    • 2005
  • 본 논문은 인터넷 둥을 통해 유입되는 유해 이미지를 그 특징을 이용하여 무해, 선정, 유해(누드), 심한 유해(성인물)과 같은 이미지 컨텐츠의 등급으로 선별하기 위한 이미지 특징 추출 방법과 이미지분류 기술을 제시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입력 이미지에서 유해 정보임을 인식하기 위한 피부 영역 검출 기법을 제시한다. 또한, 노이즈를 줄이고 효과적으로 유해성 정도를 추출하기 위해 관심 영역을 설정하고 그 관심 영역 안에서만 특징을 정의하는 관심 영역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미지를 4 종류의 등급으로 선별하기 위해 유해 이미지 분류 모델을 생성하는 다중 SVM 학습 기법과 생성된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입력 데이타의 유해 등급을 분류하는 다중 SVM 분류 기법을 제시한다. 특히 피부색 영역 이미지의 형태 정보와 피부색 비율 이미지의 색깔정보를 합하여 만든 피부색 가능성 분포 이미지를 제시하고, 이 피부색 가능성 분포 이미지를 축소하여 학습 과정에서 특징 분류를 위해 이용하는 이미지 특성 벡터를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유해 이미지 등급 선별 기법을 적용한 실험 결과와 이미지의 유해 둥급 분류에 대한 판별 성능을 평가한다.

끓는점 오름에 대한 내용표상화(Content Representation) 활동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의 PCK 특징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Teachers' PCK in the Activities of Content Representation of Boiling Point Elevation)

  • 이영민;허진휴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385-1402
    • /
    • 2013
  • 이 연구는 끓는점 오름에 대한 내용표상화 활동과 모의수업 실행을 통해서 예비교사의 PCK를 분석하였다. 예비교사의 지식을 PCK 요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예비교사는 끓는점 오름에 대한 개념적인 이해를 중시하였는데, 일부는 끓는점 오름 현상을 과학적인 시각으로 이해하고, 수식을 도구로 사용하며, 실생활에 적용되는 경험을 통해 학습 동기를 얻게하는 과학 교수 지향도 보였다. 예비교사는 끓는점 오름에 관하여 가르쳐야 할 중요한 내용의 대부분을 개념 이해를 위해 습득해야 할 지식으로 제시했으며, 과학적 사고나 탐구능력 신장을 위한 내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교과서 내용의 수준과 전개 순서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일부는 교과서 편집상 강조되어있는 용어나 자료를 학습할 내용으로 여기거나, 예제 문제의 풀이를 학습 목표로 보는 경우도 있었다. 학생 이해에 대한 지식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실제 교수 경험이 없는 예비교사들은 자신의 학습 경험을 바탕으로 학생 수준을 간접적으로 이해하려고 시도하므로, 예비교사교육과정에서 오개념 자료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교수 전략과 평가에 대한 지식은 다른 요소에 비해 피상적으로 표현되었는데, 목표와 연계된 방법을 고민하기 보다는 순환학습과 발견학습 같은 모형의 적용만을 언급하거나 일반적인 평가 방법을 나열하는데 그쳤다.

정서적 지능이 직무만족과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 특 1급 호텔 근무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up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A Case of Five Star Deluxe Hotel Employees -)

  • 김지은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7-46
    • /
    • 2012
  • 호텔산업에서 직원의 성과를 예측할 수 있는 주요 변인으로 크게 조직적 차원과 개인적 특성으로 나누어 연구되어 오고 있다. 특히 개인적 특성은 고용시점에서 고려사항으로서 더 깊이 연구되어야 할 변인으로 보아진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적 특성의 하나로서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인 정서지능을 주요 변인으로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적 목적은 정서지능이 구조적 모델 안에서 직무태도의 변인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주는 영향관계를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위해, 편의 표본추출 방식으로 한국의 특1급호텔의 근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데이터분석을 위해 SPSS와 AMOS 4를 이용한 구조 모형방정식을 통해 연구가설의 유의성을 측정하였다. 그 연구 결과, 정서지능의 감정 인지와 감정이해 요인이 모든 직무만족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상대적으로 감정 인지가 직무만족 각각의 하위 변수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조직몰입은 동료와 호텔 내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만족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통해, 해당호텔에 적합한 심리요법 또는 이에 상응하는 호텔 교육프로그램을 직원교육 콘텐츠의 하나로 적용시킬 필요성이 제안된다. 왜냐하면 정서지능은 훈련 등을 통해 발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 PDF

융복합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한 당구 스트로크 시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근활성도 및 뇌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sing Convergence Digital Contents for Billiard Stroke in Players on Electromyography and EEG in Expert and Non-Expert Billiard Players)

  • 홍진표;남상남;임연섭;김상엽;김일곤;백순기;김종혁;조일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645-65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당구 숙련자와 비 숙련자를 대상으로 당구 스트로크 시 근활성도와 뇌파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두 집단 간의 차이를 규명하여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데이터를 통해 당구의 효과와 효율적인 훈련 방법을 위한 기초 데이터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숙련자와 비숙련자간에 근활성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뇌파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당구 스트로크 시 숙련자와 비숙련자 간의 근활성도와 뇌파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원인은 연구대상자의 부족, 일회적인 실험, 그리고 심리적 및 생리적인 실험 통제를 완전히 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며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 대한 기전을 보다 명확하게 밝히기 위해서는 추후 생리 및 심리적인 실험통제가 이루어진 상황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쌀보리, 겉보리 및 밀엿기름에 의한 식혜 제조시 특성 (Characteristics of Sikhe Produced with Malt of Naked Barley, Covered Barley and Wheat)

  • 서형주;정수현;황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16-721
    • /
    • 1997
  • 전통음료로서 각광을 받고 있는 식혜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식혜 제조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엿기름을 밀, 쌀보리, 겉보리로 각각 소재를 달리하여 제조 후 이를 이용하여 식혜제조시의 그 특성을 비교하였다. 밀, 쌀보리와 겉보리를 이용하여 제조한 엿기름에 함유 되어있는 amylase는 $60^{\circ}C$에서 46178 units, 39888 units, 27673 units로 공히 최대치를 보였다. 열 안정성은 $60^{\circ}C$에서 1시간 이상 가열 처리시 amylase 역가는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70^{\circ}C$에서는 2시간 가열처리시 20%이하의 낮은 열안정성을 보였다. 식혜 제조시 당화시간에 따른 glucose, maltose와 maltotriose의 생성량은 당화시간이 증가할수록 점차 그 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maltose의 생성량은 glucose나 maltotriose에 비해 높았다. 밀 엿기름을 이용한 경우 역시 6시간 당화시 maltose는 4.46%, maltotriose는 0.9%로 쌀보리와 겉보리 엿기름을 이용하여 제조한 식혜에 비해 비교적 높은 생성량을 보였다. 당도를 굴절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6시간 당화시 밀 엿기름을 이용한 경우 11.3%, 쌀보리와 겉보리 엿기름을 이용하여 제조한 경우 11.1%와 10.4%의 당도를 보였다. 쌀보리를 이용하여 제조한 식혜가 관능적으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 PDF

보건기관(保健機關)의 방문보건사업(訪問保健事業) 담당인력(擔當人力)들의 사업(事業)에 대한 태도(態度) 견해(見解)와 환자관리(患者管理) 양상(樣相) (Attitude and Management Contents of Health Workers Engaged in Visiting Health Service)

  • 박미영;박재용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3권1호
    • /
    • pp.91-108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se the feedback of health personnel to improve the Visiting Health Servic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471 Home Health Workers serving 24 local health organizations in the Kyung-Pook province. 62.5% of the respondents were men under thirty-nine years of age. 92.8% of the respondents are married. 47.1% had degrees from junior colleges. It was ascertained 52.7% of the workers visited their patients six to twelve times within a six month period. And one to three patients were visited per day by one worker. Workers of older age, higher job position, and more experience were more positive in their feedback about the program. In addition, local health center employees, including nurses, were more positive about the program. Younger workers with a higher level of education, less experience, and lower job position had more insight into the problems of the program. Deeper insight into these problems led to a more negative conception of the program. Older workers with higher ranking jobs were found to be most competent. in their jobs. Workers at the main health center were assessed higher than the workers at the health sub-center or the primary health post. In addison nurses at all centers were found to be slightly more competent than the nurses' aide. The primary health post established the highest degree of patient satisfaction. It was discovered that the more positive the workers felt about the program, the higher their patient satisfaction feedback.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nagement assessment and patient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better program management was found to produce higher patient satisfaction. Workers feel being more educated about patient management would lead to better service. However, they take no action to produce these results. Where the problems of the system are most commented upon, the need for further education is greatest.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t is apparent that the assessment of patient management is the greatest variable affecting patient satisfaction of patients is dependent on the management by the visiting health worker.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visiting health program is highly dependant on the feedback of those workers with a negative conception of the program. So the development of programs, motivation, education and training must be established. These works would lead to active participation by visiting health workers in the improvement of the Visiting health program.

  • PDF

산욕부와 신생아의 가정간호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Home Health Care for Postpartum Women and their Newborns)

  • 전은미
    • 모자간호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11
    • /
    • 1994
  • Presently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home health care services due to changes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as a result of an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socio-economic improvements, and changes in the family structure, as well as the growing number of people with degenerative diseases. In addition to these reasons, rising medical costs and there a shortage of patient beds space in the hospital, particularly since introduction of national medical insurance.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health care health care services.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basic data for home health care management. It focused on developing client selection criteria, assessment tools, and recording methods. This was accomplished by the researchers visiting the patients in their homes. The research process included preparation investigation, tool development, training of the project researcher, and visiting the clients in their homes. The research tools are as follows : 1. Record development : a) The selection criteria tool for home health care of postpartum women was a structured tool and consisted of four parts. b) The structured assessment tool consisted of a general items, obstetric history, past medical history, methods of feeding, medications taken before admission, laboratory test results, discharge instructions, discharge medications, family tree, economic status, environmental status, a map, health assessment of postpartum women and their newborns. c) The visit note I consisted of the frequency of visits. Visit note II consisted of the date ; nursing problems ; nursing process including the initial assessment ; nursing goal ; visit plan ; postpartum women and their neonate health status, diagnosis, goal, implementation, evaluation, summary, next plan, for visit revision. d) Problem note consisted of the date, problem numbers, nursing diagnosis, problem appearance date problem resolution dat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 1. Nursing problems : The nursing problems of the postpartum women and their neonates were evaluated by the number of nursing diagnoses and the change in the pattern of nursing diagnosis related to the number of visits. a) Nursing diagnosis The nursing diagnosis was classified according to physical function, psychosocial function, family system maintained function. b) The changes of nursing diagnosis related to the number of visits. As the type of nursing diagnosis changed related to the number of visits the number of nursing diagnoses decreased. 2. Contents of home health care : The content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assessment, direct care, counseling, education, family care, reporting to with the attending doctor. The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 1. Tool development Replication of this study is needed to test the validity of the assessment tools used. 2. Home visit a) Home health care nurses should be licensed and qualified. A referral form from the attending doctor is needed for legal protection of nurses. b) The first home visit need to be within 24 hours of discharge from the hospital to decrease the anxiety of frightened postpartum women. c) When the changes occur in the newborn's status, home health care nurses should consult a pediatrician. Communication within the home healthcare team is essential and needs to consistent and done smoothly. 3. Home health care A Study is required to develop protocols for education of staff and for operation of all aspects of this program.

  • PDF

'나트륨 줄이기 참여 건강음식점'의 나트륨 저감화 실태 (Study on Sodium Reduction: 'Healthy Restaurant for Sodium Reduction')

  • 홍순명;이지혜;김혜경;유리나;서정희;허은정;조성숙;양정아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0권3호
    • /
    • pp.174-182
    • /
    • 2014
  • This study compared total sodium amounts in 'Healthy Restaurant for Sodium Reduction' menu items located in Seoul, Chungcheong, and Gyeongsang in 2011 and 2012.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reduced sodium cooking methods in 'Healthy Restaurant for Sodium Reduction'. This study monitored and collected menu samples from a total of 103 restaurants participating in 'Healthy Restaurant for Sodium Reduction' in 2011 and 2012. We also surveyed restaurant employees to identify reduced sodium cooking methods in 2012.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s in total amounts of sodium in menu items of restaurants located in Seoul, Chungcheong, and Gyeongsang between 2011 ($310.8{\pm}156.8mg/100g$) and 2012 ($211.6{\pm}110.3mg/100g$). Amounts of sodium in all seven foodgroup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s between 2011 and 2012: 'Gook/Tang' (from $226.6{\pm}127.7mg/100g$ to $168.5{\pm}74.3mg/100g$), 'Jjigae/Jeongol' (from $385.8{\pm}111.7mg/100g$ to $257.1{\pm}82.53mg/100g$), 'Noodle/Dumpling' (from $263.8{\pm}116.9mg/100g$ to $194.1{\pm}55.6mg/100g$), 'Gui' (from $390.3{\pm}120.6mg/100g$ to $258.8{\pm}92.7mg/100g$), 'Steamed dish' (from $305.3{\pm}124.3mg/100g$ to $175.6{\pm}76.6mg/100g$), 'Bob' (from $273.7{\pm}162.5mg/100g$ to $167.1{\pm}93.1mg/100g$), and 'Stir-fried dish' (from $368.6{\pm}116.6mg/100g$ to $219.0{\pm}72.4mg/100g$).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responses for 'Reducing salt amount' were 75.7%, responses for 'Using enchovy stock, shrimp, radish, or fruit soup' were 64.1%, and responses for 'Liking the taste because it is bland' were 50%. This study indicates that 'Healthy Restaurant for Sodium Reduction' nutrition policy was successful for reducing sodium contents of restaurant menu items, and also consumers were satisfied with the tastes.

그린커피교육 교과과정 기준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urriculum standards model of Green Coffee Education)

  • 신혜경;백현기;안관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103-122
    • /
    • 2013
  • 커피는 산지와 재배 환경에 따라 그 특성이 달라지고 결정되어지므로, 커피의 향미와 품질은 그린커피에서부터 시작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하지만 현재 커피교육은 커피 로스팅, 추출, 서비스 등의 바리스타 실무교육에만 주력하고 있고 그린커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교육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그린커피 교육을 위하여 교과과정을 계획하고 설계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교과과정 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전국의 커피교사를 대상으로 설문하여 그린커피에 대한 인식 정도와 교육 현황을 살펴본 후 그린커피교육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였고, 또 현재 커피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그린커피교육의 필요성과 교육현황을 설문하였다. 또한 커피전문가를 대상으로 인터뷰하여 그린커피의 교육 방향 및 학습 요인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그린커피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고 교육내용을 선정하였으며 교과명 및 학습 단원을 조직하여 교수-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한 체계적인 교과과정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