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seasonings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 전통 양념을 이용한 발효 돼지고기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Pork with Korean Traditional Seasonings)

  • 진상근;김철욱;이상욱;송영민;김일석;박석규;하경희;배대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2호
    • /
    • pp.217-226
    • /
    • 2004
  • 이 연구는 한국 전통 양념을 이용한 발효 돼지고기의 품질 특성에 관한 것으로 돼지고기의 바깥 볼깃살을 채취하여 7${\times}$12${\times}$2cm 크기로 자른 후 육을 동일한 비율의 양념액에 침지하여 -1${\pm}$1$^{\circ}C$에서 20일간 숙성한 발효육[T1(마늘소스 돼지고기), T2(제육김치 돼지고기), T3(김치소스 돼지고기), T4(된장소스 돼지고기), T5(고추장소스 돼지고기)]의 품질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T1은 수분이 가장 높은 반면 조단백질 함량이 가장 낮았으며, T5는 수분이 가장 낮은 반면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이 가장 높았다. 양념 페이스트와 발효육의 pH는 T1이 가장 높았으며, T3가 가당 낮게 나타났다. 보수력은 T4와 T5가 매우 높고, T3는 가장 낮았다. 전단력은 T5가 가장 높고, T4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방산패도는 T3가 가장 높았으며, T4가 가장 낮았다. 휘발성염기태질소화합물은 T4가 가장 높았으며, T1이 가장 낮았다. 당도는 T5가 가장 높았으며, T3가 가장 낮았다. 염도는 T2가 가장 높았으며, T5가 가장 낮았다. 표면육색과 심부육색 모두 $L^*$값, $a^*$값, $b^*$값은 각각 T4, T2, T2가 가장 높았으며, $L^*$값은 T5가 가장 낮았다. 가열육의 관능평가 결과 전 항목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T5가 가장 높았으며, T4가 가장 낮았다. 불포화지방산 비율은 T5가 많고 T2는 적었다. 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비율은 T5, T4, T3, T1, T$, T3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여 볼 때, 소비자가 구입을 꺼려하는 뒷다리살을 한국 전통양념류를 이용하여 제품을 만들었을 때, 제품의 맛과 품질을 개선시켜 그 소비를 촉진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포장방법과 유통기간 설정 등 이에 대한 더욱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간장, 고추장 및 된장 양념으로 발효시킨 함기포장 돈육의 저장기간 동안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Aerobic Packed Pork during Storage after Fermentation with Soy Sauce, Red Pepper and Soybean Paste Seasonings)

  • 진상근;김일석;하경희;류현지;박기훈;이제룡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679-690
    • /
    • 2005
  • 이 연구는 간장, 고추장 및 된장 양념을 이용한 발효 돈육의 품질 특성에 관한 것으로 돼지 뒷다리를 채취하여 $7{\time}10{\time}2$cm 크기로 자른 후 육을 동일한 비율의 소스(간장소스 T1, 고추장소스 T2, 된장소스 T3)에 침지하여 $1{\pm}1^{\circ}C$에서 10일간 발효숙성한 후 함기포장하여 $1{\pm}1^{\circ}C$에서 1, 14 및 28일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T1이 저장 1일에 T2와 T3에 비해 낮았지만, 저장 14일과 28일에 현저하게 높았다(P<0.05). 보수성은 T1이 저장 1일과 28일에 T2와 T3에 비해 높았다. 전단가는 T3가 T1과 T2에 비해 낮았다. 표면 육색의 L*값은 T3가 T1과 T2에 비해 높았지만, a*와 b*값은 T2가 T1과 T3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P<0.05). VBN은 저장 1일과 14일에 T3가 T2에 비해 낮았지만, 저장 28일에는 T1이 T2와 T3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다(P<0.05). TBARS는 저장 14일과 28일에 T3가 T1과 T2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다(P<0.05). 총균수는 저장 1일에 T1이 T2와 T3에 비해 낮았지만, 저장 14일과 28일에는 T2가 T1과 T3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다(P<0.05). 대장균 수는 저장 1일에 T1과 T3가 T2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고(P<0.05), 저장 14일과 28일에는 T2와 T3는 대장균 성장을 나타내지 않았다. 유산균 수는 T2가 T1과 T3에 비해 낮았다. 이상에서, 고추장 발효 돈육인 T2는 양념육 고유의 색을 나타내면서 미생물 성장을 지연시켰다.

함기포장한 양념 발효 돈육의 저장중 품질변화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icy Fermented Pork with Atmosphere Packaging during Storage)

  • 진상근;김일석;하경희;류현지;박기훈;이정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5호
    • /
    • pp.813-824
    • /
    • 2005
  • 한국 전통 양념을 이용한 발효 돼지고기의 특성에 관한 연구로 돼지 바깥 볼깃살을 채취하여 $7{\time}10{\time}2$ cm3 크기로 자른 후 육을 동일한 비율의 소스(간장소스 T1, 김치소스 T2, 새우젓소스 T3, 양파소스 T4)에 담가 $1{\pm}1^{\circ}C$에서 10일간 발효숙성한 후 함기포장을 실시한 후 $1{\pm}1^{\circ}C$에서 28일간 보관하면서 품질을 측정하였다. pH 변화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초기에 비해 저장말기에 감소하였으며, T3 처리구는 전 저장기간 동안 다른 처리구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염도와 당도의 변화는 T2 처리구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초기에 비해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방산화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초기에 비해 저장말기에 증가하였으며, 처리구 간의 비교에서는 전 저장기간 동안 T4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하여 높은 지방산화를 보였다. VBN의 변화는 저장 21일까지 증가하다 그 이후 크게 감소하였으며 T4 처리구는 저장 초기에는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저장 14일부터 그 값이 월등히 증가하였다. 보수성은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단가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초기에 비하여 저장말기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표면육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L*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균수와 유산균에서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대장균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조사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는 향과 맛이 좋은 T1 처리구가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

한국의 전통적 기능성 식품의 이용에 대한 역사적 고찰 (The Historical Study of Korean Traditional Funtional Food)

  • 한복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35-255
    • /
    • 1996
  • Natural substances, exploited in our daily life, have been applied to drugs to treat diseases and developed to functional foods by appropriate preparations, and these foods give beneficial effects on physical activities. In this paper,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functional foods was studied with refer ring to old ancient writings published in the front-end of Chosun dynasty. The utilized vegetables were march mallow, turnip, radish, Chinese cabbage, lettuce, spinach, cucumber winter buds, flesh of a cabbage, eggplant, taro, burdock, Parsley, watershield plant, crown daisy, bamboo shoots, garlic, scallion, onion, acorn, bark of a tree, white goosefoot leaf, leaf of bean, pine mushroom, bracken. yam, mugwort, tea, ginseng, peppermint, fruit of the Maximowiczia chinensis, smartweed and pepper. The utilized fruits were chestnut, Chinese date, pine nuts, walnut, gingko nut, citrus. crab apple, pear, peach, grape, pomegranate, plum, Chinese quince, fig and watermelon. The utilized cereal were rice, barley, bean, buckweat and Job's-tears. The utilized sweetenings and seasonings were honey, wheat-gluten, sugar, oil, salt, soy sauce and vinegar. Our ancestors had a balanced diet using the various foods, and especially had a fundamental concept of "Foods have the efficacy of a remedy".edy".uot;.

  • PDF

전통 양념을 이용한 소스의 냉장저장 중 pH, 산도,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도 및 미생물 변화 (Changes of pH, Acidity, Pretense Activity and Microorganism on Sauces Using a Korean Traditional Seasonings during Cold Storage)

  • 진상근;김일석;하경희;박기훈;김인진;이제룡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9-165
    • /
    • 2006
  • 본 연구는 간장(T1), 고추장(T2) 및 된장(T3) 소스를 제조한 후 $1{\pm}1^{\circ}C$에서 21일간 저장하는 동안 pH, 산도,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도 및 미생물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수행하였다. pH는 된장 소스가 간장과 고추장 소스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 산도는 고추장 소스가 간장과 된장 소스에 비해 저장14일까지 현저하게 높았다.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도는 된장소스가 간장과 고추장 소스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 총 균수는 간장 소스가 고추장과 된장 소스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고,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대장균은 간장 소스가 저장 1일에 검출되었으나 저장 7일부터는 검출되지 않았고, 고추장과 된장 소스는 저장 1일부터 검출되지 않았다. 유산균수는 간장 소스가 고추장과 된장 소스에 비해 현저히 낮았고, 모든 양념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전통양념으로 발효숙성하여 진공포장한 돼지고기의 저장 중 품질 변화 (Changes of Qualities in Vacuum Packed Fermented Pork Using a Korean Traditional Sensoning During Storage)

  • 진상근;김일석;하경희;허선진;박기훈;류현지;배대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1호
    • /
    • pp.39-48
    • /
    • 2005
  • Outside muscle of pork ham were cut to cube(7 $\times$ 10 $\times$2 ern) and three Korea traditional seasonings such as soybean paste(Tl), garlic paste(T2), red pepper paste(T3) were seasoned by the proportions of meat to seasonings(1 : 1), respectively. The seasoned samples were fermented by fill into plastic box at 0 $\pm$ 1 $^{\circ}C$ for 10 days. And then, the fermented meat from each pack was vacuum-packaged and stored at 0 $\pm$ 1 $^{\circ}C$ for up to 9 weeks. pH and shear force were decreased during storage periods in all treatment groups and WHC was decreased with storage in T2. The saccarinity of T1 was increased and salinity increased during storage in all treatment groups. pH of T2 was increased than that of other treatments, while decreased saccarinity and shear force of in T2. The salinity were higher in the order of T1 > T2 > T3. Volatile basic nitrogen (VBN) value were increased with storage in all treatment group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SARS) value of Tl was increased with storage while it was decreased T2.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SARS) value was higher in the order of T1 > T3 > T2 at 9weeks of storage. Surface meat L' values of T1 was increased with storage and T3 decreased with storage whereas, surface meat a' values of T1 was decreased with storage, and T2 was increased with storage. Surface meat b' values of T3 was decreased with storage. Escherichia coli were decreased during storage periods in all treatment groups.

부산 지역 전통음식에 대한 세대별 인식 차이 분석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bout Traditional Food by Generations in Busan Area)

  • 이복섭;박헌진;정진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14
    • /
    • 2010
  • 본 연구는 부산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한국음식에 대한 세대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은 부산 지역에 소재하는 중학생, 고등학교, 대학교,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표본을 선정하여 2008년 8월 1일부터 30일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대별로 전통음식을 선호하는 빈도가 차이가 있다는 것을 찾을 수 있다. 나이가 많을수록 전통음식을 좋아하였으며, 반대로 젊은 층에서 전통음식을 좋지 않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모든 세대에서 가장 좋아하는 식사 형태는 한식이며, 셋째, 가정에서 식사를 준비할 때 아버지를 위주로 하여 식사를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식을 만드는 방법에는 바쁜 현대인들에게는 좀 더 단순화시키고 표준화하여 조리하기 쉽게 하는 조리법이 필요하다. 부산 지역 한국음식의 세대별 차이의 개선점으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전통음식의 맛 개발에서 전통음식은 발효음식의 냄새는 허브나 조미료를 첨가하여 모던하게 만들어야 할 것이고, 또한 전통적인 방식도 식품의 재료를 현대식으로 교체와 조리 방법을 변화를 주어 어릴 때부터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자를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지역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여 좀 더 균형 있는 표본의 선정을 통한 보완이 필요하리라 본다.

  • PDF

웰빙식생활 추구 정도에 따른 조미료(MSG)에 대한 인식과 기호도 조사 (A Survey of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MSG according to the Pursuit of Well-being in Diet)

  • 길가영;진소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81-490
    • /
    • 2015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wareness and preference levels related to MSG (monosodium glutamate) according to well-being dietary life pursuit attitude factors as well as to improve opportunities to meet value conscious consumption of well-being-oriented customers. According to well-being dietary life pursuit attitude factors, respondents were divided to three clusters, indifference type, well-being-oriented type, and active health action type. Sensory evaluations were carried out on soybean paste soup (Doenjang-guk) and seasoned spinach with different levels of MSG. In the results, 74.4% of all respondents preferred Doenjang soup with 2% MSG, 65.4% preferred seasoned spinach with the same ratio of MSG, and 35.9% preferred seasoned spinach with 0.5% MSG. Regarding the acceptance level of MSG, addition of MSG to improve taste was acceptable to the indifference type (cluster 1). On the contrary, active health action type did not prefer MSG, wanted natural seasonings despite high prices, and preferred to dine at restaurants that serve MSG-free foods. Based on this study, restaurant companies should segment their customers on the basis of MSG usage and establish their position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ir concepts.

신선로(열구자탕) 조리법의 역사적 고찰과 전통적 표준조리법의 제시 (The Historical Study and Standard Traditional Cooking Methods of Sinsulro)

  • 한복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317-337
    • /
    • 1995
  • "Sinsulro(신선로)" is the famous soup of Cho-sun Dynasty Royal Cuisine, and the original food name is "Yulgujatang(열구자탕)". The first record is on [Sumunsasul] (1740) and the origin history related with Hirang-Jung is on [Headongjukji] and [Chosunyorihak]. From the analysis with Royal banquet menu and 16 kinds of old culinary literatures, "Sinsulro" are contained 54 and 70 material items and used variety cooking methods. Soup base of "Sinsulro" is well boiled meat, shank, brisket, stomach and intestine of beef with water, Some of beef is made meatball and seasoned raw meat. Beef marrow and tripes and liver are sauted with egg. Dried abalone and sea cucumber are soaked in water and then cutting slices after well boiled. Sliced white fish fillet are sauted with egg. Egg white and egg yolk made to thin sheet on pan with oil. Dropwort made to one sheet with flour and egg. Radish are boiled with meat soup and other vegetable are cooked with boiled or sauted. Seeds of pinenut, gingko, walnut are used of decorative seasonings. Filling mehtods of the Sinsulro casserole, the first layer is seasoning raw beef meat, 2nd layer is cooked slice of meat and radish, 3rd layer is rectangle pieces of egg sheet and sauted fish and intestines of beef. The top layer is decorated with meatball and naked nuts. After hot soup is poured until top of the materials, buning charcoal put into the center fire place and then served.o the center fire place and then served.

  • PDF

「수운잡방」과 「음식디미방」에 나타난 조리법 비교 (Comparative Study of Cooking Methods in 「Suwoonjabbang」 vs. 「Eumsikdimibang」)

  • 정혜경;윤경수;김미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1-53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oking methods used in the Joseon Dynasty using cooking books. We chose "Suwoonjabbang" (1500's) and "Eumsikdimibang" (1610)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oking methods from these two recipe books were categorized into staples, side dishes, rice cakes, Korean traditional sweets and cookies, drinks, fermented foods, seasonings, and storage methods. Firstly, "Suwoonjabbang" contains a total of 121 cooking methods divided into two volumes. In contrast, "Eumsikdimibang" includes 146 cooking methods. There are 18 methods for noodles and dduks, 74 methods for fish and meat, and 54 methods for drinks and vinegars, and others. Secondly, "Suwoonjabbang" written by Yu Kim in Chinese characters can be described in simple terms. It provides caution against indulging in the taste of food. In contrast, "Eumsikdimibang" by Kye Hyang Jang contains detailed cooking methods that have disappeared. Thirdly, "Eumsikdimibang" introduced more diverse cooking methods for noodles, dumplings, side dishes, rice cake, Korean traditional sweets and cookies, and fermented foods as compared to "Suwoonjabbang". In conclusion, unique cooking methods introduced in these two cooking books, which are rare these days, are expected to be further applied and develop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