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Lacquered Furnitur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옻칠가구 디자인 개발을 위한 감성공학적 연구 (A Study to Sensibility Technology for the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Lacquered Furniture Design)

  • 박혜숙;김수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205-21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ference of traditional lacquered furniture and to suggest furniture design guideline. Subjects consisted of 336 residents aged up 20 years old in Seoul and Kyung-ki. a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of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t-test and ANOVA are presente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traditional and environmental values of the traditional lacquered furniture were highly appraised. With a furniture plan, modernized and stylelike design was desired and the table type furniture were wanted. And preference of traditional lacquered furniture was distinct by sex and age groups. Women and older age group wanted more decorative and luxury design than other groups. These results provide a practical guideline for the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lacquered furniture design for users.

전통 옻칠/갈이기법을 이용한 목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Woodenware Design in the Traditional Lacquer/Lathing Technique)

  • 윤여항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9-69
    • /
    • 2003
  • When harmonized with modem design, the Korean traditional lacquered woodenware with a history of about two thousand years has the potential to appeal to the global sense of industrial craftsmanship as it is superior to any in terms of material used and is very friendly environmentally. To maximize this potential,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firm infrastructure for the supply of lacquer, including the forestation for the lacquer wood, the production of lacquer, the improvement of refining skills, and the development of better paints. Also ways must be found to induce the craftsmanship at the turning lathe to be elevated to a major independent industrial craft. Only then the mass-produced lacquered woodenware for everyday use and as tourist goods, showing the best merits of the Korean lathing technique, will be displayed and accepted with a new appreciation.

  • PDF

국가민속문화재 전 순정효황후 주칠 나전가구(傳 純貞孝皇后 朱漆 螺鈿家具) 매트리스의 보존처리 및 제작 기법 비교 (The Conservation Treatment for the Mattress from National Folklore Cultural Heritage, the Red-lacquered Furniture with Inlaid Mother-of-pearl Design Used by Empress Sunjeonghyo and Comparative Study of Manufacturing Techniques)

  • 박형호;김종수;김수철;금종숙;장종민;김수하;박창열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1호
    • /
    • pp.220-237
    • /
    • 2021
  • 국가민속문화재 전 순정효황후 주칠 나전가구(傳 純貞孝皇后 朱漆 螺鈿家具) 매트리스의 제작 기법 및 사용 재료의 특성을 확인한 후 보존처리를 진행하였으며, 창덕궁 대조전 매트리스와 비교하여 1920~30년대 국내에서 사용된 매트리스의 특징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전 순정효황후 매트리스 분석 결과, 프레임은 소나무과 솔송이 사용되었으며, 구조부인 웨빙, 트와인은 마섬유로 확인되었다. 충전재인 버랩은 마섬유, 초석은 벼속, 그 외 충전재는 면섬유로 확인되었다. 커버 상단은 레이온, 하단은 면섬유가 사용되었다. 사용된 재료와 내부 구조를 확인한 결과, 서양 가구인 데이베드와 의자에서 주로 사용되는 업홀스터리로 제작되었다. 보존처리 과정에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유사한 재료를 사용하였으며, 해체 → 세척 → 보수 및 보강 → 조립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해체 과정에서 상단의 커버가 새롭게 발견되었으며, 충전재인 버랩에서 요코하마, 고베, 조선의 단어가 발견되었다. 하지만 제작사나 제작 장소를 특정할 수 있는 추가적인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구조부와 충전재, 커버는 건식 세척을 진행한 후 업홀스터리 구조에서 기존 재료는 제거하지 않고 유사한 재료를 사용하여 보수 및 보강을 진행하였다. 구조부 웨빙은 동종의 재료를 사용하여 보강하였으며, 스프링의 배열 및 고정은 트와인을 사용하여 목재 프레임에 고정하였다. 손상된 면천과 버랩은 유사한 소재의 보강재를 덧댄 후 바느질하였다. 상단 커버는 손상부에 보강 직물을 마름하여 안쪽에 넣고 바느질하였다. 조립은 해체의 역순으로 진행하였다. 스프링과 닿는 부분에 동일 소재의 버랩을 삽입하여 고정한 후 충전패드, 보강천, 초석, 면천, 솜포, 커버 보호용 광목천, 커버를 씌워 택으로 마무리하였다. 순정효황후가 사용한 2개의 매트리스는 제작 시기의 차이가 있을 뿐 프레임과 충전재, 커버로 구성된 서양의 업홀스터리로 제작되었다. 보존처리 과정에서 새로운 벨벳 커버가 발견되었고 이전 수리 흔적이 확인되었으며, 충전재로 초석, 가마니와 짚풀 등이 확인됨에 따라 제작 환경에 따른 사용 재료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근대문화재 업홀스터리 의자 또는 소파의 보존처리에서 사용 재료 및 제작 방법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