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cheal Regeneratio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Cyclosporin A와 methylprednisolone이 이인자형이식된 쥐기관의 상피조직재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Cyclosporin A and Methylprednisolone on the Epithelial Regeneration of the Allograft Rat Tracheal Segments)

  • J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1호
    • /
    • pp.15-23
    • /
    • 1994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yclosporin A [CsA] and methylprednisolone[MP] on the viability of the devascularized trachea after heterotopic transplantation. Fourty-two tracheal segments were harvested from 21 donor Wistar rats. Those tracheal segments were heterotopically implanted into the abdomen of recipient rats after wrapping in omentum. Heterotopical implantation was performed in six groups of rats:Group I was Wistar syngeneic controls, and five groups of Sprague Dawley recipients, receiving no immunosuppression[Group II], CsA alone[Group III, V], and CsA in combination with MP[Group IV, VI]. After 14 days, the tracheal segments were histologically evaluated.Epithelial thickness and the degree of epithelial regener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 I and group II, III, VI, VI [p< 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pithelial thickness between group II, III, IV and group V, VI. In the degree of epithelial regener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up II, group III-IV, and group V-VI. Without immunosuppression there was virtually no epithelium, whereas low-dose immunosuppression yielded intermediated viability, and with high dose CsA and MP we observed improved tracheal viability. Our results suggest that optimal combination of CsA and MP may improve the viability in heterotopic tracheal allografts.

  • PDF

토끼 기관에 이식한 혈행성 연골막-구강점막 복합피판의 형태학적 연구 : III.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Morphologic Study on a Vascularized Composite Flap for Tracheal Reconstruction in Rabbit:III. Immunohistochemical Study)

  • 김은서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53-260
    • /
    • 1997
  • Successful regeneration of a cartilage framework using perichondrium has been reported by several authors but there are some arguments surrounding mucosal regeneration. Some authors report that regeneration of mucosa is completed by ingrowth from neighboring tissue but others insist that it occurs via metaplasia from the squamous epithelium.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especially in mucosal regeneration between nonvascularized and vascularized flaps via immunohistochemical study. A morphologic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 the regenerated mucosa which was sutured on the vascularized perichondrium and fabricated in a rabbit ear. A nonvascularized perichondrial-mucosal composite flap with the same dimension was transferred in the control group. BrdU was labelled on both normal mucosa and grafted mucosa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out m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ytokeratin stain, it was regarded that mucosal coverage of the control group occurred by ingrowth from the neighboring mucosa. It can be conceived that metaplasia of the grafted mucosa occurs in a vascularized composite flap transferred group.

  • PDF

Influence of Mesenchymal Stem Cells on Cryopreserved Tracheal Allografts in Rabbits

  • Kim, Hyunj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6권5호
    • /
    • pp.328-339
    • /
    • 2013
  • Background: Ischemic injury and the rejection process are the main reasons for graft failure in tracheal transplantation models. To enhance the acceptance,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mesenchymal stem cells (MSCs) on tracheal allografts. Methods: Extracted tracheal grafts from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cryopreserved for 4 weeks and orthotopically transplanted (control group A, n=8). In group B (n=8), cyclosporin A (CsA, 10 mg/kg) was injected daily into the peritoneal cavity. In group C (n=8), MSCs ($1.0{\times}10^7$ cells/kg) from the same donor of the tracheal allograft, which had been pre-cultured for 4 weeks, were infused intravenously after transplantation. In group D (n=8), MSCs were infused and CsA was injected daily. Four weeks after transplantation, gross and histomorphological assessments were conducted for graft necrosis, measur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llograft, determining the degree of epithelization, lymphocytic infiltration, and vascular regeneration. Results: The morphologic integrity of the trachea was retained completely in all cases. The cross-sectional area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group A (p=0.018) and B (p=0.045). The degree of epithelization was enhanced (p=0.012) and the lymphocytic infiltration was decreased (p=0.048) significantly in group D compared to group A. The degree of vascular regeneratio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any of the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epithelization, lymphocytic infiltration, and vascular regeneration. Conclusion: The administration of MSCs with concurrent injections of CsA enhanced and promoted epithelization and prevented lymphocytic infiltration in tracheal allografts, allowing for better acceptance of the allograft.

염기 섬유아세포 성장인자가 토끼기관의 자가이식편의 초기 혈관재형성 및 상피세포 재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b-FGF to Early Revascularization and Epithelial Regeneration in the Rabbit's Tracheal Autograft)

  • 성숙환;원태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6호
    • /
    • pp.559-565
    • /
    • 1997
  • 광범위한 기관의 병변시 동종이식 편을 이용한 기관 대치 술이나 폐 이식술시 공여 기관 및 기관지의 허혈 은 심각한 문제로서 공여 기관의 궤양 및 협착, 문합부위의 치유장애로 인한 문합부위의 분리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공여 기관의 허혈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연구가 있어 왔으며 현재는 대망 성형술 및 여러 종류의 성장인자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대망 성형술 및 염기 섬유아세포 성장인자가 허혈 에 빠진 공여 기관의 혈관 재형성 및 상피세포 재생에 어느만큼 기여하는지 조사하였다. 약 2cm정도의 토끼 경부 기판을 완전히 절제한 후 다시 연결해 주는 자가 이식을 시행한 군, 자가 이식 및 대망 성형술을 시행한 군, 자가 이식'및 1 us의 염기 섬 유아세포 성장인자를 도포한 군의 3군으로 나누 었다. 각각 술후 3일과 7일 그리고 14일 후에 99m Technetium이 부착된 인혈청 알부민의 흡수 정도를 측정하였고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상피세포의 재생 정도를 관찰하였다. 술후 3일째 99m Technetium 흡수정도로 측정한 혈관 재형성 정도에 있어서 염기 섬 유아세포 성장인자를 도포한 군에서 다른 두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ulcorner의하게 혈관 재형성이 좋았다(p<0.05). 그러나 술후 7일째 및 14일째 측정한 결과는 세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p>0.05). 술후 3일과 7일에 측정한 상피세포 재생정도 에 있어서도 염기 섬 유아세포 성장인자를 도포한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다른 두군에서보다 좋았다(p<0.05). 그러나 술후 14일째 검사한 상피세포 재생정도에 있어서는 세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국소적인 염기 섬 유아세포 성장인자의 도포는 허혈에 빠진 공며 기관의 혈관 재형성 및 상피 세포 재생을 촉진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초기에 허혈에 빠진 공여기관의 혈관재형성을 촉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토끼 경부기관의 초냉동보관 동종이식편 기관 이식술 - 생육성 및 거부반응에 미치는 영향 - (Rabbit's Cervical Tracheal Replacement with Cryopreserved Homograft - Effects on the Viability and Rejection -)

  • 원태희;서정욱;성숙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2호
    • /
    • pp.1127-1133
    • /
    • 1998
  • 배경: 광범위한 기관의 병변시 이를 절제하고 기관을 대체시킬 수 있는 이상적인 대치물질로 현재 많이 연구되고 있는 기관의 초냉동보관 동종이식편의 상피세포 및 연골조직의 생육성 유지와 항원성의 변화를 토끼 기관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토끼 45마리를 각각 15마리씩 3개의 군으로 나누어 1군은 자가 이식술을 시행하였고 2군은 초냉동보관하지 않은 동종이식편으로 기관 대치술을 시행하였으며 3군은 영하 196$^{\circ}C$에서 1달간 보관한 초냉동보관 동종이식편으로 경부기관 정위치에 이식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7일, 14일, 30일 후에 각군 당 5마리씩 무작위로 선별하여 기관 이식편의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상피세포 및 연골조직의 생육성 및 거부반응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상피세포 재생정도에 있어서 7일째에는 세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14일과 30일에는 1군에서 2군과 3군에 비해 상피세포 재생정도가 좋았다. 2군과 3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7일째까지 거부반응은 2군과 3군 모두에서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14일과 30일째에는 7일째에 비해 2군과 3군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거부반응이 많이 나타났다(P<0.05). 3군에 있어서 2군에 비해 거부반응이 적었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모든 경우에 연골세포는 생육성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거부반응도 없었다. 결론: 1달 동안 초냉동보관 된 기관의 동종이식편은 상피세포와 연골의 생육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는 초냉동보관 기관 동종이식편이 기관 대체물질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초냉동보관으로 항원성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으며 따라서 거부반응을 더욱 더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겠다.

  • PDF

토끼 기관의 재건에 이용된 혈행성 연골막 피판의 연골생성능 (Chondrogenic Activity of Vascularized Perichondrial Flap for Rabbit Tracheal Reconstruction)

  • 김은서;최은창;김영호;홍원표;김영덕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6-56
    • /
    • 1996
  • Perichondrium is generally used for reconstruction of airway and successful regeneration of cartilage framework using perichondrium are reported by several authors. It has many advantages for airway reconstruction. It can maintain the stable framework and it has higher flexibility so it's easy to design according to the shape of defects. It resist strongly against infection process. Its airtightness and rapid mucosalization enables to predict good postoperative recovery and result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artilage regeneration between avascular and vascularized perichondrial flap, this study was designed with vascularized flaps composed of vascularized perichondrium and central auricular artery and vein. Morphologic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fate of the grafted perichondrium at regular intervals using light microscopy with H & E stain. Chondrogenic potential and formation of cartilaginous plate of experimental group was superior than in the control group. Grafted perichondrium was fed by consistent feeding vessel. At 6 weeks, the regenerated cartilage could hardly be distinguished form the normal cartilage framework but in control group, regenerated cartilaginous tissue was generally immature in same period.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consistent vasculature to grafed tissue is the essential factor for successful reconstruction of cartilaginous framework.

  • PDF

쥐의 초냉동기관 이소 이식 후 형태학적 변화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Cryopreserved Rat Trachea After Heterotopic Transplantation)

  • 성숙환;서정욱;박종호;김경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1호
    • /
    • pp.1182-1190
    • /
    • 1996
  • 선천성 기도협착 또는 후천적 원인 등으로 기관협착이 유발된 환자의 치료에 있어 병변이 너무 길어 절제후 단단문합이 불가능한 경우에 인조물질과 생체조직편 등을 고려할 수 있으나 수많은 합병증으로 인해 사용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는 다른 장기에서처럼 기관도 이식술이 가능한지를 규명하기 위한 첫단계로 초냉동 보관된 기관 조직을 복강 내에 이식하여 생명력과 기관의 형태학적 기능의 유지 여부를 파악하였다. 15마리의 공여동물인 Wistar쥐로부터 30개의 기관절편을 분리하였다. 이 중 18개의 절편을 장기 보관하지 않은 이소 이식술에, 12개의 절편을 초냉동장기 보관후 이소 이식술에 이용하였다. 모두 다섯 군이며 각 군은 6마리로 구성되었다. 각 군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군은 동인자형 이식된 비교군으로 면역억제제를 투여하지 않았으며, II군은 이인자형이식후 면역억제제를 투여하지 않은 군이었다. III군은 이인자형이식후 면역억제제를 투여한 군으로 위 세 가지 군은 조직을 장기간 보관하지 않았다. IV군과 V군은 초냉동 보관된 기관을 이소 이식에 이용한 군으로 IV군은 면역억제제를 투여하였으며 V군은 이를 투여하였지 않았다. 모두 술후 28일째 이식 쥐를 절명시킨 후 이소 이식된 기관을 분리하여 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하여 상피의 두께와 재생정도를 조사하였다. 상피세포의 두께를 비교하여보면 II군과 IV군에서 나머지 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감소가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고 재생정도의 관찰에서는 II군이 타군과 비교하여 재생이 감소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초냉동보관된 기관의 이소이식술후에는 면역억제제의 사용한 군은(IV)상피세포의 두께는 감소하나 재생정도는 면역억제제를 사용하지 않은 군과 비교하여 큰 차이는 없었다. 5군 모두 기관의 둥근 형태를 잘 유지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기관조직의 장기간 초냉동 보관이 가능하고, 측행혈류를 조기에 생성해 주는 대망에 감싸주었을 때 기관의 둥근 형태를 유지하고 상피세포가 재생되어 기관의 동종이식이 가능할 것이며 면역억제제는 필요하지 않겠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연골피막편 이식후 기관 결손부위의 재생에 관한 실험적 연구(제 1 보) (Tracheal Reconstruction with Perichondrial Graft - An Experimental Study in Rabbits -)

  • 이원상;서장수;이성은;홍원표;박찬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2년도 제16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0.3-11
    • /
    • 1982
  • 근래에 기도 협착의 발생빈도는 수술요법의 괄목할만한 진전과 Low pressure cuff가 개발된 후 현저히 감소하고 있으나 호흡부전으로 Ventilator를 사용하는 경우와 심한 상기도 감염이나 손상이 있을 때 또는 장기간 삽관을 함으로서 발생하는 기관 협착증은 아직도 이비인후과 영역에 있어서 난제라고 하겠다. 이러한 기도 협착증의 치료로는 기계적으로 확장을 하거나 협착 부위를 수술적으로 제거하고 조직을 이식하는 여러 방법들이 있어서 그적응증에 따라 각각 사용되어 오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는 때가 많은 실정이다. 1959년 Lester가 우연히 늑골의 잔존 연골피막으로부터 신생 연골이 재생된 것을 발견한 이후 Skoog(1972), Sohn(1974), Ohlsen(1975)등은 동물 실험을 통하여 연골 피막으로 부터의 연골 재생에 관하여 다각적인 보고를 하였다. 임상적으로 이개, 비중격, 늑골 및 피부편등 여러 가지 다양한 조직들이 기관의 결손 또는 협착 부위의 재생에 사용되어 왔으나 기관의 정상적인 지지 조직의 연골이며 또한 연골피막이 연골의 재생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 입각하여 기관의 재건에 연골피막의 사용가능성을 알아 보고저 다음의 실험을 하였다, 가토의 이개연골에서 연골피막을 취한후 인위적으로 만든 가토의 기관 결손부위에 이식한 다음 2주부터 8주경과 할때 까지의 재생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결론) 1) 기관결손 부위의 재생은 대조군에서는 결손부위에 섬유질 및 혈관으로 구성되었으나 이식군에서는 비후된 연골피막과 섬유질로 구성되었다. 2) 점막의 재생은 대조군과 이식한군 모두에서 2주경과 표본부터 정상점막으로 완전히 재생 되었다. 3) 이식 부위의 변화를 보면 2주-모세혈관의 확장과 염증반응을 동반하며 섬유조직의 증식시작이 관찰되었다. 4주-점차 모세혈관의 확장이 감소하며 염증반응의 감소가 있으며 점막하층의 섬유조직의 증식이 있고 1개의 표본에서 연골피막내에 미숙연골 세포군이 존재. 6주-경도의 모세혈관의 확장과 만성염증반응이 존재하며 점막하층의 섬유조직화가 존재하였으며 2개의 표본에서 연골피막내에 연골 세포군 및 골화현상이 존재하였다. 8주-경미한 모세혈관의 확장이 존재하였으나 염증반응은 소실되었고 점막하층에 심한 섬유화를 동반하였다. 표본 2개에서 연골 피막내에 연골 세포군의 존재가 관찰되었다. 4 ) 이식방법을 달리한 경우에도 연골 및 점막의 재생에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5) 연골피막 이식부위에서 미숙연골 세포군과 endo-chondrial ossification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대조군에서는 결손부위의 섬유화만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때 연골피막은 기관결손부위의 재진에 적합한 조직이라할 수 있었다. 그러나 40 례의 표본중 5례의 표본에서만 연골의 세포군을 관찰할 수 있어 이로 미루어 볼때 연골피막으로 부터 신생 연골이 재생된다 확인하기는 불충분하다고 생각되며 앞으로의 추시가 요망된다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