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phenolic acid

검색결과 909건 처리시간 0.03초

서양등골나물의 환경적응력 : 중금속 축적과 Phenolic Compounds의 관계 (Environmental Adaptability of Eupatorium rugosum : Relationship between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and Phenolic Compounds)

  • 김용옥;박종야;이호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1호
    • /
    • pp.5-12
    • /
    • 2003
  • 서양등골나물의 잎 추출액을 미국자리공을 비롯한 5종의 식물에 처리하여 종자발아와 유식물생장을 조사하였고, total phenolic compounds와 중금속 이온을 서양등골나물의 분포에 따라 잎과 토양에서 분석하였다. 서양등골나물의 잎 추출액에 의한 미국자리공의 초기생장은 10%와 25%농도에서 촉진되었고, 토양 추출액의 total phenolic compounds는 잎 추출액의 total phenolic compound 보다 낮았다. 토양의 total phenolic compounds는 대조구와 10%, 25% 농도로 처리된 토양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자연상태에서 잎 추출액 25%가 threshold 농도임을 확인하였다. 서양등골나물의 total phenolic compounds는 신갈나무림 임상에서 1.66 mg/1, 임연에서는 1.09 mg/l로 조사되었으므로 상부식생에 따른 total phenolic compounds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각 토양에서는 상부식생에 따라 total phenolic compounds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서양등골나 물의 잎 추출액 처리시 애기수영과 강아지풀의 발아율은 50% 이상의 농도에서 현저히 억제되었으나, 차풀의 발아율은 추출액의 농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유묘와 유근생장은 귀화종 그룹보다 자생종 그룹이 2배 이상 억제되었으며, 특히 서양등골나물의 추출액 농도 10%와 25%가 처리된 서양등골나물의 종자발아와 건중량은 대조구보다 촉진되었다. 서양등골나물의 phenolic compounds를 HPLC로 분석한 결과 caffeic acid (460.9 mg/1), benzoic acid (109.7 mg/l), protocatechuic acid (7.3 mg/l), ρ-hydroquinone (6.0 mg/l), cinnamic acid (2.7 mg/l), hydroquinone (0.23 mg/1) 순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서양등골나물의 phenolic compounds 각각에 대한 미국자리공의 발아율은 caffeic acid (460.9 mg/l)치 농도가 높을지라도 이것이 낮은 cinnamic acid와 protocatechuic acid에서 현저한 억제현상을 보였다. 서양등골나물 임상의 토양보다 서양등골나물이 분포하지 않는 토양의 중금속 함량이 전반적으로 높았다. 특히 Al, Fe 및 Mn의 함량이 높았으며 이들 중금속은 total phenolic compound 함량이 높은 잎에 대부분이 축적되었다.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in the Parts of Artichoke (Cynara scolymus L.) in Viet Nam

  • Thi, Bui Ha Thu;Park, Moon-Ki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9-27
    • /
    • 2008
  • Artichoke extracts are widely used alone or in association with other herbs for embittering alcoholic and soft drinks and to prepare herbal teas or herbal medicinal products in Viet Nam. The objective of this paper was a screening of flavonoids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content in the parts of artichoke (Cynara scolymus L.) as flowers, leaves, roots, trunks, stumps,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in the parts of artichoke were extracted among 3 extraction methods as methanol extraction (EM1), mixing methanol and water method (EM2) and water extraction method (EM3).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were determined by UV/VIS, HPLC techniques. The apigenin 7-O-glucosides, cynarin, narirutin, gallic acid, caffeic acid were found as the main flavonoids constituents in all parts of artichoke. It showed that value of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by EM3 were higher than that of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by EM1 and EM2.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obtained by these convenient extraction methods, may show the quick efficacy of artichoke in all respects of their quality and quantity.

Screening of the total phenol content and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 in rice (Oryza saiva L.) genetic resources

  • Lee, Ji-Hee;An, Min-Jeong;Kim, Seung-Hyun;Chung, Ill-Mi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90-290
    • /
    • 2017
  • Rice (Oryza sativa L.) is one of the most consumed staple food crop which is energy source as carbohydrate and also is considered as the important antioxidant sources including various phenolic compounds. According to the increasing demand of healthy life, the concern to antioxidant also is increasing because of its health-promoting effect. Phenolic compounds are one of the plant secondary metabolites class, which shows various benefits to preventing or treating chronic diseases. In this study, we have measured the total phenol content from total 647 rice samples using the Floin-Ciocalteau method, and then were selected 30 rice genetic resources classified with high, middle, and low group on the basis of total phenol content. The average of the total phenol content of each group was high-group ($6892.9{\pm}488.5{\mu}g\;GAE/g$) > middle-group ($1428.1{\pm}76.0{\mu}g\;GAE/g$) > low-group ($97.6{\pm}11.4{\mu}g\;GAE/g$). The selected rice samples were analyzed with LC-MS/MS to find the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of individual phenolic in rice grain. High-group and middle-group contained large amounts of protocatechuic acid and (+)-catechin whereas low-group showed limited amount. Among high-group samples, rice samples with black pericarp color (IT 174089, IT 220079, and IT 259958) had high content of peonidin-3-O-glucoside. Further, these black rice samples were special since polydatin, rarely found stilbenoid in rice grain, was detected. Overall, both the sum of phenolic acid and the sum of flavonoid were high-group > middle-group > low-group. Also, each group exhibited different phenolic compositions; high-group consisted of flavonoid more than phenolic acid, middle-group and low-group was comprised of phenolic acid rather than flavonoid, and non-pigmented rice was composed by fully phenolic acid. The total phenol content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sum of phenolic compound (r = 0.64), the sum of flavonoid (r = 0.74)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 < 0.0001. In addition, protocatechuic acid and querceti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bove phenolic composition parameters; in order, r = 0.98, 0.65 for protocatechuic acid and r = 0.73, 0.78 for quercetin (p < 0.0001). In conclusion, the total phenol content assay showed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as a phenolic composition indicator in rice grain. Also, this result was suggested study pigment on other material.

  • PDF

탈지들깨박에서 분리한 페놀화합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Deffated Perilla Seed Flour)

  • 이기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14
    • /
    • 1993
  • 탈지들깨박으로부터 추출한 유리페놀산, 페놀산 에스터 및 불용성 결합형 페놀산 형태의 페놀화합물들의 항산화효과를 일반 시판용 합성항산화제들과 비교하였다. Chlorogenic acid를 표준물로써 비색법으로 측정한 페놀화합물들의 총함량은 0.75%였고 총페놀산중 유리페놀산, 페놀산 에스터 및 불용성 페놀산 추출물이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87.5, 7.5, 5.0%였다. 이차원 전개법에 의한 paper chromatography 성분분석 결과 유리페놀산 형태의 추출물에서는 대부분의 폐놀화합물이 chlorogenic acid와 일치하였고 소량의 caffeic acid와도 일치되었으나, 페놀산 에스터와 불용성 결합형 페놀산 형태의 추출물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30g의 탈지들깨 종자박에서 추출된 각 형태의 페놀산 추출물들은 각각의 페놀함량 차이가 큼에도 불구하고 식용대두유 기질에서 0.02%(w/w) 농도로 첨가된 BHT와 비슷한 정도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 PDF

Increasement of Eleutheroside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Eleutherococcus senticosus Adventitious Root by Jasmonic acid

  • Ahn, Jin Kwon;Park, Youngki;Lee, Wi Young;Park, So-You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5호
    • /
    • pp.539-542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jasmonic acid (JA) on adventitious root culture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Adventitious root of E. senticosus were treated with jasmonic acid (JA) and cultured for 30 days. JA inhibited the root growth but increased eleutherosides accumulation, total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Among various concentrations of JA, 1.0 mg/L JA increased the total phenolic contents in E. senticosus adventitious root to $39.81{\mu}g/g$, about 2.6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Consequently, high accumulation of total phenolic contents led to increase the antioxidant activity to 82.41%.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ontrol was 37.89% at $2500{\mu}g/mL$. A linear correlation ($R^2$ = 0.9937, 0.9648 and 0.9883) was also shown between antioxidant activity (at 1250, 1875, and $2500{\mu}g/mL$)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adventitious root of E. senticosus.

미강 페놀산 농축물의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henolic Acid Concentrates of Rice Bran)

  • 정은희;황인경;하태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93-59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현미의 미강으로부터 생리활성이 있는 페놀산물질을 얻기 위해 다양한 추출법을 시도하였고, 얻어진 미강 페놀산 농축물의 성분 분석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미강 추출물 중 알칼리 가수분해를 시행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얻은 RBE-II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페놀산 성분의 농축 및 정제를 위해 Sep-pak $C_{18}$ Vac cartridge를 통과시켜 미강 페놀산 농축물(F1-RBE-II)을 얻었다. HPLC 분석을 통해 얻어진 페놀산 성분 중 ferulic acid가 가장 많았고, p-coumaric acid, sinapic acid, vanillic acid, 그리고 syringic acid가 존재하였으며, 그 구성성분이 주로 hydroxycinnamic acid 계열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PPH radical과 ABTS radical 소거능에서 미강 페놀산 농축물(F1-RBEII)는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으며, ${\beta}$-CLMS을 이용한 지질산화 유도반응에서도 우수한 peroxy radical 저해능을 발휘하여, 합성 항산화제인 BHA의 활성과 비교했을 때 높은 과산화 지질억제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미강 페놀산 농축물의 성분 및 강한 항산화 능력이 확인됨으로천연 항산화제 및 지방 산화 방지제로 개발하기에 부족함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품종 및 도정도별 백미와 미강의 특성 및 페놀산 함량 (Various Properties and Phenolic Acid Contents of Rices and Rice Brans with Different Milling Fractions)

  • 김성란;안지윤;이현유;하태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30-93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오대, 남평, 추청, 일미 4품종으로부터 각각 현미와 7분도, 10분도 및 12분도의 백미와 미강을 제조하고 품종과 도정도에 따른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총 폴리페놀과 페놀산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현미의 성분 중 지방과 회분 함량이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크게 감소하였으며 단백질 함량은 변화가 크지 않았다. 미강의 지방과 회분 함량은 품종에 따른 차이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정도에 따른 차이는 적었다.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쌀가루의 호화개시온도가 낮아지고 피크점도(P)와 $95^{\circ}C$ 15분간 유지 후 점도(H)가 증가하였으나 반면 냉각점도, 최종점도, setback 등은 도정도에 따라 일정한 경향을 보이기보다는 품종에 따른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현미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93.9-88.8 mg catechin eq/100 g이고 도정한 백미 중에는 30.3-71.9 mg catechin eq/100g 범위였으며, 미강에는 310.0-541.6 mg catechin eq/100g이었다. Phenolic acid는 ferulic acid, p-coumaric acid가 주요 성분이었으며 현미의 총 phenolic acid 함량은 65.9-27.9 mg%였으나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감소되고 ferulic acid 조성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 중에서는 추청과 일미에서 도정으로 인한 phenolic acid 함량 감소가 컸다. 미강의 경우 ferulic acid는 157.8-240.2 mg%, p-coumaric acid는 31.8-90.4 mg% 범위로 나타났고 현미와 백미와는 달리 sinapinic acid, benzoic acid, m-hydroxybenzoic acid의 함량도 높았다.

수삼의 증숙 횟수에 따른 페놀산 함량 변화와 라디칼 소거활성 (Changes of phenolic acid content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ginseng according to steaming times)

  • 김영찬;홍희도;노정해;조장원;이영경;임주혁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1권4호
    • /
    • pp.230-236
    • /
    • 2007
  • 본 연구는 증숙 횟수에 따른 인삼의 총페놀 화합물 함량과 페놀산 획분의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시험하고, 개별 페놀산 조성과 함량을 GC로 분석하였다. 총페놀 함량은 0.53-2.89%로 증숙 횟수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결합 형태에 따른 페놀산 획분의 함량은 결합형 >에스테르형>유리형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세 획분의 총량 (1.03-1.41%)은 증숙횟수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각 획분에서 salicylic, cinnamic, p-hydroxybenzoic, gentisic, vanillic, syingic, caffeic, ferolic acid가 확인되었으며, 이 중 gentisic acid와 ferulic acid 가 주된 페놀산으로 50% 이상을 차지하였다. 각 페놀산 획분은 50% 이상의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결합형태에 따른 페놀산 획분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반면 각 획분별로 증숙 횟수에 따라 라디칼 소거활성이 차이를 보였으며, 증숙 횟수가 증가할수록 라디칼 소거활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려홍삼의 총 페놀성환의 정량 및 그 추출조건 (Determination of Total Phenolic Compounds from Korean Red Ginseng, and Their Extraction Conditions)

  • 이종원;도재호;이성계;양재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64-6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홍삼에 함유되어 있는 총 phenolic화합물을 정량하기 위하여 Folin-Denis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 때 정량에 방해를 줄 수 있는 물질에 대해서 조사하였고 홍삼분말로부터 phenolic 화합물 추출조건을 조사하였다. 아미노산중에서는 tyrosine, cystein 및 tryptophan이 영향을 미쳤고, 여러 가지 유기산, 당류 및 ginsenosides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비타민 중에서는 vitimln B$_{12}$, d-biotin, D-pantothenic acid, niacinamide, nicotinic acid, vitamine A palmitate, vitamine D$_3$ 등을 제외한 비타민은 발색에 영향을 미쳤다. 홍삼으로부터 phenolic 화합물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조건은 60% ethanol을 사용해서 80。C에서 1-2시간씩 3회 정도 추출이 적당하다고 판단된다.

  • PDF

사과의 총 페놀함량 정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Total Phenolic Content in Apple)

  • 황혜정;한완수;윤광로
    • 분석과학
    • /
    • 제14권5호
    • /
    • pp.377-383
    • /
    • 2001
  • 사과에 분포하는 페놀계 물질의 총 함량을 분석하는데 가장 적절한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4품종을 각각 5개 지역에서 수집한 20개 종류의 사과를 시료로 가장 효율적인 분석조건을 조사하였다. 천연재료 줌의 총 페놀 정량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는 분광광도법인 Foline-Dennis법, Prussian-blue법 그리고 vanillin-HCI법을 각각 시료에 적용하여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chlorogenic acid 상당량으로 산출한 Folin-Dennis법이 사과의 총 페놀 정량방법으로 가장 적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