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oxalic acid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7초

Analysis of Oxalic Acid of Various Vegetables Consumed in Korea

  • Kim, Dae-Jung;Kim, Hoi-Kyung;Kim, Myung-Hee;Lee, Jun-S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4호
    • /
    • pp.650-654
    • /
    • 2007
  • Many vegetables contain oxalate at various levels depending on their type and family. Oxalate is known to reduce mineral bioavailability from foods. The following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soluble and total oxalate contents in 32 plant samples commonly consumed in Korea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Chard, amaranth, and spinach contained total oxalate of >1,000 mg/100 g. Approximately 45% of the oxalate in amaranth is insoluble, whereas 74.46 and 92.45% of the oxalates in chard and spinach, respectively, was soluble oxalates, which may be removed by blanching. Eggplant, carrot, leak, ginger root, spinach, burdock, and sweet pepper contained more than 90% soluble oxalate in total oxalate content. However, all oxalates detected in lettuce and celery were insoluble. Oxalate was not detected in shepherd's purse, bellflower root, garlic, radish root, broccoli, cabbage, onion, lotus root, adlay, cucumber, kale, and pumpkin. These observations provide useful information needed for selection of vegetables.

한국산유자(韓國産柚子)의 화학적성분(化學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Citrus junos in Korea)

  • 정지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7권1호
    • /
    • pp.63-80
    • /
    • 1974
  • 한국산유자(韓國産柚子)의 화학적성분(化學的成分)을 일반성분(一般成分)과 특수성분(特殊成分)으로 구분(區分)하여 일반성분(一般成分)이 관(關)하여는 시기별변화(時期別變化)를 특수성분(特殊成分)은 성숙기유자(成熟期柚子)에 관(關)하여 amino acid vitamin C, 유리당(遊離糖), 유기산(有機酸), 향성분(香成分)등을 분석(分析)하여 시기별성분(時期別成分) 변화(變化)가 식물생리(植物生理)에 미치는 영향(影響)과 식품(食品)의 효과적(效果的) 이용(利用)에 관(關)한 검토결과(檢討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과피(果皮)와 과육(果肉)의 시기별분석결과(時期別分析結果)는 과피율(果皮率)과 과육율(果肉率)를 비교(比較)할때 전자(前者)가 더 크며 지역적(地域的)으로 볼때는 과피율(果皮率)은 도서부(島嶼部)가 내륙지(內陸地)보다 더 크다. 2. 일반성분(一般成分)에 있어서 과피(果皮)에서는 3기(期)까지 수분함량(水分含豊)의 증가(增加)를 보이고 기후(其後) 일정상태(一定狀態)를 유지(維持)하며 조지방(粗脂肪), 섬유질(纖維質), 회분(灰分), 총산(總酸), 가용성무질소물(可溶性無蜜素物)등은 3기(基)까지 감소(減少)하며 환원당(還元糖)은 급증(急增)하고 섬유질(纖維質)과 총산(總酸)은 계속감소(繼續減少)를 보인다. 과육(果肉)에서는 3기(期)까지 수분(水分), 환원당(還元糖)이 증가(增加)하고 조지방(粗脂肪), 섬유질(纖維質), 회분(灰分), 조단백질(粗蛋白質), 가용성무질소물(可溶性無窒素物)등은 3기(期)까지 감소(減少)한다. 3 Vitamin C의 함량(含量)은 과육(果肉) 보다 과피(果皮)에 많고 일본산유자(日本産柚子) 보다 한국산유자(韓國産柚子)에 더 많었다. 4. 유리당(遊離糖)은 xylose, fructose, glucose, sucrose등 4종(種)이 분리검출(分離檢出)되었고 과육(果肉)보다 과피(果皮)에 더 많이함유(含有)되어 있었다. 5. 휘발성유기산(揮發性有機酸)의 함량(含量)은 과육(果肉)보다 과피(果皮)에 더 많고 과피(果皮)에 acetic acid, formic acid, n-valet acid등 3종(種)과 과육(果肉)에 formic acid, acetic acid, propionicacid 등 3종(種)이 분리(分離)되었다. 6. 비휘발성유기산(非揮發性有機酸)의 함량(含量)은 과피(果皮)보다 과육(果肉)에 더 많고 과피(果皮)에 citric acid, glutar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oxalic acid, malonic acid, succinic acid와 unknown 1종(種)등 8종(種)이 분리검출(分離檢出)되었고 과육(果肉)에서는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oxalic acid, glutaric acid, malonic acid등 6종(種)이 분리확인(分離確認)되있다. 7. 향성분(香成分)의 정유중성부(精油中性部)에서 D-limonene, ${\alpha}-pinone$, p-cymene의 3종(種)과 unknown 7종(種)등 10종(種)이 분리검색(分離檢索)되었고 함량(含量)으로 보아 D-limonene이 유자(柚子)의 주향성분(主香成分)인 것으로 생각된다. 8. 식품(食品)의 효율적이용(效率約利用)은 과피(果皮)와 과육(果肉)을 공(共)히 쓸수 있고 미숙과(未熟果)는 citric acid제조용(製造用), 성숙과(成熟果)는 과중제조원료(果汁製造原料)로 쓸수 있다는 것이 상기(上記) 연구결과(硏究結果)에의(依)하여 확인(確認)되었다.

  • PDF

복발효 감식초의 품질 (Quality of Persimmon Vinegar Fermented by Complex Fermentation Method)

  • 김미경;김미정;김소연;정대성;정용진;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9-44
    • /
    • 1994
  • To prepar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fermentation of high quality persimmon vinegar in the farm. the quality of the complex fermented persimmon vinegar(CFPV) was compared to that of naturally fermented persimmon vinegar (NFPV). The titratable acidity of the CFPV was 3% which was the half concentration of the NFPV. The content of total free sugar by HPLC was 6% in CFPV and NFPV was 5%. Organic acid compositions in persimmon vinegar were oxalic acid, malic acid, lactic acid, citric acid, succinic acid and glutaric acid in addition to acetic acid. Total content of the organic acids in NFPV was higer than in CFPV. Especially, the content of latic acid in NFPV was very higher than that of CFPV. the flavour, color and taste of persimmon fruit itself in CFPV were stronger than those in NFPV.

한국(韓國) 간장중(中)의 유기산(有機酸)에 대(對)하여 (Organic Acid in Korean Soy-Sauces)

  • 장지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8권
    • /
    • pp.1-9
    • /
    • 1967
  • Korean soy-sauces were orepared by the ordinary and impreved method and its analyses on the organic acid. The results obtained is as following: 1. In analysing general components of prepared soy-sauce, total acid, volatile acid and non-volatile acid were found more in improved soy-sauce than in ordinary soy-sauce. 2. Volatile organic acid were analysed by gas-chromatography method. As a result, the followings was attained: a) In the ordinary soy-sauce, formic acid, acetic acid, propionic acid, and butyric acid were detected. Butyric acid was in the highest amount and then propionic acid, acetic acid and formic acid are followed in the order. b) In the improved soy-sauce, formic acid, acetic acid, propionic acid and butyric acid were detected. Acetic acid was in the highest amount and then propionic acid, butyric acid and formic acid are followed in the nrder. 3. Non-volatile organic acid were analysed by paper partition chromatography method. As a result, the followings were attained: a) Lactic, glutaric, fumaric, malonic, malic, glycolic, oxalic, tartaric, and succinic acid and two unknown spots were detected in ordinary soysauce. Lactic acid was in the highest amount and then succinic, glycolic, oxalic, tartaric, glutaric, malic, fumaric and malonic acid are followed in the order. b) Lactic, glutaric, malonic, malic, glycolic, tartaric, succinic and tgalacturonic acid and two unknown spots were detected in the improved soy-sauce. Lactic acid was in the highest amount and then succinic, glycolic, malic, glutaric, tartaric, galacturonic and malonic acid are followed in the order. 4. ${\alpha}-keto$ acid were analysed by paper partition chromatography. As a result, the followings were attained: Pyruvic acid and ${\alpha}-keto$ glutaric acid and an unknown spot were detected in the ordinary and improved soy-sauce. Pyruvic acid was in the highest amount and then ${\alpha}-keto$ glutaric acid are ollowed in the order. 5. Stale flavor in the ordinary soy-sauces seems to be partly affected by butyric acid and propionic acid. 6. Substances influencing taste, such as lactic acid and succinic acid, were found more in improved soy-sauce than ordinary soy-sauce.

  • PDF

야채류(野菜類)의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 2. A. altissima엽(葉)의 free amino acid및 organic acid함량(含量) -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Vegetables - 2. The free amino acid and organic acid contents in A. altissima leaves -)

  • 김석환;조수열;김덕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7-20
    • /
    • 1977
  • A. altissima 엽(葉)의 free amino acid 및 free organic acid의 함량(含量)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free amino acid는 lysine, histidine, arginine, tryptophan, aspartic acid, glutamic acid, threonine, isoleucine, 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 등 17종(種)이 정량(定量)되었으며 이들 중 glutamic acid가 가장 많아 전(全)아미노산량의 48.3%를 차지하였다. 2. free organic acid는 formic acid, acetic acid, oxalic acid, male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등 8종(種)이 정량되었고 sorbic acid는 미량(微量)이었으며, 이들 중 fumaric acid가 가장 많았다.

  • PDF

국내산 마늘의 향미성분 (Flavor Composition of Garlic from Different Area)

  • 신동빈;석호문;김지현;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93-300
    • /
    • 1999
  • 산지별 마늘의 향미성분으로서 향기,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및 유기산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마늘의 향기성분을 GC로 분리한 결과 28개의 피크를 얻었고 이중 GC/MS를 이용하여 25종의 화합물을 동정할 수 있었다. 향기성분을 총피크면적을 기준으로 할 때 서산산이 가장 높았으며 함평산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늘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알려진 황화합물에 있어서는 남해산, 서산산 및 의성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로 유리당을 분석한 결과 glucose, fructose, sucrose 이외에 fructooligosaccharide인 1-kestose, 1-nystose, 1-f-fructosyl nystose가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서산마늘은 1-nystose, 1-F-fructosyl nystose함량이 높았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036.1{\sim}2704.0mg%$ (건조물기준)정도 함유되어 있었으며, 한지계마늘인 의성마늘과 서산마늘이 남해 및 함평산 마늘 보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산 분석 결과 마늘중에는 citric acid, pyruvic acid, malic acid, lactic acid, pyroglutamic acid, succinic acid, oxalic acid, malonic acid, levulinic acid 및 fumaric acid가 존재하였고 이들 유기산의 총함량은 건조마늘 100g당 $1905.7{\sim}2359.2mg$이 함유되어 있었다. 함평산 마늘은 다른 지역의 마늘 보다 유기산 함량이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석류식초의 품질 관리 규격 확립 (Establishment of Quality Control Standardization for Pomegranate Vinegar)

  • 여명재;이경훤;남기혁;장세영;우승미;정용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1425-143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석류식초의 품질관리를 위하여 알코올 및 초산발효 조건을 모니터링하였다. 알코올발효과정에서 석류과즙농도 $16^{\circ}Brix$에서 알코올 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석류과즙농도 $12^{\circ}Brix$에서도 과실식초 규격에 적합하였다. 석류 알코올발효과정에서 발효초기 fructose와 glucose가 나타났고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감소하여 발효 4일째는 glucose만 검출되었다. 유기산은 oxalic, lactic, acetic 및 citric acid가 확인되었으며 알코올발효과정에서는 크게 변화되지 않았다. 초산발효 과정에서 산도는 초기 1.56%에서 5.54%로 증가되었으며, oxalic, lactic 및 citric acid 함량은 크게 변화되지 않고 acetic acid만 증가되었다. 따라서 석류과즙과 석류식초의 citric acid 함량을 비교함으로써 식초의 석류과즙 함량 측정이 가능하였다. 이상의 결과 석류과즙 $12^{\circ}Brix$를 사용하여 알코올 및 초산발효과정으로 석류식초를 제조방법 및 품질관리 기준을 확립하였다.

일라이트 분체 내에 함유된 산화철 제거에 옥살산과 L-아스코르브산이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xalic and L-ascorbic acids on Iron Removal form Iron-bearing Illite)

  • 이원표;강일모;문희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40권2호
    • /
    • pp.141-151
    • /
    • 2007
  • 충북 영동지역에서 산출되는 일라이트를 대상으로 철 성분을 제거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는 일라이트 광석에 들어있는 철 성분을 제거하여 백색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광석의 활용 가능성을 높여 주는데 있다. 철 성분의 제거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무기산(황산, 염산), 유기산(L-아스코르브산, 옥살산), 혼합산(무기산+유기산)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0.15 M L-아스코르브산을 0.5 N 황산에 첨가한 혼합산과의 탈철 반응을 수행한 경우, 60분 반응 시 1.5 wt%의 산화철 성분을 제거하여 가장 높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0.5N황산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60분 반응 시 제거된 산화철이 0.68%에 불과하다. 황산만을 이용하여 1.5wt %의 산화철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5N의 반응농도와 150분의 반응시간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친환경적이고, 인체친화적인 L-아스코르브산의 탈철반응이 반응농토와 반응시간에 있어서도 효율적임을 관찰하였다. 산화철 제거 후 일라이트는 백색도가 42%에서 75%로, 색도가 10YR 8/4에서 5Y, 8/1로 향상되어 CBD 처리와 같은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일라이트 입자를 교결하고 있던 산화철이 제거되어 입도가 소폭 감소하였으나 광물학적/물리 화학적 특성은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쌀당화액 첨가량에 따른 딸기잼의 품질특성 (Effect of rice mash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jam)

  • 김미진;김진숙;장영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17-82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쌀과 쌀누룩(rice koji)을 이용하여 당화과정을 거쳐 생성된 쌀당화액(rice mash)은 당도와 유기산을 가진 잼 제조의 원료로 활용하고자 딸기와 설탕의 첨가수준 대비 rice mash 첨가량을 0%, 14%, 21%로 달리하여 제조한 딸기잼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Rice mash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딸기잼의 당도 및 총산도는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이었다(p<0.05). 색도는 rice mash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L, a 및 b값 모두 증가하였다. 또한 딸기잼의 유리당으로 fructose, glucose, sucrose 및 maltose가 검출되었으며, glucose 함량은 rice mash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3.86~4.13 g으로 증가된 반면 fructose, sucrose 및 maltose 함량은 이와 다르게 감소되었다(p<0.05). 처리구에서 검출된 유기산은 oxal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및 succinic acid였으며, oxalic acid는 대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Succinic acid는 당화액 첨가수준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다(p<0.05). Rice mash 첨가량에 따른 딸기잼의 관능검사 결과 색, 맛 항목에서는 rice mash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냄새, 질감(texture), 스프레드(spread)의 경우에는 모든 처리구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반적 기호도는 기존의 설탕잼의 단맛에 익숙하여 rice mash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가 점수가 높았지만 rice mash 14% 첨가 처리구(SJ14)와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때 당과 산을 생성하는 rice mash를 설탕 대체 또는 산 조절제로 이용하여 기존 잼의 당도를 낮추며 품질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바, 건강지향 요구에 따른 새로운 잼 제품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잎담배의 적심시기와 정도에 따른 엽중 비휘발성유기산 및 지방산의 함량변화 (INFLUENCE OF TOPPING TIME AND HEIGHT ON THE NONVOLATILE ORGANIC AND HIGHER FATTY ACID CONTENTS OF TOBACCO LEAVES)

  • 정기택;강서규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69-178
    • /
    • 198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topping time and height on the nonvolatile organic and higher fatty acid contents and the correlation among acid contents of tobacco plants. Within the topping time, the flowering (normal) stage of topping was the lowest in total analyzed acid (TAA), total nonvolatile organic acid (TNOA) and magic acid contents of NC2326, however, the highest in those of Burley 21 on 30 days after budding. Total higher fatty acid (THFA) and linoleic acid contents tended to be low with normal stage of topping. The lower the topping height, the lower the TAA, THFA and linoleic acid contents in middle and upper leaves (or NC2326 and Burley 21 were observed. On the other hand, the lower the topping height, the lower the TNOA and malic acid contents in middle and upper leaves for Burley 21 and upper leaves for NC2326 were fou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gic acid and TNOA contents. Similarly, TAA conten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NOA, oxalic acid and citric acid contents. Bu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alic acid and THFA contents. There were highly positive correlations among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THFA contents,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