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otal microbial number

검색결과 307건 처리시간 0.026초

지반 조성과 관리방법에 따른 골프장 토양내 미생물 군집의 변화 (Changes of Microbial Community Associated with Construction Method and Maintenance Practise on Soil Profile in Golf Courses)

  • 문경희;김기동;주영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19-228
    • /
    • 2009
  • 골프장은 인공적으로 건설되어 지고 관리되므로 당연히 환경의 변화가 생성된 곳이므로 건설방식이나 관리 방법에 따라 코스 내 토양 미생물 군집 구조의 특이성이 있을 것이다. 현재 제주도에서는 농약 용탈 저감방안으로 골프코스 그린지반구조에 농약 흡착층을 설치하고 그 재료로 흡착성능이 우수한 입상 활성탄 1등급을 사용할 것을 환경 영향평가서에 명시하고 있다. 본 실험은 활성탄이 처리된 제주도 A, B 골프장을 대상으로 토양에서의 화학적 특성변화와 미생물 군락변화를 분석하였다. 2007년 4월, 6월, 8월 10월에 걸쳐서 총 박테리아 수, 총 곰팡이 수, 수분함량 및 토양 이화학성(pH, EC, NO3-,NH4+ 및 P2O5)의 변화를 그린과 페어웨이에서 깊이별(표토:0-15cm, 심토: 15-30cm)로 조사되었다. 그 결과, 활성탄의 시용이 수분 보유 능력, 토양산도, 전기전도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으나, GAC의 물질의 수착 능력에 의하여 유효 양분들을 많이 보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예상하였으나, 본 실험에서는 가용성 질산과 암모늄, 및 인산의 농도를 높이는 효과는 없었다. 토양 미생물 실험에 있어서는 총 박테리아 및 총 곰팡이의 시기적 변화가 다양성을 보였다. 이러한 현상은 농약의 시용에 따라 직접적인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총 곰팡이/총 박테리아 비(F/B ration) 는 활성탄을 혼합한 토양 심토(15-30cm)에서 일정한 수치를 유지하였다. 따라서, GAC 토양층의 설치 방법이나 시비와 시약 등이 미생물군집의 변화에 영향을 주며 이는 농약의 시용이 잔디관리에 큰 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열처리에 의한 맹종죽 수액의 저장성 향상 (Storage-life Extension of Maengjong-Juk (Phyllostachys pubescens) Sap Using Heat Treatments)

  • 조은혜;김소영;채희정;김동청;인만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6권2호
    • /
    • pp.79-81
    • /
    • 2013
  • 맹종죽(Phyllostachys pubescens) 수액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열처리 조건을 조사하였다. 수액을 $70^{\circ}C$에서 30분간 열처리한 후 $2^{\circ}C$에서 보관하면서 수액의 pH, 총 세균수, 관능특성을 경시적으로 분석하여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맹종죽 수액의 품질 및 관능특성이 10일 동안 유지되었다.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신선 채소류에 대한 살균 유효성 (Disinfection efficacy of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SlAEW) against some fresh vegetables)

  • 박기재;임정호;정희용;정문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12-319
    • /
    • 2017
  • 신선 농산물의 비가열 살균에 사용되는 살균소독제는 처리시간과 살균소독제의 농도에 비선형적인 감균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적정 농도와 적정 시간에 대한 고려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희석염산(6%, v/v)을 원료로 생성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slightly acidic electrolzyed water, SlAEW)($20{\pm}1^{\circ}C$에서의 유효염소 30 ppm, ORP $562{\pm}23mV$, pH 6.4)로 4종의 채소류(상추, 깻잎, 치콘 및 케일)에 대한 미생물 저감 특성을 분석하여 비가열 살균공정설계에 필요한 살균효과를 평가하였다. SlAEW에 30분간 3회 침지하면서 핵심인자인 유효염소와 미생물군수 및 잔류 미생물군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총균수 감소는 1차 침지 초기 10분간 이루어졌으며 4종의 채소류에 생존하는 3 log CFU/g의 총균수가 침지를 통해 감소시킬 수 있는 한계값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SlAEW에 10분간 침지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는 균수는 평균적으로 약 2 log CFU/g이었다. 초기 10분후의 감소된 유효염소는 상추, 깻잎, 치콘 및 케일에 대해 각각 2.2 ppm, 2.0 ppm, 1.7 ppm 및 2.5 ppm이었고 감소된 유효염소량의 약 50-80%가 초기 10분내에 감소되었다.

벤젠과 톨루엔 분해에 적합한 미소환경과 토착미생물군의 분포변화 (Microbial Community in Various Conditions of Soil Microcosm)

  • 이한웅;이상현;이정옥;김현국;이수연;방성호;백두성;김동주;박용근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5-91
    • /
    • 2001
  • 생물학적 방법으로 토착 미생물에 의해 벤젠과 톨루엔을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는 토양환경인자의 조건을 조사하기 위해 16가지의 서로 다른 환경의 미소환경(microcosm)을 제작하여 벤젠과 톨루엔 분해실험을 수행하였고, 아울러 분해과정에서 토착미생물의 분포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실험 조건중 토양의 수분 포화도는 30%와 60%이면서 동시에 생물들이 흡착할 수 있는 미생물 흡착제로 활성탄을 1% 첨가한 미소환경(Case 6, Case 7)에서 벤젠과 톨루엔의 분해속도가 가장 빨랐다. 토착토양미생물의 분포변화를 조사한 결과 벤젠과 톨루엔의 분해가 가장 빨리 일어나는 Case 6 와 Case 7에서는 10일 배양 후 total culturable bacteria는 초기 세균 수에 비해 각각 488배와 308배가 증가하였다. 벤젠과 톨루엔 분해세균의 증가 역시 총 세균수가 증가하는 비율로 증가하여 초기 분포를 계속 유지하였고, 벤젠과 톨루엔을 첨가한 미소환경에서 분해 미생물 종의 변화는, 첨가 전 그람음성 세균이 반응 10일 후에는 그람양성 세균이 탈이 분리되었다.

  • PDF

영양부추에서 이산화염소와 차아염소산나트륨 처리의 식중독세균 저감화 효과 (Effect of Chlorine Dioxide and Sodium Hypochlorite Treatment on the Reduction of Foodborne Pathogen in Korean Chive)

  • 윤보현;이효섭;안현미;김원일;김황용;한상현;김현주;류재기;김세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4-162
    • /
    • 2017
  • 본 연구는 영양부추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산화염소와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이용하여 미생물의 저감효과를 분석하고, 최적의 영양부추와 소독제의 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영양부추에 E. coli, Salmonella spp., S. aureus, B. cereus을 7.0 log CFU/g 정도로 접종 한 후 이산화염소는 3, 5, 10, 25, 100 ppm 차아염소산나트륨은 100, 150, 200 ppm에서 5, 10, 30, 60분간 처리하였으며, 또한 유기물이 이산화염소와 차아염소산나트륨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영양부추와 소독제를 1 : 2, 1 : 4, 1 : 9, 1 : 19 비율로 처리하여 소독제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독제의 농도에 따른 저감효과는 차아염소산나트륨 150 ppm, 이산화염소 50 ppm으로 30분간 처리시 일반세균수는 2.0 log CFU/g 정도 감소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식중독세균은 차아염소산나트륨 100 ppm, 이산화염소 3 ppm에서 약 2.0 log CFU/g 정도 감소효과를 보였다. 한편, 이산화염소의 경우 50 ppm으로 30분간 영양부추를 처리할 경우 탈색 등 상품성이 저하되어 현장 적용이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영양부추와 소독제 처리 비율에 따른 미생물 저감효과는 일반세균의 경우 1:4에 비하여 1:9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저감 효과를 보였다(p < 0.05). 확립된 기술을 영양부추 생산농장에 적용한 결과 일반세균수의 경우 2.7 log CFU/g, 대장균군의 경우 4.0 log CFU/g의 감소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영양부추를 세척이후 차아염소산나트륨 150 ppm에서 1:9 정도의 비율로 30분간 침지하면 미생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최종 소비자에게 보다 안전한 부추의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주 김치의 적숙기 주요 미생물 조성과 맛의 상관성 (Major Microbial Composition and Its Correlation to the Taste of Jeonju Kimchi)

  • 진효상;권영란;윤영주;이경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617-1621
    • /
    • 2007
  • 전주지역에서 김장시기에 수거한 김치의 미생물 조성과 관능성적간의 상관성을 조사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김치는 21 표본 중 11 표본에서 L. mesenteroides가 $8.31{\sim}11.27log\;CFU/g$의 범위에서 지배균으로, 16 표본에서 L. sakei가 $7.97{\sim}10.57log\;CFU/g$의 범위에서 차지배균으로 나타났다. 김치의 관능성적은 총균수, 지배균수, 차지배균수, 균종수 등 계량적 특성에는 유의적 상관성이 없었다. 가장 맛이 좋은 김치 3종은 모두 지배균이 L. mesenteroides, 차지배균은 L. sakei인데 비해 가장 맛이 없는 김치 3종은 지배균에 L. sakei가 많아 김치의 맛은 주요 미생물의 균종의 조합과 관련이 있었다. 효모는 8표본에서 $3.80{\sim}4.6log\;CFU/g$의 범위로 검출되었으며 모두 Saccharomyces servazzii로 동정되었다. 곰팡이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효모 균수와 김치의 관능성적은 유의적 상관성이 없었다.

저장온도와 저장시간에 따른 햄버거와 샌드위치의 품질 변화 (Changes in Quality of Hamburger and Sandwich during Storage under Simulated Temperature and Time)

  • 최선강;이명섭;이경호;임대석;이광형;최경희;김창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7-34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of the microbial and sensory quality of ready-made hamburger and sandwich. Initial total plate count of hamburger for establishment A and B were 1.2$\times$102 cfu / g and 3.4$\times$102 cfu / g, respectively, and for establishment C was 7.9$\times$104 cfu / g. After 48 hour storage at 1$0^{\circ}C$, total plate count of hamburger for establishment A and B increased to 1.2$\times$104 cfu / g and 6.8$\times$103, respectively, and for establishment C increased to 1.2$\times$107 cfu / g. Initial total plate count of sandwich for establishment A and B were 3.2$\times$102 cfu / g 7.9$\times$102 cfu / g, respectively, and for establishment C was 1.1$\times$105 cfu / g. After 48 hour storage at 1$0^{\circ}C$, total plate count of hamburger for establishment A and B increased to 8.1$\times$103 cfu / g and 2.3$\times$104, respectively, and for establishment C increased to 4.4$\times$108 cfu / g. No E. coli, Salmonella, Vibrio,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detected under simulated storage condit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s in pH, acid value, and volatile nitrogen number under simulated conditions. In sensory evaluation of hamburger and sandwich, sensory score was lowered by increase of total plate count.

  • PDF

갯벌 미생물 활성 및 다양성에 미치는 Methyl tert-Butyl Ether(MTBE)와 MTBE 대사산물의 영향 (Effect of Methyl tert-Butyl Ether and Its Metabolites on Microbial Activity and Diversity in Tidal Mud Flat)

  • 조원실;조경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36-342
    • /
    • 2008
  • 갯벌 토양 내 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methyl tert-butyl ether(MTBE)와 그의 대사산물인 tert-butyl alcohol(TBA) and formaldehyde(FA)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서로 다른 농도의 MTBE, TBA 및 FA를 갯벌 토양 microcosm에 첨가한 후 30일 간 실온에 방치했다. Microcosm 시료의 pH, 수분함량, 유기물 함량 등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총 세균수와 탈수소 효소 활성변화를 측정하였고, 미생물 군집 구조는 16S rRNA-PCR-DGGE(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fingerprinting 기법을 이용해 모니터링 했다. 그 결과, MTBE, TBA 및 FA 첨가 농도와 물리 화학적 요인들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탈수소효소 활성과 총 세균수는 MTBE, TBA 및 FA 농도가 증가 될수록 감소하였다(P<0.05). 각각의 독성 물질들이 미생물 활성에 저해 영향을 주었으며 이들의 저해 정도는 FA > MTBE > TBA 순이었다. MTBE, TBA 및 FA 노출 후 군집의 우점종을 살펴 본 결과 Sphingobacteria, Flavobacteria, delt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로 크게 네 그룹으로 이뤄졌다. 미생물 군집의 다양성 지수는 MTBE및 대사산물의 주입농도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Effects of various weaning times on growth performance, rumen fermentation and microbial population of yellow cattle calves

  • Mao, Huiling;Xia, Yuefeng;Tu, Yan;Wang, Chong;Diao, Qiy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11호
    • /
    • pp.1557-1562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eaning times on the growth performance, rumen fermentation and microbial communities of yellow cattle calves. Methods: Eighteen calves were assigned to a conventional management group that was normally weaned (NW, n = 3) or to early weaned (EW) group where calves were weaned when the feed intake of solid feed (starter) reached 500 g ($EW_{500}$, n = 5), 750 g ($EW_{750}$, n = 5), or 1,000 g ($EW_{1,000}$, n = 5). Results: Compared with NW, the EW treatments increased average daily gain (p<0.05). The calves in $EW_{750}$ had a higher (p<0.05) starter intake than those in $EW_{1,000}$ from wk 9 to the end of the trial. The concentrations of total volatile fatty acids in $EW_{750}$ were greater than in NW and $EW_{1,000}$ (p<0.05). The EW treatments decreased the percentage of acetate (p<0.05). The endogenous enzyme activities of the rumen were increased by EW (p<0.05). EW had no effect on the number of total bacteria (p>0.05), but changes in bacterial composition were found. Conclusion: From the present study, it is inferred that EW is beneficial for rumen fermentation, and weaning when the feed intake of the starter reached 750 g showed much better results.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Pediococcus acidilactici ZPA017 on reproductive performance, fecal microbial flora and serum indices in sows during late gestation and lactation

  • Liu, Hui;Wang, Sixin;Zhang, Dongyan;Wang, Jing;Zhang, Wei;Wang, Yamin;Ji, Haife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1호
    • /
    • pp.120-126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Pediococcus acidilactici (P. acidilactici) ZPA017 as a probiotic on reproductive performance, fecal microbial flora and serum indices in sows during late gestation and lactation. Methods: A total of 94 sows (Large White×Yorkshire, average 4.50 parities) were randomly allotted to two dietary treatments: control diet and the diet supplemented with P. acidilactici ZPA017 (2.40×109 colony-forming unit/kg of diets). The study started at d 90 of gestation and conducted until d 28 of lactation. Results: Compared to sows fed the control diet, supplementation of P. acidilactici ZPA017 increased the number of weaning piglets, weaning weight of litter and piglets, survival rate of piglets at weaning (p<0.05), and decreased diarrhea rate of piglets in lactation (p<0.05). Dietary P. acidilactici ZPA017 increased fecal Lactobacillus populations (p = 0.030) and reduced fecal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populations (p<0.05) of sows at weaning. Moreover, the supplementation of P. acidilactici ZPA017 increased serum concentrations of immunoglobulin G, immunoglobulin A and total protein (p<0.05), while decreased serum haptoglobin concentration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ctivity (p<0.05) of sows at weaning. Conclusion: Administration of P. acidilactici ZPA017 in diets during late gestation and lact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intestinal microflora balance and immunity of so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