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heterotrophic bacteria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4초

활성슬러지공정 하수종말처리장의 단위공정별 세균 제거효율 (Bacterial Removal Efficiencies by Unit Processes in a Sewage Treatment Plant using Activated Sludge Process)

  • 이동근;정미라;성기문;박성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871-879
    • /
    • 2010
  • To figure out the removal efficiency of indicator and pathogenic bacteria by unit processes of a sewage treatment plant using activated sludge process, analyses were done for incoming sewage, influent and effluent of primary clarifier, aeration tank, secondary clarifier and final discharge conduit of the plant. A matrix of bacterial items (average of bacterial reduction [log/ml], p value of paired t-test, number of decreased cases of twenty analyses, removal percentage only for decreased cases) between incoming sewage and final effluent of the plant were heterotrophic plate counts (1.54, 0.000, 20, 95.01), total coliforms (1.38, 0.000, 19, 83.94), fecal coliforms (0.90, 0.000, 20, 94.84), fecal streptococci (0.90, 0.000, 20, 98.08), presumptive Salmonella (0.23, 0.561, 7, 99.09), and presumptive Shigella (1.02, 0.002, 15, 92.98). Total coliforms, fecal coliforms, heterotrophic plate counts, and fecal streptococci showed highest decrease through secondary clarifier about 1-log (p<0.001) between 88% and 96%, and primary clarifier represented the significant (p<0.05) decrease. However, final effluent through discharge conduit showed higher total coliforms and fecal streptococci than effluent of secondary clarifier (p<0.05). In addition, final effluent once violated the water quality standard while effluent of secondary clarifier satisfied the standard. Hence some control measures including elimination of deposits in discharge conduit or disinfection of final effluent are necessary.

포항근해 원유분해세균의 분포 및 원유분해능 (Distribution and Biodegradation of Crude oil-Degrading Bacteria in P'ohang Coastal Area)

  • 이창호;권기석;서현호;김희식;오희목;윤병대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35-42
    • /
    • 1996
  • 포항근해의 정점을 대상으로 1995년 4월부터 1996년 1월까지 3개월 간격으로 종속영양세균과 원유분해세균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또한, 분리된 원유분해세균의 단일 및 혼합배양을 통하여 원유분해능도 조사하였다. 종속영양세균의 분포는 4.1 $\times$ $10^4$ - 1.2 $\times$ $10^5$ CFU/$m\ell$ 이었으며 종속영양세균에 대한 원유분해세균의 분포비는 0.05 -0.54%로서 지금까지 보필된 타지역보다 낮은 수치였다. 이 결과에서 포항근해의 원유분해세균의 분포는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석유계 탄화수소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것으로 사료된다. 원유분해능이 우수한 26 균주를 분리.동정한 결과 Acinetobacter spp., Bacillus spp., Citrobacter spp., Micrococcus spp., Moraxella spp., Rhodococcus spp., 그리고 Berratia spp. 등의 7개 속이 나타났고, 장내세균의 출현은 해수내 오수의 유입을 반영하고 있었다. 또한 Bacillus 속 균주가 포항근해의 원유분해세균의 우점종으로 밝혀졌다. 원유분해세균을 이용한 플라스크 배양에서 원유분해는 혼합배양에 의해 증가하였다.

  • PDF

불가사리(Asterias amurensis) 장내에서 분리된 종속영양세균의 탄소원 이용 특성 (Characteristics of Carbon Source Utilization by Heterotrophic Bacteria Isolated from Internal Organs of Starfish (Asterias amurensis))

  • 이건형;송경자;이오형;최문술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57-61
    • /
    • 2002
  • 전라남도 장흥군 인근 해안에서 채집한 불가사리(Asterias amurensis)를 대상으로 불가사리의 장내에 분포하는 종속영양세균의 균체수를 측정하였고, 분리동정된 균주들을 대상으로 탄소원 이용 특성을 조사하였다. 불가사리의 장내에 분포하는 종속영양세균의 균체수는8.65$\pm$0.65 $\times$$10^3$ cfu . g$^{-1}$이 였으며, 분리 동정된 24균주(그람음성균 11균주, 그람양성균이 13균주)중에서 Vibrio속,Staphylococcus속, Corynebacterium속이 높게 나타났다. 불가사리 장내에서 분리 동정된 세균들은 그람양성의 간균이 높은 비율을차지하였고, catalase와 oxidase의 활성은 각각 54.2%,20.8%로 나타났다. 그람음성균의 경우, 탄소원으로 glucose의 이용률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sucrose, mannose, maltose,그리고 trehalose의 순으로 높은 이용률을 나타냈으며, adipate, phenol acetate는 이용하지 못하였다. 그람양성균의 경우, glucose가 가장 높은 이용률을 나타냈고, 그 다음은 fructose, trehalose, maltose 순으로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낙동강 하구 생태계의 종속영양세균의 군집구조 분석 및 수리학적 분류 (Characterization and Numerical Taxonomy of Heterotrophic Bacterial Community in Naktong Estuarine Ecosystem)

  • 귄오섭;조경제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44-449
    • /
    • 1992
  • 낙동강 하구생태계에 분포한 종속영양세균의 환경 변화에 따른 군집구조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총 858 균주를 분리하여 수리학적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종의 다양성(H') 은 1.54-3.49 로, 하구언 건설 전의 수치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균등성지수(evenness index)(J') 는 0.31-0.80 으로 감소하였다. Physiological tolerance index 중 수온에 대한 지수(P') 는 수심이 얕은 정점에서, pH 와 염분에 대한 $P_{h}$$P_{s}$ 는 담수와 해수가 교차하는 정점에서 높았다. 우점의 cluster 를 속 (genus) 수준에서 동정한 결과 Aeromonas, Vibrio, Pseudomonas, Acinetobacter-Morexella, Alcaligenes, Flavobacterium, Micrococcaceae, Enterobacteriaceae 등으로 분류되어 하구언 축조 전과 동일한 종류의 세균뷴포를 나타냈으나 그 출현비율은 달랐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하구언 축조 등에 따른 낙동강 하구역의 환경변화는 분포세균의 종류보다는 생리적 특셩에 영양을 미쳐 특정종의 우점을 나타나게 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낙동강 하류 갈전지역에서의 강변여과수 수질평가 (Evaluation of Bank Filtrate Water Quality in Galjon, the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 이수영;정태학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87-494
    • /
    • 2003
  • In this research, water qualities of river water and bank-filtrate were compared for six months including winter season. The location studied was Galjon area, the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The well for bank-filtrate was installed 40 m apart from riverside. Main analytic results of bank-filtrate and river water were summarized as followings; the average concentrations in bank-filtrate were turbidity 0.8NTU, TN 0.4mg/l, $BOD_5$, 0.1mg/l, $KMnO_4$ consumption 1.6mg/l, heterotrophic bacteria 350cfu/ml, Fe 0.5mg/l, Mn 0.99mg/l while the average concentrations in river water were turbidity 6.1NTU, TN 3.9mg/l, $BOD_5$, 3.6mg/l, $KMnO_4$ consumption 11mg/l, heterotrophic bacteria 1,640cfu/ml, Fe 0.28mg/l, Mn 0.04mg/l. Water quality of bank-filtrate was mostly shown a good results than it of river water excepting Fe and Mn. In even basic constituents such as water temperature and pH, bank-filtrate was very settled while river water was extraordinary changable and high. In case of nitrogen, especially, total nitrogen of river water was 3.9mg/l while it of bank-filtrate was 0.4mg/l and its reduction was very high. The reason is that $NH^+_4-N$ among total nitrogen in the river water is nitrified and then denitrified in soil layer when it is pumped up as bank-filtrate. But Fe and Mn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soil was very high in bank-filtrate while Mn in river water was particularly very low and settled. As the distance between riverside and well was longer, concentration of Fe and Mn may be went up while its bacteria may be reduced.

오존 처리한 넙치 양식장 사육수의 수질과 미생물 변동 (Changes in Water Quality and Bacterial Compositions in Culture Water of an Ozonated Flounder Farm)

  • 박성덕;김유희;박정환;김병기
    • 환경생물
    • /
    • 제36권1호
    • /
    • pp.90-97
    • /
    • 2018
  • 본 연구는 넙치 양식장 시설 내로 유입되는 병원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오존 처리 기준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유수식 환경에서 오존 주입량을 $0.3{\sim}3.0mg\;O_3L^{-1}$의 범위로 주입하면서 3분의 반응시간을 가진 후 ORP 320~410 mV에서 TRO가 $0.01{\pm}0.01mg\;L^{-1}$가 검출되었으며, 600 mV와 700 mV에서 $0.07{\pm}0.02mg\;L^{-1}$$0.16{\pm}0.03mg\;L^{-1}$가 검출되었다. 오존 처리에 따라 총세균수는 80.6~97.9%의 제거율을 나타내어 오존 처리를 통한 미생물 제거효과는 분명하게 나타났다. 230 g 넙치를 $8.0kg\;m^{-2}$ 밀도로 사육한 300~400 mV 실험구에서는 총세균수는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특히 400~500 mV에서 Vibrio spp.와 그램음성균은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일간사료섭취율은 300~500 mV에서 0.7% 이상을 나타내어 대조구인 자연해수보다 감소하지 않아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넙치 양식장으로 유입되는 병원 미생물은 유입수의 ORP 400 mV 수준에서 효율적으로 제거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군산지역 초등학교 정수기 물의 미생물학적 수질 (Microbiological Water Quality of Water Purifiers at Elementary Schools in Gunsan Area)

  • 서란주;박석환;이건형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74-81
    • /
    • 2009
  • 2007년 7월부터 12월까지 총 5회 전라북도 군산에 위치한 초등학교의 정수기 물을 대상으로 미생물학적 수질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정수기 물의 종속영양세균의 분포는 $0{\sim}1.2{\pm}0.2{\times}10^4CFU/ml$의 범주에서 나타났는데, 이 중 최대값은 우리나라 먹는 물 수질기준을 120배 초과하는 값을 나타냈다. 월별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정수기 물의 백분율은 7월과 9월에 90%, 10월과 11월에 87.2%, 12월에 93.7%로 조사되었다. 한편 총대장균군과 병원성 세균인 Salmonella와 Shigella는 정수기 물과 수돗물에서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총 5회의 실험 중 정수기 물에서 분리한 세균을 분자생물학적인 방법으로 동정한 결과, Sphingomonas, Methylobacterium, Caulobacter, Novosphingobium, Bosea, Brevundimonas, Aminobacter, Ralstonia, Mitsuaria, Variovorax, Acidovorax, Massilia, Pseudomonas, Acinetobacter, Aeromonas, Bacillus, Staphylococcus, Brevibacillus, Microbacterium, Lapillicoccus, Micrococcus, Arthrobacter, Janibacter, Flavobacterium, Chryseobacterium, Hymenobacter 등 26개 속이 동정되었다. 검출된 세균의 대부분은 일반 환경에서 다량 존재하는 세균들로서 병원성이 없으나, Pseudomonas fluorescens, Staphylococcus epidermidis, Flavobacterium johnsoniae, Acinetobacter johnsonii 등은 기회감염균으로 면역력이 낮은 초등학교 학생들의 경우 감염의 가능성이 있다.

강진만 생태계에서의 이화학적 특성과 미생물군집의 계절적 분포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asonal Distribution of Microbial Population in the Gangjin Bay Ecosystem)

  • 김기성;이우범;주현수;이제철;조재위;전순배;이성우;바공천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85-291
    • /
    • 2000
  • 강진만 수역에서 이화학적 요인과 미생물군집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영양염류, 수온, 투명도, 염분도, DO, COD 및 종속영양세균, 균류 그리고 분변성 대장균을 계절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사기간 동안 분변성 대장균군과 종속영양세균의 개체수 변화는 각각 16.1~166.0 CFU/ml 과 $5.0{\times}10^3$~$13.1{\times}10^3$CFU/ml의 범위를 보였다. 또한 이들 세균군집의 정점별 평균값은 다른 정점보다 담수유입 수역인 1번 정점에서 매우 높은 밀도를 보였다. 이화학적 조사와 미생물학적 조사 결과를 고찰했을 때 강진만 생태계는 계절에 따라 2~4개 요인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으로 보이며, 주로 담수유입, 영양염류, 염분도 그리고 수온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들 결과로 볼 때 강진만의 생태계에서 환경 요인의 영향은 다른 만 (광양만, 진해만, 마산만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난동감 하구 간석지에 존재하는 세균의 분포 및 생리적 활성도 (Distribution and Activity of Hheterotrophic Bacteria in the Mudflat of Nakdong River Estuary)

  • 김상종;홍순우;이윤;최성찬
    • 미생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15-222
    • /
    • 1985
  • Distribution pattern and activity of heterotrophec bacteria were measured in the mudflat of Nakdong river estuary. In March and June, 1985, community sizes of amylolytic, lipolytic and proteolytic bacteria as well as total viable counts were measured. Vertical distribution of bacterial community size increased a few orders of magnitude from Narch to June. Heterotrophic activity was estimated in turnover time with $U-[^{14}C]-glucose$. Turnover time reduced considerably in June compared to that of March. To sxamine correlations for measured bacterial groups, turnover time and environmental factors, correlation coefficient matrix was obtained. These measured characteristics did not consistently correlate well with one another.

  • PDF

Profiling Total Viable Bacteria in a Hemodialysis Water Treatment System

  • Chen, Lihua;Zhu, Xuan;Zhang, Menglu;Wang, Yuxin;Lv, Tianyu;Zhang, Shenghua;Yu, X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5호
    • /
    • pp.995-1004
    • /
    • 2017
  • Culture-dependent methods, such as heterotrophic plate counting (HPC), are usually applied to evaluate the bacteriological quality of hemodialysis water. However, these methods cannot detect the uncultured or viable but non-culturable (VBNC) bacteria, both of which may be quantitatively predominant throughout the hemodialysis water treatment system. Therefore, propidium monoazide (PMA)-qPCR associated with HPC was used together to profile the distribution of the total viable bacteria in such a system. Moreover, high-throughput sequencing of 16S rRNA gene amplicons was utilized to analyze the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and diversity. The HPC results indicated that the total bacterial counts conformed to the standards, yet the bacteria amounts were abruptly enhanced after carbon filter treatment. Nevertheless, the bacterial counts detected by PMA-qPCR, with the highest levels of $2.14{\times}10^7copies/100ml$ in softener water, were much higher than the corresponding HPC results, which demonstrated the occurrence of numerous uncultured or VBNC bacteria among the entire system before reverse osmosis (RO). In addition, the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was very different and the diversity was enhanced after the carbon filter. Although the diversity was minimized after RO treatment, pathogens such as Escherichia could still be detected in the RO effluent. In general, both the amounts of bacteria and the complexity of microbial community in the hemodialysis water treatment system revealed by molecular approaches were much higher than by traditional method. These results suggested the higher health risk potential for hemodialysis patients from the up-to-standard water. The treatment process could also be optimi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