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alkaloid fractio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Anticancer Properties of Total Alkaloid fraction of Solanum pseudocapsicum unripe fruits

  • Badami, Shrishailappa;Dhonde, Satish G.;Reddy SA, Manohar;P., Vijayan;B, Suresh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4권1호
    • /
    • pp.49-52
    • /
    • 2004
  • The total alkaloid fraction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Solanum pseudocapsicum unripe fruits was tested for its in-vivo anticancer activity against Dalton's Lymphoma Ascites model in mice. The total alkaloid fraction at 5.0 and 10.0 mg/kg body weight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ean survival time and the percentage increase in the life span of tumor bearing mice. The increase in the body weight was found to be less than that of the control. However, the treatment at 20 mg/ kg body weight was found to be toxic and showed a decrease in the mean survival time, and body weight when compared to control mice. The antitumor activity observed may be due to the cytotoxic activity of the total alkaloid fraction.

Thalictrum uchiyamai Nakai의 항균작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alictrum uchiyamai Nakai)

  • 이인란;이지영
    • 약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99-204
    • /
    • 1981
  • The methanol extract of Thalictrum uchiyamai Nakai was fractionatedi nto four parts; (1) ether soluble nonphenolic fraction (2) phenolic tertiary bases fraction, (3) chloroform soluble tertiary bases fraction and (4) aqueous quaternary bases fraction. The fractions of this plant showed a total of twenty-four spots on the silica gel TLC. Ether soluble nonphenolic fraction and ether soluble phenolic fraction showed nine alkaloid spots respectively, chloroform soluble fraction showed three alkaloid spots and quaternary bases fraction showed three alkaloid spots.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four extracts was shown as follows; nonphenolic tertiary bases inhibited the growth of Micrococcus dutica at the concentration of $50\mu$g/ml, in phenolic tertiary bases $500\mu$g/ml concentration was inhibitory to Micrococcus dutica and to Staphyloccus aureus. In aqueous quaternary bases, $500\mu$g/ml concentration was inhibitory to Klebsiella pneumonae. Chloroform soluble tertiary fraction showed slight activity. All of bases showed reproducible activity against tested microorganisms.

  • PDF

용규에서 추출된 수용성 알칼로이드성분의 항히스타민 효과 (The anti-histamine effect of water soluble alkaloids extracted from solanum nigrum L.)

  • 신장철;박정근;김철구;천현자;김일광
    • 분석과학
    • /
    • 제29권4호
    • /
    • pp.186-193
    • /
    • 2016
  • 본 연구는 용규전초로부터 열수추출방법(SNL-W)으로 1차 추출하고 부틸알코올을 이용하여 분별추출을 통해 유기용매분획(SNL-W/B)과 수상분획(SNL-W/W)을 각각 획득하였다. 각 분획의 총 알칼로이드함량과 사포닌함량을 측정하였고 수상분획의 메탄올 용출물은 알칼로이드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꿀벌봉독을 쥐의 복막 비만세포에 처리하여 알러지 유발물질인 히스타민을 분비시키고, 용규의 알칼로이드성분으로 히스타민 분비에 대한 저해효과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용규의 수용성 알칼로이드성분(SNL-W/W/M)은 꿀벌봉독으로 유발된 비만세포의 히스타민 분비에 대하여 강한 저해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덕의 알칼로이드 성분에 관한 연구 (Chemical Studies on the Alkaloidal Constituents of Codonopsis lanceolata)

  • 장영경;김상열;한병훈
    • 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
    • /
    • 1986
  • The alkaloid components in the root of Codonopsis lanceolata were studied. From the ether soluble alkaloid fraction, four $\beta$-carboline alkaloids were isolated in crystalline state by chromatographic purification process; comp. I mp $178^{\circ}$, isolated yield 4.5$\times$$10^{-5}%$, comp. II mp $166^{\circ}$, 6.0$\times$$10^{-5}%$, comp. III mp $164^{\circ}$, 1.8$\times$$10^{-4}%$ and comp. IV mp $197^{\circ}$, 3.5$\times$$10^{-5}%$. They were identified by spectral analysis and by total synthesis as being a new component $N_9$-formylharman, and already known components in other plant 1-carbomethoxy-$\beta$-carboline, perlolyrine and norharman.

  • PDF

여뀌.마디풀로부터 상호대립억제작용물질(相互對立抑制作用物質)의 분리(分離).동정(同定) (Identification of Allelopathic Substances from Polygonum hydropiper and Polygonum aviculare)

  • 우선욱;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44-155
    • /
    • 1987
  • 여뀌 및 마디풀로부터 얻어진 수용(水溶) 및 알코올 추출액(抽出液)으로 종자(種子)의 생리활성검정(生理活性檢定)과 페놀물질(物質)의 분리(分離) 동정(同定) 및 생리활성검정(生理活性檢定), 지방산(脂肪酸) 및 유기산(有機酸), 총(總) alkaloid, Pet. ether 추출물(抽出物) 검정(檢定), 그리고 표준(標準)페놀 물질(物質)이 상치 종자(種子)의 발아(發芽) 및 생장(生長)에 마치는 영향(影響) 조사(調査)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여뀌 및 마디풀의 수용(水溶) 및 알코올 추출액(抽出液)은 상치외(外) 5종(種)의 식물종자발아(植物種子發芽)를 억제(抑制)시켜 생리활성(生理活性)이 인정(認定)되었다. 2. 페놀물질(物質)을 fraction 별(別)로 동정(同定)했을때 여뀌의 free fraction에서 10종(種)이 동정(同定)되었고, tannic + gallic이 21.5%. sinapic 산(酸)이 20.9%로 가장 많았으며, soluble fraction에서는 9종(種)이 동정(同定)되었고, tannic + gallic 산(酸)이 45.5%로 높았고, insoluble-bound fraction에서는 9종(種)이 동정(同定)되었고, p-coumaric 산(酸)이 가장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마디풀의 free fraction에서 16종(種)이 동정(同定)되었고, salicylic + vanillic이 14.6%. tannic + gallic이 14.6%, sinapic 산(酸)이 12.4%로 많았으며, soluble fraction에서 7종(種)이 동정(同定)되었고, 그 중(中) salicylic + vanillic 산(酸)이 45.8%로 가장 많았으며, insoluble-bound fraction에서는 15종(種)이 동정(同定)되었고, p-coumaric산(酸)이 41.1%로써 가장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Non-fraction에서는 여뀌에서 12종(種)이 동정(同定)되었고, sinapic 산(酸)이 18.4%로 가장 많았고, 마디풀에서는 9종(種)이 동정(同定)되었고, ferulic산(酸)이 47.9%로 가장 많았다. Fraction 별(別) 페놀물질(物質)의 농도(濃度)가 100에서 1.000 ppm으로 증가(增加)할수록 상치의 발아(發芽)가 크게 억제(抑制)되었고 두 식물(植物) 공(共)히 insoluble-bound fraction에서 억제율(抑制率)이 높았다. 3. 여뀌의 추출물(抽出物)에서는 지방산(脂肪酸)이 5종(種), 유기산(有機酸) 3종(種)이 동정(同定)되었는데, 지방산(脂肪酸) 가운데는 linolenic 산(酸)이 2.38mg/g으로 가장 많고, 유기산(有機酸)은 oxalic 산(酸)이 20.588mg/g으로 가장 많았다. 마디풀의 추출물(抽出物)에는 지방산(脂肪酸)이 6종(種), 유기산(有機酸)이 3종(種)이 동정(同定)되었고, 지방산(脂肪酸)은 linolenic 산(酸)이 3.70mg/g과 유기산(有機酸)은 oxalic 산(酸)이 14.288mg/g으로 많아서 두 식물종간함량(植物種間含量)에는 다소(多小) 차이(差異)가 있었다. 총(總) alkaloid 함량(含量)은 여뀌에서 0.20%, 마디풀에서 0.22%로 유사(類似)하였다. Pet. ether 추출물(抽出物)은 여뀌에서 2.42%. 마디풀에서 1.65%로 차이(差異)가 있었다. 4. 표준(標準) 페놀물질(物質)인 ferulic, protocatechuic 산(酸) $10^{-3}$ M에서 상치의 발아(發芽)가 전혀 되지 않았고, salicylic과 gallic 산(酸)은 전농도(全濃度)($10^{-6}{\sim}10^{-3}M$)에서 상치종자(種子)의 발아(發芽) 및 생장(生長)을 억제(抑制)시켰고, 이들 물질(物質)은 마디풀과 여뀌내(內)에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는 물질(物質)이었다.

  • PDF

재래종연초의 화학특성에 미치는 질소시비량 및 재식밀도의 영향 (Effects of Nitrogen Level and Planting Density on Chemical Properties in Korean Native Tabacco Varieties)

  • 정형진;김길웅;박수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88-295
    • /
    • 1989
  • 우리나라 재래종중 내용성분 면에서 바람직한 향끽미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향초를 대상으로 질소시비량 및 재식밀도가 향끽미 물질에 미친 영향을 구명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질소화합물의 함량은 재식밀도가 높아지면 감소하였으나 지방산 함량은 증가하였다. 혈당 3주 재배시 2, 3-methylbutanoic 산과 3-methylpentanoic 산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solanone, furfural, furfurylalcohol, benzyl alcohol 등과 같은 중성부의 성분들은 대부분 밀식구에서 함량이 증가되었다. 질소의 증비(3∼12kg/10a)에 따라 수량은 증가하였고, 전당, 전분, 지방산 등의 함량은 감소하고, 알카로이드 함량은 2.0%에서 3.3%로 증가하였다. 2, 3-methylbutanoic 산과 3-methylpentanoic 산 함량은 질소의 증비로 감소하였으며 butanol, furfutal, furfuryl alcohol, hexanol, cinnamil, acetophenone, benzyl acetate 및 solanone 등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