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Factors Productivity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24초

A Study from a Highly Populated Country :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Lower Back Pain in Middle-Aged Adults

  • Feda Anisah Makkiyah;Tasya Anggraini Sinaga; Namira Khairunnisa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6권2호
    • /
    • pp.190-198
    • /
    • 2023
  • Objective : Low back pain (LBP) is a global health problem that affects the productivity of the patients. Several factors such as individual, occupational, and psychosocial factors increase the risk of LBP. However, only a few studies investigated those factors, especially in middle adulthood in Indonesia. Indonesia is a country with a young population that has been rapidly developing in recent yea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factors associated with LBP in middle adulthood. Methods :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observational analytic study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ith a total sample of 3005 respondent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which was then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Kolmogorov-smirnov, Spearman's Rank, and logistic regression test. Results :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12-month prevalence of LBP in middle-aged adults was 44,29%. Female (odds ratio [OR], 1.3; 95% confidence interval [Cl], 1.098-1.545; p=0.002), lack of physical exercises (OR, 0.87; 95% Cl, 0.794-0.959; p=0.005), high body mass index (OR, 1.09; 95% Cl, 1.009-1.187; p=0.002), stress level (OR, 1.26; 95% Cl, 1.088-1.458; p=0.002), and years of work experience (OR, 1.1; 95% Cl, 1.001-1.225; p=0.047) were determined as risk factors tha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BP. Conclusion : LBP is quite common among middle-aged adults in Indonesia. Female gender, higher body mass index, lack of physical activity, stress level, and years of work experience were all potential risk factors for LBP in middle-aged adults. Middle-aged adults in Indonesia should be aware of LBP and avoid disabilities by identifying risk factors that may worsen LBP in the future.

Comparison of Forage Quality, Productivity and β-carotene Content according to Maturity of Forage Rye (Secale cereale L.)

  • Zhao, Guo Qiang;Wei, Sheng Nan;Li, Yan Fen;Jeong, Eun Chan;Kim, Hak Jin;Kim, Jong Geu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23-130
    • /
    • 2020
  • These experiments were to investigate the variations of rye on forage quality, productivity and β-carotene concentration affected by maturity in Pyeongchang region. Limited information are available about how forage quality and β-carotene content are affected by various factors. Samples were collected from rye harvested every 5 days, from April 25 to May 31 (April 25, April 30, May 4, May 9, May 15, May 21, May 25 and May 31). Dry matter (DM) content, plant height, DM yield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yield increased continuously with the progressed maturity. However, crude protein (CP) content,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and relative feed value (RFV) decreased markedly with the delay of harvesting, while TDN content decreased from April 25 till May 15, then followed by a stable fluctuation. Conversely,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value increased and then fluctuated slightly after blooming stage. For quality of plant parts, stem contained the lowest CP content and RFV value, and the highest ADF and NDF contents compared with other parts, while the grain showed the higher CP, IVDMD, RFV and lower fiber contents than others. With the plant matured, leaf proportion decreased while stem and grain proportion increased, and feed value of all the three parts decreased till blooming stage and followed by a stable phase. β-carotene concentration showed its highest on jointing stage, and then fell down sharply on the sequential stages. In conclusion, harvest around May 15 (blooming) is proper for forage rye if directly consumed by livestock as green chop in Pyeongchang under the consideration of both nutritive yield and forage quality.

GDP갭 분해기법을 이용한 변동요인 분석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Variation of GDP Gap by a Decomposition Method)

  • 장영재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3호
    • /
    • pp.387-396
    • /
    • 2014
  • GDP갭(gap)이란 잠재GDP와 실제GDP의 격차로서 산출갭(Output gap)이라고도 한다. 잠재GDP는 노동, 자본 등 생산요소를 완전히 활용하여 달성할 수 있는 최대GDP라고 정의할 수 있다. GDP갭은 수요-공급간 불균형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물가 및 고용안정을 추구하는 중앙은행들은 정책수행과정에서 GDP갭을 중요한 정보변수로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GDP갭을 그간 선행연구에서 사용하였던 필터링 방법에 의해 분해함으로써 GDP갭 변동을 야기하는 주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Fox 등 (2003)와 Fox와 Zurlinden (2006)에서 사용되었던 Super Smoother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명목GDP갭을 분해해 본 결과 이론적인 설명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목GDP갭률 변동의 상당부분은 잔차인 총요소생산성으로 설명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최근들어 급격한 기술변화 및 환경변화 등 생산성 변화가 GDP변동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른 나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국내물가의 영향력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의 특성상 교역조건의 변동 역시 상대적으로 명목GDP 움직임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Mobility and productivity: brain circulation and sustainability of the Korean academic system

  • Ki-Seok Kwon;Jeongmin Park;Somin Kim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2권1호
    • /
    • pp.27-53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cademic system with regard to brain circulation, with a specific emphasis on the influence of overseas-trained academics on research activities within the Korean academic system. We have analyzed the statistical data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s of 48,499 Korean academics in science and engineering. We have examined the results at both the system and individual levels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the macro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cademic system. Our analysis reveals that the total number of domestically-trained academics exceeds the number of overseas-trained academics. However, in terms of research funding, overseas-trained academics tend to receive more funding than domestically-trained academics. Furthermore, after controlling other factors such as funding, personal attributes, and environmental factors, our analysis demonstrates that overseas training has a significant and favorable impact on the publication of internationally renowned journals. As such, the presence of overseas returnees has been essential for the effective functioning of the Korean academic system in the global research network and for conducting high-quality academic research. Therefore, the advantages of dependence on scientific core countries such as the US for overseas training have persisted. Nevertheless, upon scrutinizing the group of recently appointed 5,806 academics exclusively, we have discovered that junior academics who received their education domestically exhibit sufficient academic proficiency compared to their colleagues educated overseas. This observation highlights the potential for the Korean academic system to evolve into a self-sustaining system.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동물플랑크톤 크기그룹별 생체량의 분포 특성 및 변화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 of Size-fractionated Zooplankton Biomas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 최근형;이창래;강형구;강경아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3권2호
    • /
    • pp.135-147
    • /
    • 2011
  • Zooplankton is an important constituent in assessing ecosystem responses to global warming. The northern East China Sea is an important ecosystem for carbon cycling with a net sink of carbon dioxide. Despite their importance as a major component in carbon cycling,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zooplankton biomass structure and its regulating factor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This study examined zooplankton biomass distribution pattern in the region from multiple cruises encompassing various seasons between 2004 and 2009. Results showed that zooplankton biomass exhibits less cross-shelf gradient in general with declining biomass to the eastern shelf towards the Tsushima Current Water. Size-fractionated biomass showed that the 1.0~2.0 mm size group, mostly copepods, dominated zooplankton biomass, comprising 38 to 48% of total biomass. Smaller zooplankton (0.2~1.0 mm) biomass, consisting mainly of Paracalanus spp, a particle eating herbivorous copepod, was positively related to chlorophyll-a concentration, but no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for larger zooplankton (1.0~5.0 mm). Spatially-averaged mean total zooplankton biomass was also highly related to chlorophyll-a concentration. These result suggest that the long-term trend of zooplankton biomass increase in this region is partly accounted for by the increases of phytoplankton biomass and productivity underway in the region. However,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how sea surface warming in the study area leads to increased phytoplankton biomass and productivity remains unclear.

보육시설 급식소의 공동조리 요구도 조사 (Need Assessment for Central Food Production in Child Care Center Foodservices)

  • 곽동경;장미라;홍완수;이혜상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4권2호
    • /
    • pp.225-234
    • /
    • 1998
  • Nutrition during childhood is essential for growth and maintenance of health. Good food habits developed during the childhood will contribute both to the healthy growth and the prevention of the degenerative disease of later life. Both parents and the providers in child care centers play an important role for children's good eating behavior. Therefore all child care programs should achieve recommended standards for meeting children's nutritional and educational needs in a safe, sanitary, and supportive environment to promote the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and assess the needs for a Central Production Unit by contacting the child care center' providers. This approach was achieved using a variety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formation including the general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and the needs for a Central Production Unit. An indepth face-to-face interview with structured-questionnaires was undertaken at 32 representative child-care centers in Seoul.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the SAS program for descriptive analysis and ANOVA. The number of national/public and private sectors were 11 respectively, followed by 10 licensed home day-care centers. Total average number of children in child-care centers was 54.3 $\pm$48.5. The foodservice productivity index in child-care centers was 4.8 minutes per meal for public child care centers, 6.0 for private child-care centers, and 9.8 for home child care centers. Home child care centers were found to have the lowest productivity index which indicated inefficient foodservice practice. The important factors in group purchasing were menus(39.6%) or close distance(39.6%) > type of foodservice operation(32.8%) > total number of meals(19.9%) > food costs(16.2%) in order. Average score of the efficiency for central food production in child-care centers was 3.80 $\pm$0.84 out of 5.

  • PDF

서울·경기지역 청동기시대 전기 생계자원(生計資源) 생산방식 (Patterns of Subsistence Production in the Early Bronze Age in the Seoul/Gyeonggi Region)

  • 이민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3호
    • /
    • pp.22-44
    • /
    • 2023
  • 청동기시대 전기 생계경제는 문화유형,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해 발현될 수 있는 생산방식의 다양성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은 채, 농경 수행의 강도를 설명하는데 초점을 맞추어왔다. 이러한 상황은 신석기-청동기시대 이행을 얼마나 단절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이해할 것인가의 문제를 진지하게 고민하지 않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인식은 생계자원 생산방식의 점진적인 변화를 탐색할 수 있는 경로를 차단해 왔다. 본고에서는 청동기시대 생계자원의 생산방식이 연속·점진적으로 변화되었다는 것을 전제로 하면서, 청동기시대 전기 생산방식에 영향을 주었을 다양한 요소에 따른 생산자원 생산양상을 복원해보고자 하였다. 청동기시대 전기는 문화유형과 생태적소가 다양하게 확인되는바, 특정 시기의 생계자원 생산방식을 복원하는 작업은 단편적인 한두 가지 분석으로는 달성되기가 어렵다. 따라서 생계자원 생산과 관련된 몇 가지 측면을 분리하여 분석·해석하고 종국에는 모두를 종합하는 것이 적절한 방법적 경로가 될 듯하다. 구체적인 연구 방법으로 생계자원 생산과 밀접한 연관을 지니는 문화·환경적 요소-문화유형, 지리·지형적 요소, 토양생산성, 취락규모-에 따라 기능상 분류된 석제 생산도구 구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경기 지역의 청동기시대 전기 생계자원 생산양상에 있어 문화유형과 지리·지형적 입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는 반면, 취락규모와 토양생산성에 따른 생산도구 구성의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도 제법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취락규모와 종합생산토양 비율이 증가할수록 수렵·무구, 목가공구, 수확구가 증가하는 반면 어로구의 비율에 있어서는 그 반대의 양상이 관찰되었다. 취락규모나 작물재배의 생산성에 따른 수렵 혹은 농경에 대한 의존도 사이에 상관관계를 기대하게 하나, 취락규모와 토양생산성 비율 간의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상호 유의미한 관계로 해석되지 않았다. 즉, 이는 여러 요인에 따라 생산양상도 상이하며, 어느 단편적인 요소가 특정 취락의 생계자원의 생산방식을 채택하는데 결정적이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청동기시대 전기 사회에서의 취락을 구성하는 다양한 문화·환경적 요소에 따라 생계자원 생산양상 검토가 필요하다.

기후대별 입지환경 인자에 의한 소나무류의 지위지수 추정식 및 적지 구명 (Site Index Equations and Estimation of Productive Areas for Major Pine Species by Climatic Zones Using Environmental Factors)

  • 신만용;원형규;이승우;이윤영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79-187
    • /
    • 2007
  • 본 연구는 산림입지 자료를 이용하여 주요 소나무 수종의 기후대별 산림생산력을 추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지방소나무, 중부지방소나무, 그리고 해송의 3개 소나무 수종을 대상으로 입지환경인자에 의한 기후대별 지위지수 추정식을 만들고, 적지 판정 기준에 따라 수종별 적지면적을 산출하였다. 기후대는 수종분포에 따라 온대북부, 온대중부, 온대남부, 그리고 난대의 4개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산림입지 자료를 기후대별 수종별로 분류한 후, 지위지수 추정식 산출에 필요한 추정자료와 통계 검증에 필요한 검증자료로 분류하였다. 산림입지 자료에 포함된 임령 및 수고에 근거하여 기준 임령을 30년으로 하는 기후대별 수종별 지위지수를 추정하였다. 이를 통해 입지환경 인자에 의한 기준임령 30년에서의 기후대별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을 도출하였으며, 검증자료를 사용하여 통계적 검증을 실시한 후 검증 결과에 따라 최종 기후대별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출된 기후대별 소나무 수종의 지위지수 추정식은 $4{\sim}8$개의 입지환경 인자에 의해 산림생산력을 비교적 잘 추정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도출된 지위지수 추정식을 산림입지 자료에 적용하여 기후대별 수종별 산림생산력을 추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적지를 판정한 후 적지 면적을 산출하였다. 수종별 적지 면적은 강원지방소나무는 온대북부와 온대중부에서 약 24만ha로 추정되었으며, 중부지방소나무는 전체 기후대에 걸쳐 약 49만ha가 적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온대북부를 제외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해송의 경우에도 전체 산림면적의 약 4%인 23만ha가 적지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국내 IT기업의 특허활동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nting Activity Factors and Company Performance of Korean IT Industry)

  • 김창봉;박정호
    • 통상정보연구
    • /
    • 제18권3호
    • /
    • pp.249-273
    • /
    • 2016
  • 과거 산업경제의 기업 경쟁력은 생산력에서 비롯되었다면, 최근에는 무형자산인 특허의 확보력이 기업의 글로벌경제 성공요인의 중요한 조건이 되고 있다. 특히 기술의 변화가 빠르고, 국제적 특허분쟁이 심한 IT산업에서는 국내외 특허의 전략적 확보 및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스닥기업 중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217개 IT기업들의 특허활동을 양적인 요인인 생산성과 질적인 요인인 효율성 및 고급성으로 구분하고, 기업의 재무성과와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자원기반이론을 기반으로 선행연구를 실시하여 개념적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도출하고, 데이터 자료를 다중회귀모델로 실증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IT기업의 총자산 증가율에 대해 특허의 효율성과 고급성이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IT기업의 평균매출 증가율에 대해서는 특허의 세 가지 활동요인 모두 유의한 결과를 가져오지 못했다. 셋째, IT기업의 평균 순이익 증가율에 대해서는 특허의 고급성만이 양(+)의 영향을 가져왔다. 본 연구의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으로 특허활동을 양적인 요인과 질적인 요인으로 구분하여 재무성과와의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실무적 기여도에서는 국제적 특허분쟁이 심각한 IT기업들의 특허활동에 대해 전략적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환경요인을 이용한 생태권역별 상수리나무의 적지판정 (Assessment of Productive Areas for Quercus acutissima by Ecoprovince in Korea Using Environmental Factors)

  • 김태우;성주한;권태성;천정화;신만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3호
    • /
    • pp.437-445
    • /
    • 2013
  • 본 연구는 환경인자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에 생태권역별로 분포하는 상수리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고 적지면적 및 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산림입지도와 전자기후도로부터 산림생산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19개의 기후변수를 포함한 총 48개 환경인자를 도출한 후, 최적 조합에 의해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최종 생태권역별 상수리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에는 각각 4~6개의 환경인자가 독립변수로 사용 되었고, 지위지수 추정식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결정계수는 0.30~0.41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모형의 평균편의, 정도(精度), 표준오차의 3가지 평가통계량을 이용하여 검증을 실시한 결과 비교적 지위 추정능력이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개발된 생태권역별 상수리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을 이용하여 적지면적을 산출하고 적지분포를 도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