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Energy Consumption

검색결과 992건 처리시간 0.033초

불용성 전극의 Dye 제거 성능과 산화제 생성 비교 (Comparison of Dye Removal Performance and Oxidants Formation of Insoluble Electrode)

  • 유영억;김동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10호
    • /
    • pp.1273-1284
    • /
    • 2011
  •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insoluble electrode for the purpose of degradation of Rhodamine B (RhB) and oxidants generation [N,N-Dimethyl-4-nitrosoaniline (RNO, indicator of OH radical), $O_3$, $H_2O_2$, free Cl, $ClO_2$)]. Methods: Four kinds of electrodes were used for comparison: DSA (dimensional stable anode; Pt and JP202 electrode), Pb and boron doping diamond (BDD) electrode. The effect of applied current (0.5~2.5 A), electrolyte type (NaCl, KCl and $Na_2SO_4$) and electrolyte concentration (0.5~3.5 g/L) on the RNO degradation were evaluate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order of RhB removal efficiency lie in: JP202 > Pb > BDD ${\fallingdotseq}$ > Pt. However, when concerned the electric power on maintaining current of 1 A during electrolysis reaction, the order of RhB removal efficiency was changed: JP202 > Pt ${\fallingdotseq}$ Pb > BDD. The total generated oxidants ($H_2O_2$, $O_3$, free Cl, $ClO_2$) concentration of 4 electrodes was Pt (6.04 mg/W) > JP202 (4.81 mg/W) > Pb (3.61 mg/W) > BDD (1.54 mg/W), respectively. JP202 electrode was the best electrode among 4 electrodes from the point of view of performance and energy consumpt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electrode, RNO removal of NaCl and KCl (chlorine type electrolyte)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Na_2SO_4$ (sulfuric type electrolyte) RNO removal. Except BDD electrode, RhB degradation and creation tendency of oxidants such as $H_2O_2$, $O_3$, free Cl and $ClO_2$, found that do not match. RNO degradation tendency were considered a simple way to decide the method which is simple it will be able to determinate the electrode where the organic matter decomposition performance is superior. As the added NaCl concentration was increases, the of hydrogen peroxide and ozone concentration increases, and this was thought to increase the quantity of OH radical.

충남 일부지역 대학생의 식이섭취 및 식습관 실태조사 (A Study on the Nutrient Intake and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in Chung-Nam Area)

  • 김명희;이예승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43-158
    • /
    • 2006
  • The study examined nutritional conditions to enhance the quality of meals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more proper dietary life of college students. Our analysis was based on the body measurement, food intake and food habits for 200 students of Chung-Nam. The nutrient intake was examined using the 24-hour recall method.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and then the diet quality was estimated using the Mean Adequacy Ratio(MAR), the Nutrient Adequacy Ratio(NAR) and the Index of Nutritional Quality(INQ). The average weight and height of male students were $67.57{\pm}8.66kg,\;174.64{\pm}5.87cm$, while those of female students were $53.46{\pm}6.86kg,\;159.10{\pm}4.19cm$, respectively. The total energy intake of the male students was $3221.71{\pm}200.39kcal$, while that of the female students was $1884.67{\pm}100.93kcal$. The male students are higher than female in % of RDA. The percentages of carbohydrate, protein and lipid for male students were $57.18{\pm}7.83%,\;15.15{\jpm}3.36%\;and\; 27.67{\pm}6.68%$, while those of female students were $58.77{\pm}7.68%,\;15.51{\pm}4.55%\;and\;25.72{\pm}6.20%$,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lcium intakes for both groups, however they are less than the RDA. In terms of iron, the male students took $16.98{\pm}5.57mg$ and the female students took $11.35{\pm}2.68mg$, with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sufficient intake of vitamins, with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except for vitamin A. The mean MAR, an index of overall dietary qua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p<0.01). Male and female students enjoying two meals or more a day were 59%, and those having enough time for one meal or less a day were 36.5%. Male and female students having no breakfast were 39%. Male and female students having vegetables intake were 53.5%, and having milk or milk products every day were 29.5% of them. In conclusion, nutritional education is recommended to increase the calcium intake and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for dietary fiber, and to emphasize regularity of meal time.

  • PDF

BES 기법을 이용한 육계사 내부 고온 스트레스 평가를 위한 THI 지수 모의 (Estimation of THI Index to Evaluate Thermal Stress of Animal-occupied Zone in a Broiler House Using BES Method)

  • 하태환;권경석;홍세운;최희철;이준엽;이동현;우샘이;양가영;김락우;여욱현;이상연;이인복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0권2호
    • /
    • pp.75-84
    • /
    • 2018
  • Thermal stress of livestock has been issued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trends and this causes reproductive disorders, decreased feed consumption, immunosuppression, and increased mortality of animals. Concept of THI has been widely used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degree of thermal stress for animals, however use of this concept is restricted for animals living in the enclosed facilities such as mechanically ventilated broiler houses. In this study, time-based internal energy flow and variation trend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analyzed based on BES technique. Local weather data, insulation characteristics of building materials, heat and moisture generation rate from broilers according to age, algorithm of ventilation operation were adopted for boundary condition of the model to accurately compute THI values inside the mechanically ventilated broiler house. From the BES computation, excess frequency of THI threshold in Jeju city was highest on the assumption that air conditioning equipments were not installed. When general raising density ($39kg\;m^{-2}$) was adopted, total 2,191 hours were exceeded. Excess hours of THI threshold were strongly related to the cumulative air temperature ($R^2=0.87$).

열펌프 시스템의 규모 결정을 위한 온돌난방부하 특성 (Characteristics of Ondol Heating Load for the Determination of Heat Pump Power)

  • 노정근;백은기;송현갑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8권3호
    • /
    • pp.217-224
    • /
    • 2003
  • To find out heating load and to determine the power of heat pump compressor for the Ondol room heating the COP of heat pump, the variation of Ondol room air temperature, the variation of ambient temperature and power consumption of heat pump are analyzed.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P of the heat pump in close loop decreased as the ambient air temperature. The COP was 2.26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condenser was $20\pm3^{\circ}C$. 2. The Ondol surface temperature was $25\pm3^{\circ}C$ when the hot water of $40^{\circ}C$ was supplied from hot water storage tank to the Ondol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Ondol surface and the room air temperature was $7~8^{\circ}C$. 3. The ratio of thermal conduction heating load to total heating load in Ondol heating space was found to be 83% and ratio of ventilation heating load was 17%. Therefore, the thermal conduction heating load was confirmod to be a major heating load in Ondol heating space. 4. In case of the ambient temperature of $3.2^{\circ}C$, the efficiency of heat exchange of Ondol heating system was 85%. 5. The heating load per Ondol heating surface area and volume of Ondol room space were theoretically analyzed. In case of the room temperature of $20^{\circ}C$ and the ambient temperature of $-3.2~3.8^{\circ}C$, the heating load per Ondol surface area was 115.8~167.6kJ/h ㆍ㎥ and per Ondol mom space volume was 50.2~72.7kJ/h ㆍ㎥. 6. The compressor power of heat pump fur the Ondol room heating could be determined with the heating load analyzed in this study In case of the Ondol room air temperature of 17~2$0^{\circ}C$ and the ambient temperature of -5~3.8$^{\circ}C$, the compressor power of heat pump per Ondol surface area was analyzed to be $2.3\times10^{-2}psm^2$, and per volume of Ondol room space $1.0\times10^{-2}1.4\times10^{-2}ps/m^2$ps.

폐경기 여성의 골밀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 (Factors Affecting to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 정승필;이근미;이석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261-271
    • /
    • 1996
  • 저자들은 1992년 1월 1일부터 1995년 6월 30일까지 영남대학병원에서 양에너지 방사선 골밀도 측정기로 요추 골밀도를 측정한 자연적 폐경기 여성 136명을 대상으로 설문과 의무기록지를 검토하여 연령, 신장, 체중, 초경 및 폐경 연령, 자녀수, 모유수유 자녀수, 경구 피임력, 골다공증의 가족력, 우유 및 커피섭취량, 흡연 및 음주력 그리고 신체활동량을 평가하였다. 평균 연령은 55.2세였고, 평균 폐경 연령은 47.9세였다. 골밀도는 신장, 체중 그리고 신체활동량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나이, 폐경 후 기간 그리고 자녀수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age-matched 골밀도는 나이, 신장, 체중, 신체활동량 그리고 폐경 후 기간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골밀도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폐경 후 기간, 신체활동량 그리고 체중이 골밀도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변수였고, 그 중 폐경 후 기간이 가장 영향을 주는 변수였다. 나이의 효과를 통제하기 위해 % age-matched 골밀도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신체활동량과 체중이 % age-matched 골밀도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변수였고, 신체활동량이 가장 영향을 주는 변수였다. 그 결과 폐경기 여성의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중 나이의 영향을 배제하면 신체활동량과 체중이 중요한 인자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지속적인 신체활동이 골다공증의 예방에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폐목재를 이용한 바이오차 생산 및 토양적용의 환경평가 (Analysis of Environmental Impacts for the Biochar Production and Soil Application)

  • 김미형;김건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461-468
    • /
    • 2014
  • 바이오차(biochar)는 산소가 제한된 환경에서 바이오매스를 열분해를 시켜 얻을 수 있는 고체물질을 말한다. 원료가 되는 바이오매스는 에너지작물, 임업부산물, 농업부산물 등의 폐기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토양으로 적용 시 기후변화 완화, 화석연료 소비저감, 폐기물 처리비용저감 등의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목재를 원료로 바이오차를 생산하는 시스템을 대상으로 전과정평가 기법에 의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폐목재 1톤을 기능단위로 하였을 때 생산되는 바이오차를 토양에 적용하는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환경영향을 분석한 결과, 파쇄 및 건조의 전처리 공정에서 4.048E-01 kg, 가스화 열분해공정에서 4.579E-01 kg, 토양살포 공정에서 9.070E-02 kg의 온실가스를 발생하여 총 9.534E-01 kg의 온실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바이오차의 토양적용 시 탄소저장효과는 252 kg으로 분석되어 251 kg의 탄소 네거티브 효과를 보였다.

국산 구조용 집성재의 환경부하 정량화를 위한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 (Assessment of Carbon Emission for Quantification of Environmental Load on Structural Glued Laminated Timber in Korea)

  • 장윤성;김세종;손휘림;이상준;심국보;여환명;김광모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449-45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산 구조용 집성재를 대상으로, 제조과정의 탄소배출을 정량화하고 탄소배출 저감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총 2개소의 구조용 집성재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원료, 수송, 제조 공정, 제조에 의한 에너지소비량 등을 현장 실사하였다. 현장에서 수집한 자료 및 구축된 전과정목록과 같은 관련문헌을 토대로 단위부피당 탄소배출을 정량화하였다. 국산 구조용 집성재의 제재 및 건조, 집성 공정별 온실가스 배출결과는 각각 31.0, 109.0, 94.2 kg $CO_2eq./m^3$으로 나타났다. 수입 구조용 집성재와 비교하였을 때 약 13% 온실가스를 적게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의 건조 에너지원을 바이오매스로 전환시에는 기존 대비 37%의 온실가스를 감축하여 친환경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결과는 향후 목조주택의 환경성을 규명하기 위한 전과정평가 수행 시, 투입된 목재제품의 전과정목록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활성탄과 제올라이트 13X 충진탑을 사용한 TSA 공정에서 조업조건이 벤젠의 흡착 및 탈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perating Conditions on Adsorption and Desorption of Benzene in TSA Process Using Activated Carbon and Zeolite 13X)

  • 정민영;서성섭
    • 공업화학
    • /
    • 제29권5호
    • /
    • pp.594-603
    • /
    • 2018
  • 본 연구는 VOC 제거 기술인 TSA 공정에서 제올라이트 13X와 활성탄이 채워진 두 종류의 탑을 사용하여 원료농도, 질소 유량, 수증기 유량, 탑 온도 등 조업조건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TSA 사이클은 흡착단계, 수증기 탈착단계, 건조 및 냉각단계로 구성되었다. 2% 벤젠 농도에서 제올라이트 13X와 활성탄의 사이클 당 전체 흡착량은 각각 4.44 g과 3.65 g으로 활성탄보다 충전밀도가 큰 제올라이트 13X가 더 많은 양의 벤젠을 흡착할 수 있었다. 수증기 탈착의 결과에서 수증기 유량을 증가시키고 탑의 외부 가열로 온도를 높이면 탈착시간이 짧아지고 배출되는 벤젠의 농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벤젠 농도에서 수증기 유량을 75 g/hr로 증가시키면 탈착시간이 1 hr에서 최대 33 min까지 단축되어 상대적으로 건조 및 냉각단계의 시간이 늘어나 수증기 제거와 탑 냉각을 충분히 진행할 수 있었다. 탑 온도를 높이면 탈착량이 증가하나 $150^{\circ}C$ 이상에서는 에너지소비는 증가하는 반면 탈착량은 거의 일정했다. 연속 사이클 조업에서 재생단계 완료 시 잔존하게 되는 벤젠의 비율이 늘어나면 흡착제 working capacity 감소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제올라이트 13X를 이용해 연속 사이클 공정실험을 수행한 결과 탑 내부에 잔존하는 벤젠의 비율이 4번째 사이클 이후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었다.

시설내 온도분포 균일화를 위한 온풍난방기용 2중 덕트개발 (Improving the Distribution of Temperature by a Double Air Duct in the Air-Heated Plastic Greenhouse)

  • 김태영;김기덕;조일환;남은영;남윤일;우영회;문보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62-166
    • /
    • 2004
  • 동절기 시설내 온도분포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온풍난방기용 이중덕트를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관행 온풍덕트의 각 지점간 토출구 송풍온도 차이가 13 ~ $14^{\circ}C$인데 비하여 개선형 덕트인 이중덕트의 토출구 송풍온도 차이가 3 ~ $4^{\circ}C$로 나타나 각 지점간의 온도 불균형이 크게 개선되었으며 이중덕트의 각지점간의 생육정도도 관행덕트에 비해 크게 향상 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량에 있어서도 관행덕트를 사용한 재배시설에서 10a당 3,924kg에 비하여 이중덕트를 사용한 재배가 4,616kg으로 약 17%가 증수되었다. 그리고 반촉성 재배기간 동안 난방에 소요된 연료소모량은 관행덕트가 3,724ι/10a인데 비하여 이중덕트가 3,233ι 13%의 연료절감효과가 있다.

빗물여과를 위한 침지식 정밀여과막의 여과특성 해석 (Analysis of Filtration Characteristics of Submerged Microfiltration Membranes for Rainwater Filtration)

  • 조형락;정정우;손진식;이상호;채수권
    • 멤브레인
    • /
    • 제24권1호
    • /
    • pp.31-38
    • /
    • 2014
  • 지붕이나 여러 가지 방법과 장소에서 수집된 빗물을 처리하면 직접적 간접적으로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빗물은 점점 더 높은 품질을 위해 고려되고 있고, 분리막은 이러한 빗물 처리를 위한 중요한 기술이다. 특히, 분리막은 고품질 물 생산, 높은 집적도 및 낮은 에너지 소비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막오염은 수처리 및 폐수 재활용 부분과 마찬가지로 심각한 문제로 간주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빗물 처리에 정밀여과(MF)막을 적용하였고, 저압 자외선(LPUV) 처리를 정밀여과막의 전처리로 사용하였다. 유기물에 대한 UV의 영향을 정량화하기 위해 총 유기탄소(TOC) 및 UV 흡광도(UVA)를 모두 측정하였다. 또한 UV 전처리 효과에 따른 막의 오염 정도를 조사하였다. LPUV 전처리를 하고 실험을 한 결과 조류에 의해 오염된 빗물에서 막의 오염을 제어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것은 UV 처리 후 유기물의 양이 감소하고 특성이 변화하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UV/MF 처리는 마이크로 워터 그리드 시스템과 같은 수처리를 위한 유망한 옵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