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pographic Organization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6초

Gene Expression Pattern Analysis via Latent Variable Models Coupled with Topographic Clustering

  • Chang, Jeong-Ho;Chi, Sung Wook;Zhang, Byoung Tak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권1호
    • /
    • pp.32-39
    • /
    • 2003
  • We present a latent variable model-based approach to the analysis of gene expression patterns, coupled with topographic clustering. Aspect model, a latent variable model for dyadic data, is applied to extract latent patterns underlying complex variations of gene expression levels. Then a topographic clustering is performed to find coherent groups of genes, based on the extracted latent patterns as well as individual gene expression behaviors. Applied to cell cycle­regulated genes of the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the proposed method could discover biologically meaningful patterns related with characteristic expression behavior in particular cell cycle phases. In addition, the display of the variation in the composition of these latent patterns on the cluster map provided more facilitated interpretation of the resulting cluster structure. From this, we argue that latent variable models, coupled with topographic clustering, are a promising tool for explorative analysis of gene expression data.

서울시 1:1,000 수치지형도 갱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vising 1:1,000 Digital Topographic Maps for Seoul Metropolitan Area)

  • 김윤종;박수홍;이석민;최진무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6권2호
    • /
    • pp.233-245
    • /
    • 1998
  • 본 연구는 서울시 1:1,000 수치지형도의 갱신에 필요한 제도적 방안과 다양한 갱신기술 방법들을 비교ㆍ검토하여 서울시 수치지형도의 총체적인 유지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도적 방안으로는 서울시 지리정보과(주관부서) 및 사용부서가 동시에 갱신하는 방안과 지리정보과가 당분간 일괄 갱신하는 현실적 대안이 동시에 마련되었다. 또한 갱신 기술방법으로는 도면에 의한 방법과 항공사진을 이용한 수정도화의 방법 등이 최적으로 방법으로 생각되었으며, 장기적으로는 수치정사사진이나 고해상도 인공위성 영상의 활용방법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치지형도의 유통 및 공급을 위해서는 국립지리원의 공급방침을 바탕으로 서울시의 공급규칙 제정에 필요한 사항들(공급대상, 공급형태, 공급방법, 공급가격 등)이 연구되었다. 본 연구는 1998년 서울시정개발연구원에서 수행한 「서울시 1:1,000수치지형도 유지관리 방안 연구」의 결과이다.

  • PDF

공간정보산업의 상승적 융합 효과 창출을 위한 측량과 지적의 합리적 통합방안 (Rational Unification Scheme of Topographic Surveying and Cadastral Survey for the Synergistic Convergence Effect of GIS Industry)

  • 박홍기;주용진;민관식;김영단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9-78
    • /
    • 2013
  • 최근, 공간정보 산업의 급격한 성장에 따라 산업 간 융 복합 등 측량과 지적 정보의 활용범위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 있다. 이에 따라 공간정보의 환경변화에 따른 능동적 대비와 국가 공간정보 활용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측량과 지적의 새로운 융합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공간정보의 생성과 이용 관리라는 종합적 측면에서 측량과 지적의 융합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제시하는 것이다. 우선, 국가공간정보기반(NSDI)을 고려한 측량과 지적 융합의 목적과 기본 정책의 방향성을 정립하기 위한 정책 환경을 검토하였다. 또한 측량과 지적 융합을 위한 행정 (조직, 인력, 서비스) 및 제도적 추진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SWOT분석을 통해 측량과 지적 융합을 위한 내부 역량 및 외부 정책 환경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핵심 성공 요인(CSF)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측량과 지적 융합을 위한 발전 모형 및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융합의 기본방향과 발전모형을 제시하고 이원화된 이해관계자들이 상호보완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측량과 지적의 융합은 국가공간정보기반의 성공적인 구축이라는 큰 틀에서 이뤄져야 하며, 기본공간정보의 완성과 유지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Organization of Projections from the Medial Temporal Cortical Areas to the Ventral Striatum in Macaque Monkeys

  • Jung, Yongwook;Hong, Sungwo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7권3호
    • /
    • pp.237-248
    • /
    • 2003
  • Recent evidence on behaviors in macaque monkeys indicate that the medial temporal cortical areas such as the entorhinal cortex (EC), perirhinal cortex, and parahippocampal cortex (PHC) are importantly involved in limbic and sensory memory function. Neuroanatomical studies also have demonstrated that the medial temporal cortical areas are connected with the ventral striatum, although compar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the precise topography of these connections. We investigated the topographic organization of connections between the medial temporal cortical areas and the ventral striatum by placing retrograde tracers into five different regions of the ventral striatum: the ventromedial caudate nucleus, ventral shell, central shell, dorsal core of the nucleus accumbens (NA), and ventrolateral putamen. We found that the shell of the NA was the main projection site from the medial temporal cortical areas. Within the shell of the NA, there were also differential connections: EC diffusely innervates shell of the NA, while the projections from the perirhinal cortex and PHC concentrate on the ventral shell of the NA. Taken together, it is possible that the ventral shell of the NA is the main integration site of the limbic and sensory memory coming from the EC, perirhinal cortex, and PHC.

고대 한국 지방도시 격자형 토지구획의 형태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rid Land Subdivision of Ancient Local City in Korea)

  • 이경찬
    • 건축역사연구
    • /
    • 제11권4호
    • /
    • pp.45-69
    • /
    • 2002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gridded subdivision area which has its origin from ancient local administrative city-Sangju, Jeonju, Namwon, Kwangju, Chungju. The spatial structure, based on the inter-relationship among gridded subdivision area, city wall, and topographic condition,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idded subdivision area are analyzed. The points of analysis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idded subdivision area consist of the size of unit block, the organization system of unit block, the orientation of subdivision lin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ree main characteristics are found. Firstly there can be found no same land subdivision rule among study areas. Secondly,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study area were the products of cumulative process of different subdivision areas which were developed in different periods. Thirdly, the original regular gridded land subdivision seems to have been carried out in the object of a farm-land cultivation around 7th century. And there was a change of land-use from farm land to urban land-use during the later 7th century and 8th century.

  • PDF

위성 강우자료를 이용한 해외 유역 홍수량 추정 - 모로코 세부강 유역을 대상으로 - (Estimation of Flood Discharge Using Satellite-Derived Rainfall in Abroad Watersheds - A Case Study of Sebou Watershed, Morocco -)

  • 김주훈;최윤석;김경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41-152
    • /
    • 2017
  • 본 연구는 계측자료가 부족한 유역을 대상으로 위성강우 활용 및 위성강우의 보정방법을 통해 홍수량 추정의 기술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유역은 모로코 세부강 유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세부강 유역 홍수량 추정을 위한 모형은 IFAS(Integrated Flood Analysis System)와 GRM(Grid baed Rainfall-Runoff Model)을 이용하였다. 연구 유역에 대한 강우자료는 일일관측의 지상계측 자료와 시간계측 위성강우자료를 이용하였다. 위성강우를 이용한 홍수분석에서 일일 지상계측 강우량과 위성강우의 시간계측 자료를 합성하여 위성강우자료를 수정하였다. 지형자료는 90m 공간해상도의 Shuttle Radar Topographic Mission DEM(SRTM DEM)과, 1km 공간해상도의 Global map의 토지피복도와 U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US FAO)의 Harmonized World Soil Database(HWSD) 토양도를 이용하였다. 과소추정되는 위성강우는 지상계측 자료를 활용하여 보정하였다. 수정된 위성강우를 이용한 유출분석에서는 첨두유출량이 IFAS는 $5,878{\sim}7,434m^3/s$, GRM은 $6,140{\sim}7,437m^3/s$의 유출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2009~2010년에 발생한 세부강 유역의 첨두홍수량은 $5,800m^3/s$에서 $7,500m^3/s$의 범위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보정된 위성강우를 활용한 홍수량 추정결과는 두 모형 모두 유사한 홍수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위성강우의 보정기법은 계측자료가 부족한 지역의 적정 홍수량 추정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고양이 흉수에서 Substance P 면역반응 신경원의 분포와 연접연구 (Distribution of Substance P Immunoreactive Neurons and Their Synaptic Organization in the Cat Thoracic Cord)

  • 이승균;박수석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9권2호
    • /
    • pp.326-335
    • /
    • 1996
  • Background: Though a number of studies have described the distribution of substance P(SP)-like immunoreactivity in the spinal cord, they have been focused on lamina I and II of the dorsal horn and there are little morphological studies on the topographic distribution and ultrastructure of the SP immunoreactive neurons especially in the ventral horn of the spinal cor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distribution pattern of SP immunoreactive neurons and to difine the synaptic organization of their processes in ventral horn of the thoracic cord of the cat by preembbeding immunocytochemical method using SP antiserum. Methods: Five adults cats of either sex were used and deeply anesthetized by intramuscular injection of ketamine. After removal of the spinal cord, samples of thoracic cord were taken and placed in fresh fixative at $4^{\circ}C$ for 2 hours. Transverse sections $50{\mu}m$ thick were processed using the preembbeding immunocytochemical method and incubated consecutively in the specific primary antibody and the 10% normal goat serum, the rabbit anti-substance P antiserum, the biotin-labelled goat anti-rabbit IgG and finally the avidin-biotin-peroxidase complex. The processed tissue sections were throughly washed and stained in the black with 1% uranyl acetate. Section were examined on a electron microscope. Results: 1) SP immunoreactive neurons were observed in the gray matter around central canal. 2) In lamina I and II SP immunoreactivity was observed in both myelinated and unmyelinated nerve fibers, but in ventral horn only in the unmyelinated nerve fibers. 3) SP immunoreactive axon terminals with small round and large dense core vesicles made chemical synapses onto the dendrites of motor neurons in the ventral horn. Conclusion: SP immunoreactive neurons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modulation of motor neurons in the ventral horn of the thoracic cord of the cat.

  • PDF

Using SWAT Model for streamflow simulation in Burundi

  • Habimana, Jean de Dieu;Ha, Doan Thi Thu;Bae, Deg-Hyo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17-117
    • /
    • 2020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etup model and evaluate the model performance for streamflow simulation in Burundi using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model. The total area of Burundi is 27,834 ㎢. The elevation of Burundi ranges from 780 m to 2,700m. The West and East are low lands, while the Central part is high land. The topographic data (30 meters Digital Elevation Model) and land use and land cover data of Burundi were obtained respectively from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SRTM) and the Regional Centre for Mapping of Resources for Development (RCMRD). The soil data used was obtained from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The local weather data and discharge data were provided by Burundi Hydro meteorological Service (IGEBU). Mean Areal Precipitation (MAP) and Mean Areal Temperature (MAT) were estimated. The streamflow simulation was done for the period 1980-2017. The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river discharge was performed at a daily time step from 2005 through 2011 as the calibration period and 2012 up to 2017 as the validation period. The findings show that streamflow decreases during Jun to September and increases during March to May and October to December.

  • PDF

쥐의 외측 망상핵으로부터 소뇌충부 제6엽 내의 각 소엽으로 신경 경로에 관한 연구 (The Projection from the Lateral Reticular Nucleus to the Cerebellar Vermal Lobule VI in the Rat: A Retrograde Labelling Study Using Horseradish Peroxidase)

  • 이현숙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6-35
    • /
    • 1996
  • 쥐의 외측 망상핵으로부터 소뇌충부 제6엽 내의 각 소엽으로 신경 경로를 WGA-HRP를 이용한 역행수송법을 써서 조사하였다. 표지된 신경세포는 양측의 외측 망상핵에 모두 존재하였으나, 동축의 경우에 편중되어 있었다. 동측 또는 대측의 외측 망상핵의 큰 세포구획(magnocellular division)에서 국소순적으로 배열이 관찰되었는데, a소엽에서 c소엽으로의 투사가 동측의 큰 세포구획에서 등쪽에서 배쪽으로 분포양상을 보였으며, 대측의 큰세포구획에서는 다소 머리측에서 꼬리측 절편으로의 분포 양상을 보였다. 그 외 동측 또는 대측의 작은세포구획(parvocellular division) 및 삼차밑구획(subtrigeminal division)에서의 표지된 신경세포의 수는 극히 적었다. 한편 외측 망상핵으로부터 소뇌층부의 제6엽 a소엽/b소엽으로서의 투사에 관한 컴퓨터를 이용한 삼차원 재구성은 각 경우에 있어서 상당량의 투사의 중첩이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수체계로 본 수원화성 건설의 계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lanning of Hwa-sung from the Point of Water System)

  • 강인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37-147
    • /
    • 2011
  • 본 연구는 18세기 수원 신읍치와 화성 건설에서 나타난 수체계의 형성과정과 계획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화성 일대의 지형특성과 연계하여 형성된 자연형 수계가 화성건설과정에서 정비, 변화되는 과정에 내재되어 있는 계획적 의도를 이수와 치수의 관점에서 해석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화성 건설과정에서 나타나는 수체계를 다양한 계획요소와 연계하여 분석해보고 이를 통하여 물길에 내재되어 있는 계획적 의도를 추출하는 해석적 접근방법을 취하고 있다. 연구진행과정에서 18세기 화성건설과정에서 나타나는 수체계는 화성성역의궤에 실린 화성전도와 1911년 지적원도, 그리고 1917년에 제작된 1/10,000 지형도를 활용하여 추출하였다. 화성의 수체계가 지니는 계획적 특성을 도출한 결과 화성의 수체계가 지니는 계획적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수원천의 수계는 계획도시의 공간구조와 읍성의 좌향을 결정짓는 입지요소로 활용되었다. 2. 물길 정비를 통하여 계획적인 배수체계를 구축하였다. 3. 화성의 골격을 형성하는 도로체계와 토지이용구조는 물길과 연계하여 계획되었다. 4. 물길을 이용하여 주요 시설구역의 영역성을 확보하였다. 5. 치수와 조경시설로서 계획적인 연못(지(池))을 조성하였다. 6. 물길은 부분적으로 의도적인 비보요소로 활용되었다. 결국 18세기 화성에서 관찰되는 수체계는 도시입지, 도시구성체계, 도시골격요소로서 도로, 도시공간구조, 재해방지와 수질보호, 경관적 기능, 생활기반시설로서의 기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계획요소와의 정합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자연수계를 의도적으로 정비하고 새로운 수계를 계획적으로 도입하는 과정을 통하여 구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수체계가 18세기 화성이 지니는 계획적인 신도시로서의 성격을 잘 보여주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