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oth attrition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19초

과도한 치아 마모 환자에서 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한 전악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vertical dimension elevation in the patient with severely worn dentition: case report)

  • 이은지;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4호
    • /
    • pp.315-323
    • /
    • 2014
  • 과도한 치아의 마모는 수직 교합 고경의 감소를 야기하여 구강 및 저작계의 병적 변화를 일으킬수 있으며, 이 경우 새로운 교합 설정과 수직 고경 회복 시 정확한 진단과 분석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증례에서는 고딕 아치 트레이서를 통해 거상된 수직고경에서의 중심위를 기록한 후 전악 수복을 시행하였다. 본 증례는 70세 남자 환자로서 이가 시리고 아파서 음식을 먹지 못한다는 주소로 내원하였다. 전반적인 치아 마모에 의한 수직고경의 감소를 보여 면밀한 모형분석을 통해 수직고경의 거상을 결정하였다. 거상된 수직고경에 맞춰 고딕 아치 트레이서를 이용하여 중심위 채득 후 임시 보철물을 장착하였다. 4개월 동안 임시 보철물을 통해 적절한 교합을 형성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최종 보철을 제작하였다. 치료를 통해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심한 교모증 환자에서의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in Severely Worn Dentition)

  • 정재현;최민호;박영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9권3호
    • /
    • pp.239-245
    • /
    • 2003
  • The occurrence and pattern of tooth wear are related to cultural, dietary, occupational, and geographic factors, Excessive occlusal wear can result in pulpal exposure, occlusal disharmony, functional inability. Surface loss can be differentiated into 3 general causal categories: i) mechanical loss, which includes attrition, ii) abrasion chemical loss including erosion, and finally iii) a proposed biomechanical category described as abfraction. Considering that mechanical wear is frequently asymptomatic, patients may have parafunctional habit. Structured clinical decision analysis in fixed prosthodontics, as other branches of dentistry do, allows the practitioner to consider the patient's problems more thoroughly based on the clinical data and extenuation factors. This discipline of decision making is intended to complement the experience level and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clinician in assisting the patient through the decision process. Additionally, CDA helps the clinician define not only the pre-existing condition of the patient prior to irreversible therapy, but also better treatment strategies for the patient over an extended period. The systematic nature of decision analysis stimulates the dentists to pay further attention to those factors, which is germane to the overall complexity of the case, and exclude factors, which have little influence on its final outcome. Further implementation of computerized databases, procedural outcome probabilities based on clinical and laboratory studies and the clinical experience of those who use it, may provide quite a promising future in the field of structured and formalized clinical decision analysis.

치아에 의한 생체 연령감정 사례의 분석 (An Analysis of Age Estimation Cases Based on Teeth)

  • 장희영;신경진;최종훈;김종열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5권2호
    • /
    • pp.253-263
    • /
    • 2000
  • We collected age determination cases which were done at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department of oral medicine from 1976 to 1999 to analyze it's tendency among Koreans. We analyzed 435 clients cases which were stored by age estimation program from January 1993 to December 1999.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xual distribution (male : 52.0%, female : 48.0%) and more than half percent (51%) were 20's and 30's. 2. Among the age determination clients, those who wanted to decrease their age (50.3%) and those who wanted to increase their age (49.7%) shows similar in number. And the former case were predominant in the female clients, but the latter case in the male clients. Also the clients below six years of age were predominant in the former case, but the clients more than sixty were predominant in the latter case. 3. The purposes of age correction showed different distribution for ages: job or employment for 20's and 30's, marriage for 20's, registration for school for below six, welfare and other social services for 50 and older. 4. Age was estimated by Nolla's growth stage for 12 and under, calcification of the second and third molar for 12~20, and for 20 and over, Takei's tooth abrasion model was used. 5. The alleged age was in accordance with the documents and other information given by clients, but in the 20.6% of the estimation cases, the alleged age was discarded.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age determination cases in Koreans, many of the cases resulted from our historical turbulence and social distinctiveness, causing an increase in the necessity for age correction in each age group. For more accurate determination for each age group, further studies with Koreans must be done continuously.

  • PDF

심한 마모로 인하여 교합 고경이 감소된 환자의 완전 구강 회복술 (Full-mouth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reduced occlusal vertical dimension due to severe wear: a clinical report)

  • 김민정;김형섭;우이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39-46
    • /
    • 2013
  • 구치부 지지가 붕괴되면 전치부 마모, 교합 고경 감소 등의 문제가 나타나고, 이로 인하여 측두 하악 관절 장애나 저작근의 문제, 비심미적인 안모, 저작 효율의 감소 등의 문제가 초래되기도 한다. 광범위한 수복을 요하는 이러한 환자에서는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의 수립을 통하여, 기능과 심미 회복 및 근신경계와 악관절의 안정과 적응을 이루어 주어야 한다. 본 증례의 환자는 63세의 남자 환자로 전반적인 치아 마모로 인한 저작 곤란과 심미적 불만족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구강 검사, 방사선 검사, 모형 검사 결과를 종합한 수직 고경 평가를 통하여 수직 고경의 증가를 동반한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을 결정하였다. 진단 wax-up을 통해 잠정적으로 4 mm 거상하여 12주간 overlay 형식의 가철성 임시 보철물을 장착하였으며 만족할 만한 적응을 보여 치아 삭제 후 임시 치관 장착 및 새로운 임시 가철성 국소의치를 장착하였다. 16주 후 안정적인 적응을 보여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7개월 간 경과 관찰 결과 안정적인 교합을 이루고 있는 것을 관찰하였고, 이를 통해 환자의 기능적, 심미적인 만족을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이악물기 시 발생되는 치아변형에 대한 구강보호장치의 역할 (Effect of Mouthguard on Tooth Distortion During Clenching)

  • 이윤;최대균;권긍록;이성복;노관태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4호
    • /
    • pp.405-417
    • /
    • 2010
  • 그 동안 많은 연구와 실험에서 운동 중 외상에 대한 마우스가드의 악골, 치아 및 구강조직의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치아 및 구강조직의 장애는 강한 외상 외에도 힘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이악물기와 같은 장애로도 발생한다. 이러한 장애는 주로 구치부의 병적인 교모, 치조골 흡수, 치아 상실 및 교합의 붕괴로 나타난다. 마우스가드의 장착이 이러한 장애를 예방하는데 유효한 것으로 생각되나 그 효과는 충분히 검토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이악물기에 의해 치아에 발생되는 뒤틀림을 마우스가드가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 하였다. 7명의 건강한 성인의 치료경험이 없는 하악 제1대구치를 피검치로 선정하고 이축(bi-axial)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치아 협면에 접착 하였다. load cell에 의해 측정된 최대 교합력을 기준으로 최초 치아 접촉, 중간 강도의 교합력, 최대 강도의 교합력으로 이악물기 강도를 3단계로 구분 하였다. 마우스가드 장착 전 세 단계의 이악물기 강도에서 치아에 발생하는 스트레인을 측정하고, 마우스가드 장착 후에도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마우스가드 장착 전과 후 각각 세단계의 이악물기 단계 사이의 치아에 발생하는 스트레인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마우스가드 장착 전 후에 치아에 발생하는 스트레인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SPSS 13.0 프로그램을 이용 (Wilcoxon signed rank test) 95%의 유의수준에서 통계분석 하였다. 마우스가드 장착 전 치아에 발생하는 스트레인은 이악물기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 하였다. 마우스 장착 후에도 치아에 발생하는 스트레인은 이악물기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 하였다. 모든 피검자에서 이 악물기 강도에 상관없이 마우스가드 장착으로 스트레인이 감소하였다. 치아의 최초 접촉 시에만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 최대 이악물기 강도에서는 치아에 발생되는 스트레인이 50-90% 감소하였다. 마우스가드는 이 악물기에 의해 발생되는 치아의 뒤틀림을 감소시켰다. 그러므로 마우스가드는 운동 중에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발생되는 이 악물기에 의한 치아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치열궁내 공간 부조화와 진단적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arch length discrepancy and the diagnostic analysis)

  • 유영규;안광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11
    • /
    • 2004
  • 치열궁내의 공간 부조화를 단순히 가용 arch perimeter에 대한 tooth material의 총합의 차이만으로 예측하는 것은 치아의 이동을 단지 평면적으로만 해석한 것인 반면, 실제로 치아는 치료에 의해 3차원적으로 움직이게 되어 치열궁 형태와 curve of Spee의 정도 그리고 치축 각도와 경사에도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는 교정환자의 치료전 모형분석시 치열궁내 공간 부조화를 보다 분석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소구치 발치 후 arch perimeter의 감소와 전치부의 전후방적인 이동량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아울러 curve of Spee와 기저골내 기준평면에 대한 전치부의 치축 각도 그리고 전치부 총생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교정치료를 받은 환자 중 Angle씨 제 I급 부정교합이며 4개의 제 1소구치를 발거한 양악 전돌자로서 치아에 형태학적 변이 및 보철물을 갖지 않은 자, 치아수에 이상이 없는 자, 교모나 이소맹출치를 갖지 않은 자, 견치 및 대구치가 Angle씨 제 I급 교합관계를 가지며 3m이상의 치아밀집을 갖지 않은 자를 대상으로 하여 치아모형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견치간 폭경이 유지될 경우, 제 1소구치 발거 후 하악 중절치가 후방이동 될 수 있는 공간의 양은 소구치 발거 공간의 크기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1mm보다 작았다. 이때 치열궁의 형태가 전방으로 좁아질수록 그 차이가 증가하였다. 2. 견치간 폭경이 구치부의 폭경에 일치되게 확장될 경우 견치간 폭경이 유지될 때보다 3mm내외의 중절치의 후방이 동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중절치의 후방이동시 치체이동과 경사이동에서 가능한 절연의 전후방적인 차이가 미세하게 나타났다. 4. 견치간 폭경을 유지하면서 전치부 분절내 총생을 해소할 경우, 처음의 전치부 분절의 장경이 클수록 중절치의 전방 이동량이 증가하였다. 5. Curve of Spee를 leveling할 경우, arch perimeter의 증가량은 Curve of Spee의 최대 길이의 1/2보다 적게 나타났다.

측두하악장애를 가진 교정환자 교합의 형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NTITION AND MORPHOLOGIC MALOCCLUSION OF THE TEMPOROMANDIBULAR DYSFUNCTION PATIENT)

  • 김미애;정규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3-63
    • /
    • 1996
  • 경희대학교 부속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들 중 초진시 2도 이상의 측두하악장애증상을 보이는 환자 73명과 교정치료로 내원한 환자들중 부정교합을 보이나 측두하악장애가 0도인 환자 30명으로 총 103명의 상하악모형과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대상으로 수평피개, 수직피개, 개방교합, 반대교합, Curve of Spee의 깊이, 정중선 편위, 안모비대칭, 치면마모, 치료지수, 연령 및 성별분포 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측두하악장애군의 연령분포는 20대, 10대, 9세 이전의 순으로, 여성의 비율이 더 많았으며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2. 수평피개와 수직피개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p<0.05) 수평피개와 수직피개를 함께 고려한 6가지 분류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3. 전치부개방교합은 장애군에서 더 많았으나,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전치부 반대교합은 정상군에서 더 많았으나, 구치부 반대교합은 장애군에서 더 많았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5. Curve of Spee의 깊이는 측두하악장애군이 더 깊었으며,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6. 정중선편위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안모비대칭은 장애군에서 더 많았으며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7. 치면마모는 측두하악장애군이 정상군보다 많았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8. 치료지수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측두하악장애를 보이는 군은 전치부 개방교합, 구치부 반대교합, 깊은 Curve of Spee, 치면마모 및 안모 비대칭 등의 여러가지 부정교합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고로 이러한 부정교합의 양상들 보이는 환자들은 측두하악장애의 가능성이 많으므로 치료계획 수립시나 치료기간 동안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탄산음료의 법랑질 침식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NAMEL EROSION BY CARBONATED BEVERAGE)

  • 이경호;박수진;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44-151
    • /
    • 2005
  • 현재 시판중인 대부분의 음료가 산성을 띤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산성의 음료 음용의 증가는 우려할 만한 수준으로 치아 침식증을 촉진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비교적 일상적으로 쉽게 접하는 탄산음료 중 가장 보편화된 한 종을 택하여 치아와의 노출과 노출빈도에 따른 법랑질의 침식정도를 조사 분석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탈락 시기의 건전한 유치를 발거하여 두 개의 군, 즉 magnetic stirrer에 의해 진동(agitation)을 받은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뉘었고 나뉜 군들은 또 각각 콜라에의 노출빈도에 따라 3개의 군으로 나뉘었다. 각각의 군들은 신선한 콜라에 5분씩 노출되었으며 노출 전과 후에 증류수에 의해 세척되었고 시편의 노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시간에는 생리 식염수에 보관한 후, 인공적으로 침식을 유발시켰을 때 나타나는 양상을 표면미세경도측정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본 실험에 사용된 콜라의 산도는 평균 pH 2.5로서 치아 침식증을 유발하기에 충분한 수준이었다. 2. 콜라에 의한 침식유발 후의 법랑질 표면경도는 대조군에 비해 모든 시료에서 감소되었다(p<0.05). 침식유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법랑질 표면경도는 모든 실험군에서 초기에는 급격히 낮아지다가 이후에는 그 정도가 덜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3. 법랑질을 콜라에 노출시킨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법랑질 표면경도는 감소되었다. 4. 콜라에 진동(agitation)을 가하여 탄산가스를 증가시킨 결과 법랑질의 표면경도는 진동을 가하지 않은 군에 비해 감소되었다(p<0.05).

  • PDF

하악편측치아의 결손에 따른 악관절의 조직반응에 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TISSUE RESPONSE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N UNILATERAL MANDIBULAR EDENTULISM)

  • 백희선;김영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85-294
    • /
    • 1991
  • The human temporomandibular joint as a ginglymoarthrodial one has much in common with the other synovial joints of the body, but it does possess an unique charachteristic in that it must accomodate the various occlusal relations of dentition during an end point of closure. For that reason, the movement of the condyle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s susceptible to influences from the nature of occlusion. Undue loading to the temporomandibular joint can be applied on the occasion of premature contacts in centric relation, balancing side interferences, change of occlusal surfaces due to excessive attrition, loss of tooth. Such occlusal disharmonies in association with the systemic and emotional factors may give rise to the temporomandibular disorder. On the other hand, the changes of occlusal patterns in the growing body can also have an effect on the growth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hrough the alterations of functional stre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histopathologic response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n unilateral chewing on one side exclusively for 10 months. Three dogs showing normal masticatory function were chosen. One dog aged about 12 months was for control, two dogs for experimental specimens were about 12 and 18 months old respectively. For chewing on the left side only, unilateral lower right premolar and molar were extracted in two experimental specimens. And then three dogs were sacrificed 10 months later. Frontal histologic sectioning of joints were done for the observation of the effects of one-side chewing. 24 specimens from three dogs were obtained and fixed in 10% formalin and routinly processed with H-E staining for histologic examination. The light microscopic findings were interpretated as follows: 1. Experimental specimen 1 aged about 22 months: In comparison with control and right non-chewing side, the proliferative and hypertrophic zone were increased at the mesial and lateral part of left chewing side condyle. There was no change of the articular tissue of temporal bone. 2. Experimental specimen 2 aged about 28 months: The articular tissues of adult joint were observ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hewing and non-chewing side were not seen in the articular tissues of condyle and temporal bone.

  • PDF

마모가 심한 환자에서 수직 고경 증가를 동반하여 수복한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in a severe worn dentition with vertical dimension gaining: A case report)

  • 김지선;이지현;진민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32-139
    • /
    • 2016
  • 교합의 점진적인 마모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진행되는 정상적인 과정이다. 하지만 교합면의 마모가 과도하게 진행되어 수직 교합 고경이 감소하고 교합 평면이 붕괴된 경우에는 병적인 치수 상태, 교합 부조화, 기능적 장애 및 심미적인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치아를 수복할 공간이 부족하거나 교합 관계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수직 교합 고경의 변경이 필요하다. 수직 고경을 변화시킬 경우, 수복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신중한 진단이 필수적이며 1 - 3개월 간 임시 수복물을 이용하여 근 신경계의 적응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지 평가를 한 후 최종 수복을 하여야 한다. 본 증례의 환자는 다수 치아들의 심한 마모가 있는 78세 남성 환자로서 수직 교합 고경의 평가 후 상악 전치부의 심미적인 외형 확보 및 교합관계, 교합평면의 개선을 위하여 최소한의 수직교합고경의 거상을 통하여 임시치아를 제작, 약 12주간의 적응기간 후 최종수복물을 제작하였다. 최종 수복물 장착 후 1년여의 경과 관찰 결과 새로 형성한 교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특이할만한 합병증은 없었다. 이러한 일련의 치료과정을 통해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