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oth attrition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2초

측두하악장애환자의 구강습관에 따른 치아감정연령의 비교 (Comparison of Dental Ages Estimated according to Oral Habit for the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이원섭;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4호
    • /
    • pp.431-43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치아교모도에 의한 연령감정법을 이용하여 측두하악장애환자의 치아연령을 일반 정상인과 비교하고, 측두 하악장애환자의 구강습관이 치아교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단국대학교 치과병원 구강내과에 측두하악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 65명을 실험군으로 하고, 측두하악장애증상이 없는 정상인 22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문진 및 설문조사를 통해 대상자의 구강습관을 조사하였으며, 임상 및 방사선검사후 치아교모도를 조사하여 치아연령을 산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치아교모도의 차이 및 각각의 구강습관이 치아교모에 미치는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t-test 및 one-way ANOVA, multiple comparison t-test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의 치아교모도가 유의성 있게 증가했으며, 조사된 구강습관중 이갈이, 이악물기, 식사습관(단단하고 질긴 음식)순으로 치아교모도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측두하악장애환자의 연령감정시 증가된 치아교모도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실제 연령과의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 특히, 20-30대의 연령감정시에 측두하악장애환자의 경우 약 3.5세, 이중 특히 이갈이의 습관이 있는 경우에는 약 5.3세의 감정연령의 증가가 있을 수 있음을 감안해야 한다. 또한, 측두하악장애환자는 일반 정상인보다 치아 교모가 심한 경향이 있고 이는 치아와 턱관절에 더 많은 하중이 가해지고 있음을 의미하므로 측두하악장애환자의 치료시에는 반드시 이러한 요인을 제거하는 치료술식을 병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라북도 지역의 치과적 생체 연령추정 사례의 분석 (Analysis of Age Estimation Cases of Living Body Based on Dental aspect in Jeollabuk-do)

  • 엄애자;서봉직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2호
    • /
    • pp.167-176
    • /
    • 2008
  • 2000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 치과진료처 구강내과에 의뢰된 연령추정 121례를 분석 및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령추정 의뢰인의 성별 분포는 남성(58.7%)이 여성(41.3%)보다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50대 이상이 전체의 과반수(55.4%)를 차지하였다. 2. 호적 연령과 주장 연령의 차이는 5세 이상(34.1%) 차이가 가장 많았고, 이는 50대 이상이 대부분이었다. 3. 연령을 늘리려는 의뢰인(64.2%)이 줄이려는 의뢰인(35.8%)보다 많았으며, 이는 남녀 모두 유사하게 나타났다. 10세 미만과 20대는 나이를 줄이려는 경우가, 10대, 30대이상에서는 나이를 늘리려는 경우가 많았다. 4. 복지를 이유로 연령정정을 원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복지혜택과 관련해서는 50대 이상이, 직장과 관련해서는 40대와 50대가, 교우관계와 관련해서는 30대와 40대가, 가족 관계와 관련해서는 50대가, 취업과 관련해서는 10대와 20대가 가장 많았다. 5. 연령추정 방법은 20세 이상에서는 영구치의 교모도와 치수강 퇴축도를 사용하였으며, 10세 이상 20세 미만에서는 치근단공 폐쇄시기를, 10세 미만에서는 영구치 석회화 정도를 각각 사용하였다. 20세 이상에서 영구치 교모도와 치수강 퇴축도를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 영구치의 상실시기와 하악각의 증령적 변화를 이용하여 연령을 추정하였다. 6. 각 방법에 의해 추정된 연령의 77.7%는 의뢰인이 주장하는 연령에 근접하였으나, 22.3%는 호적상의 연령에 근접하여 의뢰인의 주장과 일치하지 않았다.

가족력을 동반한 부분적 무치증에 대한 증례보고 (OLIGODONTIA WITH FAMILIAL HISTORY -A case report-)

  • 정혜선;이제호;최형준;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79-185
    • /
    • 1997
  • The prevalence of congenital teeth missing is about 2-10% of population and it is more common in permanent dentition than primary dentition. In the patients with congenital missing teeth symptoms such as conical tooth, prolonged retention of primary tooth, tooth attrition. and deficient alveolar bone growth can be accompanied.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clinical observation of the congenital teeth missing brothers and their familial history are presented.

  • PDF

플라스틱 기어용 비표준 기어 설계프로그램의 개발 (Study on the Design Program for Non-standard Plastic Gear)

  • 허문범;함성훈;남원기;오세훈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4-59
    • /
    • 2011
  • Currently, plastic gear is widely used as parts of office equipment and industrial machines, because plastic substance has an advantage of light weight and possible to operate in oil-fewer conditions. However, under cyclic loadings, their occurred repetitive deformation due to weak tensile strength and bending stress rather than metal gear. Furthermore, they have a problem of attrition and breakage owing to frictional heat. For solving these problems, when plastic gear's opponents are metal gear, we should design that plastic gear's tooth be thick and metal gear's tooth be thin.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the program which developing tooth profile of non-standard gears automatically and calculating over-pin diameter for inspection after making gear.

치아 마모의 해석-논문 고찰 (The interpretation of tooth wear - literature review)

  • 황수정;서민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3호
    • /
    • pp.137-146
    • /
    • 2018
  • 치아 마모로 인해 치아 경조직은 없어지게 된다. 이것은 여러 가지 변수가 작용하는 과정이다. 오랜 시간 동안 치아 마모는 일상적인 임상 영역에서는 별다른 과심을 받지 못하였지만 최근 들어 관심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인간의 평균 수명이 계속 늘어가면서 치아의 중요도가 더 증가하기도 하였고 구강 위생이 보편화되고 치과 치료가 발전하면서 치아가 더욱 오랜 동안 구강 내에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치아 마모가 더 많은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치아 마모는 자연적으로 한방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개개인의 연령 감정을 하는데 자주 이용되었다. 당연하게도 치아 마모를 이용한 연령감정은 상대적으로 넓은 범주에서 이루어지고 그 정확성도 의심받고 있다. 고대에서 중세시대까지 치아 마모는 아주 심하게 있어왔다. 그래서 치아 마모는 매우 많은 지역에서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아직 이런 개개의 연구들이 통합적인 의미 도출로 이어지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연구들을 토대로 통합적인 치아 마모의 이해를 위한 세부적인 연구와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Stress Analysis of the Occlusal Force on the Mandibular First Premolar

  • Yoo, Oui-Sik;Chun, Keyoung-Jin;Yoo, Seung-Hyun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14-218
    • /
    • 2009
  • The occlusal force of the tooth leads to loss of tooth tissue owing to attrition and abrasion, and may cause abfraction and pathological change of the dentin. Thus, we developed finite element models, examined them by applying ordinary occlusal force, and analyzed the stress distribution. Specimens used were mandibular first premolars from 15 Korean males and 13 females and were made into finite element models from medical images that were obtained using a Micro-CT. We have found that the irregular feature of the tooth is not only useful to masticating and pronouncing as well known, but it is also suitable for protecting inner tissue by dispersing stress and delivering proper pressure to periodontal tissue to continue a physiological action. Also, image analysis could let us know the factor that is the cause of a disorder due to stress concentration in the cervical lin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support the field of dental treatment planning, operating procedure and clinical trial, and the advance of technical expertise to develop implants and dentures.

치아교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O TOOTH WEAR)

  • 박현배;한경수;진태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28-342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tooth wear. For this study, 78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76 dental students without any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were selected as the patients group and as the normal group, respectively. Preferred chewing side, Angle's classification, lateral guidance pattern, head and shoulder posture were observed clinically.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anterior temporalis and masseter muscle were recorded with $BioEMG^{(R)}$ and occlusal status were recorded with $T-Scan^{(R)}$. Wear facet area of each tooth was measured from working model of upper arch corresponding to the occlusal status from T-Scan. Wear facet area were measured with planimeter in $mm^2$. Total area were divided into incisal, canine, posterior tooth area. Anterior wearfacet area was incisor area plus canine area, and unilateral area was anterior area plus posterior area.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SAS statistical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otal werafacet area, and male subjects showed tendency to have larger area in the normal group but female subjects showed tendency vice versa.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related to preferred chewing side and Angle's classification, however some difference was observed by lateral guidance pattern. Anterior wear facet area in subjects of canine guidance was the largest in the three subgroups. 3. Subjects with head tilting to right side had larger posterior and total area, and subjects with higher shoulder in right side had larger canine and anterior area than any other subgrous. 4.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masseter muscle was more correlated with wear facet area than anterior temporalis muscle, and tooth contact number and forc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ear facet area, but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ooth attrition was age.

  • PDF

전반적인 치아 마모로 수직 고경이 상실된 항응고제 복용 고령 환자의 전악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the elderly patient on anticoagulant medication with loss of vertical dimension due to severely worn dentition)

  • 강철근;허성주;김성균;곽재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56-63
    • /
    • 2018
  • 과도한 치아의 마모는 치수의 병적변화, 교합평면의 붕괴 기능적 및 심미적 문제를 야기하고, 수직 고경의 감소를 야기할 수 있다. 수직고경을 회복시키는 전악 보철 수복을 할 때에는 주의 깊은 진단과 분석을 통해 적절한 수직 고경 거상량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는 77세 항응고제 복용중인 고령의 남성으로 전반적인 치아의 마모와 파절로 수직고경이 감소된 환자이다.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여, 수직고경을 새롭게 설정하였다. 전신질환 및 고령의 나이를 고려하여 단계적 치료과정을 통해 증가된 수직 고경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최종 고정성 보철물을 통해 완전 구강 회복술 시행하였으며, 이에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심한 치아 마모로 인해 수직 고경이 상실된 환자에서 국소 의치를 이용한 전악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using removable partial denture in patient with loss of vertical dimension due to worn dentition)

  • 심은영;이나영;강정경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47-353
    • /
    • 2018
  • 치아의 마모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진행되는 정상적인 과정이지만, 과도한 마모는 교합 부조화, 기능 및 심미적인 문제를 가져온다. 특히, 구치부 지지가 상실된 경우 전치부 치아의 마모와 수직 고경의 감소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측두 하악 관절 장애 및 비심미적인 안모 변화, 저작 효율 감소가 일어날 수 있다. 본 증례의 환자는 70세 남자 환자로 심한 치아의 마모로 인한 수직 고경 상실로 심미적인 회복을 위해 내원하였으며 구강 검사, 방사선 검사, 진단 모형 검사를 통해 수직 고경을 평가하고, 수직 고경 증가를 동반한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을 결정하였다. 10개월 간의 관찰 결과 안정적으로 교합이 유지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환자의 기능적, 심미적인 만족을 얻었다.

상아질형성부전증 남매의 치료개입 시기에 따른 상이한 장기 예후 : 증례 보고 (Comparison of Long-term Prognosis in Siblings with Dentinogenesis Imperfecta depending on the Timing of the Treatment Intervention : Case Reports)

  • 김기민;이제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37-244
    • /
    • 2021
  • 상아질형성부전증은 상아질 형성 이상이 초래되는 유전성 질환으로 상염색체 우성 형질을 따른다. 상아질형성부전증은 유치와 영구치 모두 이환되며, 다양한 치아 변색, 상아질 및 법랑질 파괴, 심한 치아마모 등의 임상소견을 보인다. 방사선학적으로 치아는 가느다란 치근과 둥그런 치과의 형태를 보이고 치수강은 적거나 폐쇄되었다. 상아질형성부전증의 치료는 추가적인 마모를 방지하고 수직고경 회복을 목표로 한다. 본 증례는 치아의 마모와 변색을 주소로 내원한 상아질형성부전증을 지닌 남매의 상이한 15년간의 장기 예후를 보고하고자 한다. 두 환자에서 치료개입 시기의 차이에 따라 상이한 치료과정을 볼 수 있다. 첫 번째 환아는 대부분의 본인 치아를 살렸으나, 두 번째 환아는 모든 치아를 발치하였다. 이는 상아질형성부전증의 조기 진단 및 치료방법 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