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nsillar hematoma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구인두 폐색을 유발한 자발성 편도선 혈종 치험 1예 (Spontaneous Tonsillar Hematoma Causing Oropharyngeal Obstruction)

  • 김영현;이종철;이형준;최정석;김보형;강성호;유명상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7-60
    • /
    • 2011
  • Spontaneous tonsillar bleeding is a rare condition in ENT unit. Almost reported cases have been related to infection of tonsils. Prior to introduction of antibiotics, spontaneous tonsillar bleeding was usually related to superficial capsular bleeding due to acute or chronic tonsillitis. The presented case is a 36-year old healthy man without history of acute, chronic tonsillitis, and coagulation disorder who complained of dyspnea and oropharyngeal foreign body sensation after vomitting. Examination revealed a reddish polypoid mass of the right tonsil. Furthermore, the mass pushed uvula and tongue base, caused nearly total obstruction of oropharynx. All rountine laboratory test results were within normal limits. Computed tomography (CT) showed low density mass of attached in upper pole of right tonsil without enhancement. We performed tonsillectomy including the reddish polypoid mass under general anesthesia. The pathology revealed lymphoepithelial tissue with reactive hyperplasia. This is the first reported tonsillar hematoma presenting as a large oropharyngeal mass which was caused by vomitting.

  • PDF

편도암 수술후 대흉근피판을 이용한 결손부위의 재건 (Reconstruction of the Defect after Resection of Tonsillar Carcinoma Using Pectoralis Major Myocutaneous Flap)

  • 최은창;이정준;홍원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1-46
    • /
    • 1995
  • 저자들은 14례의 구인두암례에서 원발병소를 절제한 후 그 결손을 대흉근피판을 이용하여 동시에 재건하였다. 합병증으로는 근피판의 전괴사가 1례, 부분괴사가 3례, 창상감염이 1례, 혈종 2례, 하악골수염 및 불유합이 각 1례, 공여부위의 혈종이 1례 있었다. 인두피부누공 3례는 피판의 전괴사 및 부분괴사의 3례이었으며 변연절제(debridement)시 인두피부누공을 만든 예이었다. 8례에서는 합병증이 없었으나 6례에서 총 12건의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대부분의 합병증은 변연절제를 제외하고는 이차적인 재건술식 없이 치유되었다. 편도주위의 결손은 재건을 필요로하는 면적은 많으나 그 부피가 작아 재건이 어려웠으며 경부피부 혹은 구강 등 타 부위보다 합병증이 많음을 경험하였으나 대흉근피판은 안전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재건방법이었으며 특히 구강과 경부가 통하는 경우에도 경동맥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이었다. 하지만 편도주위의 재건에는 피판이 필연적으로 접히게 되므로 대흉근피판의 부피가 큰 것이 단점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편도주위의 재건에 있어서는 대흉근의 두께 및 피하조직의 두께, 근피판의 적응, 디자인, 술기, 수술후 처치 등 선택에 보다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를 위하여 저자들이 사용하는 bilobular모양이 피판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한 방법으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