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fu

검색결과 326건 처리시간 0.031초

홍삼 추출물이 두부의 저장성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 on Storag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ofu)

  • 이정숙;김교남;장해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1497-1506
    • /
    • 2008
  • 홍삼 추출물을 첨가한 두부를 제조함에 있어 홍삼 추출물 첨가량이 두부의 품질과 저장성 그리고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건조 대두를 기준으로 홍삼 추출물을 $0.5{\sim}2%$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와 첨가하지 않은 두부의 물성, 색도, 관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두부의 texture는 견고성과 탄력성에서만 홍삼 추출물의 첨가량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으로 홍삼 추출물을 2% 첨가한 두부에서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고, 두부의 색도는 L, a, b값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color에 대한 기호도가 떨어지는 경향을 보여 주었으나 홍삼 특유의 맛이 유의적으로 감지되면서 전체적인 기호도는 통계상 유의적 차이가 보이지 않아 홍삼 추출물의 첨가가 소비자의 기호에 특별한 거부감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부를 $15^{\circ}C$에서 보관하면서 pH, 탁도 그리고 총 균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저장 초기에는 변화가 없다가 pH와 총 균수는 저장 4일부터, 탁도는 저장 6일부터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홍삼 추출물이 첨가된 두부가 홍삼 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두부보다 미생물 생육이 억제되어 두부의 저장성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ORAC assay를 이용한 두부의 항산화 활성은 첨가된 홍삼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antioxidant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ORACOH. assay에서 는 홍삼 추출물을 첨가한 두부 추출물이 홍삼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pro-oxidant 활성을 보여 주었다.

홍삼 추출물을 첨가한 연두부의 저장 중 품질 및 항산화 특성 (Quality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Soft Tofu Supplemented with Red Ginseng Extract during Storage)

  • 최구희;김규천;이경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14-420
    • /
    • 2010
  • 저장성, 영양성 및 생리적 기능성을 가지는 두부를 제조하기 위하여 생리적 기능성이 널리 알려진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여 압착 성형 공정 없는 연두부의 형태로 제조하여 홍삼 추출물 첨가 연두부의 저장기간에 따른 저장성, 이화학적, 항산화 활성 변화 및 관능적 평가를 측정하였다.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연두부 대조군의 pH 및 산도는 홍삼추출물 첨가 연두부와 큰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도 거의 없었다. 또한 일반세균수의 변화에 있어서도 대조군은 저장 10일차부터 약간의 일반세균이 발견되었으나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연두부는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균수 또는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홍삼 추출물의 함량이 높을수록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두부의 색도는 명도 및 적색도는 홍삼 추출물 첨가에 따라 약간 감소하였고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연두부의 조직감은 홍삼 추출물 첨가 유무에 크게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두부의 지질과산화 억제능 및 DPPH radical 소거능은 대조군보다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하였을 때 억제능이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색에 대한 편견때문에 0.20% 이상의 홍삼 추출물 첨가군에서는 다소 낮은 기호도를 보였으나 0.18% 첨가군까지는 대조군과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황(Curcuma aromatics Salab.) 추출물이 두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urmeric(Curcuma aromatica Salab.) on Shelf Life of Tofu)

  • 박경남;박나영;김대곤;박금순;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6-141
    • /
    • 2007
  • 강황 추출물 첨가 두부의 저장 중 품질 변화를 조사한 결과 $5^{\circ}C$에서는 품질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25^{\circ}C$에서 저장한 경우 강황 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pH는 높고 산도는 낮았으며, 총균수는 2-3 log cycle 적어 저장성 증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강황 추출물 첨가 두부의 저장 중 조직감은 저장 온도에 관계없이 대조구에 비하여 강황 추출물 첨가구의 hardness, choesiveness, springiness가 높게 나타났으며 첨가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 중 색상의 변화는 lightness의 경우 저장기간, 강황 추출물 첨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a값은 강황 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b값은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강황추출물 첨가 두부의 맛과 종합적 기호도는 대조구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조직감은 대조구보다 우수하였다.

유통기한이 경과된 포장두부의 저장온도에 따른 품질변화 (Changes in Quality of Expired Tofu During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 김수진;김세훈;방우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80-86
    • /
    • 2022
  • 본 연구는 시판 포장두부를 5, 13, 23, 30℃에 저장하면서 나타나는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여 두부의 유통기한 경과 후 섭취 가능 기간을 측정하여 소비기한 연장에 대한 미생물학적 안전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했다. 저장온도별(5, 13, 23℃) 두부의 pH 측정에 있어서 두부의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포장두부의 hardness는 온도가 높을수록, 또 저장기간이 증가될수록 급격히 낮아지는 부패 현상을 보였다. 저장온도에 따른 두부의 미생물 변화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일반세균수가 증가하였다. 5℃에 저장한 포장두부는 유통기한 경과 후 25일, 13℃에서는 7일, 23℃에서 1일 후 일반세균이 초기부패 수준인 106 log CFU/g이상 검출되었다. 그러나 두부를 5, 13, 23℃에 저장기간동안 대장균군은 음성으로 나타냈다. 포장두부를 5℃에서 저장했을 때 26일후 L 값의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으며, a, b 값은 저장 기간 동안 변화가 있었으나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13℃에서 8일, 23℃에서 3일간 저장하면서 L값은 낮아지고, a, b값은 증가하였다(P<0.05).

두부가 인체에 미치는 영양학적 고찰 (The Nutritional Aspect of Tofu)

  • 정문경;김성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77-184
    • /
    • 2016
  • 일반적으로 두부는 만드는 방법이나 두부의 성질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두부가 있다. 두부의 효능으로는 혈중 지질, 지단백, 콜레스테롤 등의 농도를 감소시켜 동맥경화와 뇌혈관을 깨끗하게 하여 심뇌혈관계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내 유용균의 증식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며 콜레스테롤 배설을 촉진시키고, 장 기능에 대한 생리적 효과와 식사 후 혈당 상승 억제와 인슐린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두부에는 칼슘이 풍부해 뼈 손상을 막아주고, 뼈 조직의 생성에 도움을 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다. 반면, 빈혈이 있는 사람의 경우 두부 섭취 시 주의해야 한다. 콩에 들어있는 phytic acid라는 물질은 아연 및 철분과 같은 무기물의 흡수를 저해하기 때문에 철 결핍성 빈혈 환자는 더 심한 철분 부족이라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섭취 시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건강식품으로 선호되고 있는 두부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천연 첨가제를 활용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포장된 두부의 보관수명 예측을 위한 수치모사 (Mathematical Simulation for the Prediction of the Shelf Life of Tofu Packaged in a Polyethylene Container)

  • 김재능;임병오;손태원;정귀영
    • 공업화학
    • /
    • 제9권6호
    • /
    • pp.889-893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포장된 두부의 보관수명을 예측하기 위한 수치모사가 수행되었다. 공기중의 산소가 포장재를 통과한 후 충진수와 두부로 확산하면서 동시에 미생물에 의해서 소모되는 현상에 대해 연구하였다. 수치모사 결과 두부 안에서보다 충진수 안에서 증가한 미생물의 수가 많았다. 따라서 포장된 두부의 보관수명은 두부자체의 미생물수 보다 충진수의 미생물수에 의해서 결정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포장재와 포장물의 물리적 성질중 포장재의 산소투과도, 충진수의 산소확산계수, 충진수의 초기 산소농도, 충진수의 깊이가 보관수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찰하였다.

  • PDF

바질 물추출물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Added with Basil Water Extracts)

  • 임정교;박인경;김순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4-150
    • /
    • 2004
  • 기능성 허브두부의 제조와 그 품질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11종류의 허브 중에서 맛과 향 및 항균력으로 선별한 바질 물추출물(BWE)을 첨가한 두부를 제조하고 그 품질 특성과 가식기간을 조사하였다. 제조 시 적정 가수량은 원료콩에 대하여 7배, BWE (100mg/ml)의 첨가농도는 20mg%, GDL의 농도는 0.3% 이었다. 이 조건으로 제조한 BWE 첨가두부의 색상은 L*값 78.11, a*값 0.78, b*값 19.10으로, 대조구의 85.14, -1.92 및 15.95와 비교하여 L* 값은 낮으나 a*, b*값은 높았으며 연한 연두빛 색상을 띠었다. 관능검사 결과 BWE 첨가두부는 대조구에 비하여 고소한 맛과 종합적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BWE 첨가두부의 가식기간을 조사하기 위하여 1$0^{\circ}C$에서 저장 중 pH, 산도 및 총균수를 조사하여 평가한 결과 대조구 두부는 4일, 첨가두부는 8일로 BWE 첨가로 가식기간이 4일정도 연장되었다.

Aspergillus niger CF-34로부터 분리한 두부 또는 두유비지 가용화 복합효소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Tofu-Residue Hydrolyzing Carbohydrase Isolated from Aspergillus niger CF-34)

  • 김강성;손헌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90-495
    • /
    • 1994
  • 두유 및 두부제조시 부생되는 비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Aspergillus niger CF-34를 배양하여 얻은 복합효소를 두유비지에 처리하여 가용화를 시도하였다. 두유비지 가용화를 위한 연구에서 두유비지의 일발성분과 식물함유 성분 조성을 분석하였고, 두유비지에 작용하는 복합효소액의 최적반응조건을 조사하여 산업적인 이용가능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유비지는 탄수화물과 단백질이 각각 건물량으로 46.74%, 32.77%로서 상당량의 영양원을 함유하였으며, 두유비지의 탄수화물중 식물함유의 구성은 건물량의 36.8%가 cellulose, 62.6%가 hemicellulose로 구성된 고중합체이었다. Aspergillus niger CF-34 배양액으로부터 얻은 복합효소는 pectinase, xylanase, PG-ase, CMCase, SFase등의 활성을 보였으며, 배양시간에 따른 효소생산 실험결과 배양 기관이 약 7일에 이르면 효소생산의 증가가 중지되어 최대 효소생산을 보였다. 조효소액의 최적반응 pH는 약 4.0, 온도는 $50^{\circ}C$였으며, 안정성 역시 활성도와 동일한 범위에서 유지되었다.

  • PDF

비파잎 분말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Added with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Powder)

  • 박인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21-527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prepared with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powder (LLP). Moisture, crude ash, carbohydrate,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s of Loquat leaf powder were 10.25, 6.72, 69.54, 8.23, and 5.26%, respectively. The yield rates, turbidity, and total acidity of tofu increased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added LLP, whereas pH level decreased. The L- and a-values of samples decreased as the amount of LLP increased, whereas b-value increased. With regard to textural characteristics, LLP addition increased hardness, chewiness, and brittleness, as well as reduced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In terms of overall acceptability, the most preferred tofu samples were the control and 0.3% LLP addition group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nsumer Acceptance of Tofu Incorporated with Yakong

  • Lee, Jun Ho;Han, Ji Yoon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2호
    • /
    • pp.99-104
    • /
    • 2009
  • Tofu has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people's daily diet in most of Asia and recently in North America due to several health-promoting functions, preventing and treating a number of chronic diseases such as cancer, coronary heart disease and osteoporos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yakong incorporation (0, 5, 10, and 15%, w/w) in preparation of firm tofu. Quality parameters such as pH, titratable, moisture content, color, and consumer preference were determined, and their correlations were analys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 titratable acidity, and moisture content due to different levels of yakong incorporation studied (p>0.05). A significant decrease in L$^{*}$ and b$^{*}$-values whereas significant increase in a$^{*}$-value was observed (p<0.05). Five percent yakong tofu received the most favorable mean scores with respect to color,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yakong incorporation was well correlated with some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s well as consumer p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