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bacco disease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29초

Role of Human papilloma virus Infection and Altered Methylation of Specific Genes in Esophageal Cancer

  • Mohiuddin, Mohammed Khaliq;Chava, Srinivas;Upendrum, Pavani;Latha, Madhavi;Zubeda, Syeda;Kumar, Ajith;Ahuja, Yog Raj;Hasan, Qurratulain;Mohan, Vasav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7호
    • /
    • pp.4187-4193
    • /
    • 2013
  • Background: Evaluation of Human papilloma virus (HPV) and its association with promoter methylation of candidate genes, p53 and Aurora A in esophage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forty-one esophageal tissue samples from different pathologies were evaluated for HPV infection by PCR, while the promoter methylation status of p53 and Aurora A was assessed by methylation-specific restriction based PCR assay.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MedCalc and MDR software. Results: Based on endoscopy and histopathology, samples were categorized: cancers (n=56), precancers (n=7), esophagitis (n=19) and normals (n=59). HPV infection was found to be less common in cancers (19.6%), whereas its prevalence was relatively high in precancers (71.4%), esophagitis (57.8%) and normals (45.7%). p53 promoter methylatio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ancer and normal tissues, whereas Aurora A promoter methylation demonstrated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disease (p=0.00016, OR:5.6452, 95%CI:2.18 to 14.6) when compared to normals. Aurora A methylation and HPV infection was found in a higher percentages of precancer (66.6%), esophagitis (54.5%) and normal (45.2%) when compared to cancers (14.2%). Conclusions: Aurora A promoter methylation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sophageal cancer, but the effect of HPV infection on this epigenetic alteration is not significant. However MDR analysis showed that the hypostatic effect of HPV was nullified when the cases had Aurora methylation and tobacco exposure. Further HPV sub-typing may give an insight into its reduced prevalence in esophageal cancer verses normal tissue. However, with the present data it is difficult to assign any significant role to HPV in the etiopathology of esophageal cancer.

수국에서 분리한 Cucumber mosaic virus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Cucumver mosaic virus Isolated from Hydrangea macrophylla for. otaksa (Sieb. et Zucc) Wils.)

  • 방주희;박선정;이금희;최장경;이상용
    • 식물병연구
    • /
    • 제7권1호
    • /
    • pp.1-7
    • /
    • 2001
  • 1998년 수원 근교에서 채집한 전형적인 모자이크 병징을 나타내는 수국(Hydragea macrophylla for. otaksa)으로부터 CMV를 분리하고, Hm-CMV라 명명하였다. 기주실험, 물리적 실험, 혈청학적 성질, RNA와 coat protein의 성질, RT-PCR 및 RAP-PCR 분석을 통하여 Hm-CMV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12종의 CMV 지표식물에서 실시한 기주반응실험의 결과, 지금까지 보고된 CMV 계통들의 반응과 특징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Hm-CMV의 물리적 성질은 내열성에서 6$0^{\circ}C$를 보여 기존 CMV들 보다 낮았다. 혈청학적으로 Hm-CMV는 Y-CMV와 융합하는 subgroup I CMV로 분석되었다. SDS-PAGE로부터에 Hm-CMV의 외피단백질은 28 kDa의 band가 확인되었으며, 4종의 게놈 RNA는 Y-CMV와 같은 분자량을 나타냈으나, 위성 RNA는 존재하지 않았다. 수국의 이병엽에서 분리한 dsRNA의 분석 결과도 Y-CMV와 같은 패턴을 보였다. Hm-CMV의 외피단백질유전자에 대한 RT-PCR 분석 결과, 예상된 분자크기의 DNA 증폭이 인정되었으며, PCR 산물을 이용한 EcoR I 및 Msp I을 처리한 결과는 subgroup I CMV의 특성을 나타냈다. 그런, RAP-PCR의 결과, Hm-CMV는 subgroup I내의 다른 계통들과 구분되었다.

  • PDF

대두 철분결합단백질 유전자 발현 형질전환 감자의 감자무름병 방어 증진효과 (Tolerance to Potato Soft Rot Disease in Transgenic Potato Expressing Soybean Ferritin Gene)

  • 배신철;여윤수;허성기;황덕주;변명옥;고승주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4호
    • /
    • pp.229-233
    • /
    • 2002
  • 식물의 항산화력을 증진하여 식물병원균 저항성 작물을 개발하고자, 철분 결합 단백질인 대두의 ferritin 유전자를 CaMV 35S와 hsr203J promoter에 연결하여 감자에 형질전환하였다. PCR및 Northern분석에 의한 형질전환 감자에 ferritin 유전자가 존재하는 것과 이들 유전자 식물체내에서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ferritin 유전자를 담배 유래 병원균 특이 발현promoter인 hsr203J와 연결하여 획득된 형질전환 감자 식물체는 감자역병균 접종 후 24시간대에서 전사체 발현량이 가장 많았으며 그 후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전자 도입이 확인된 형질전환체 감자괴경의 철분 함량은 CaMV 35S와 ferritin 유전자 도입 형질전환체가 2.5배, hsr203J promoter와 ferritin 유전자 도입 형질전환체가 1.5배 각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또한 이들 형질전환체는 감자 무름병균에 대한 저항성 증진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토마토 종자와 식물체로부터의 TMV, ToMV 및 CMV 검출 (Detection of TMV, ToMV, and CMV from Tomato Seeds and Plants)

  • 박경훈;차병진
    • 식물병연구
    • /
    • 제8권2호
    • /
    • pp.101-106
    • /
    • 2002
  • 시판중인 18품종의 토마토 종자에 대하여 TMV, ToMV, CMV의 오염률과 종자 전반률을 조사한 결과 TMV와 ToMV는 각각 9품종에서 오염이 확인되었으며, CMV는 3품종에서 바이러스 오염을 확인하였다. TMV는 3.8%로 가장 높은 오염률을 보였고, ToMV는 2.6%, CMV는 1.4%의 오염률을 보였다. 자연적인 종자 전반률을 조사한 결과, 공시한 9품종의 토마토종자에서 ToMV는 3품종에서 4.4%, CMV는 4품종에서 2.2%의 종자 전반률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TMV는 본실험에서는 종자 전반을 확인할 수 없었다. 1999년 10월부터 2000년 10월까지 충청북도 주요 토마토 재배지역에서 TMV, ToMV CMV의 지역별 바이러스 감염률과 병정별 감염률 및 생육시기에 따른 세 바이러스의 감염률을 조사한 결과, 각 지역의 토마토 포장에서는 잎말림, 괴저 및 왜화 등의 다양한 병징을 보였으며, 대부분의 포장에서 잎말림 증상이 관찰되었으며, 모자이크 증상과 누렁증상 등의 병징도 많이 관찰되었으며, 로꾸산마루 품종에서 다양한 병징이 관찰되었다. 지역별로는 옥산 지역의 로꾸산마루 포장과 가금지역의 꼬꼬 포장 및 노은지역의 로꾸산마루 포장에서 TMV와 ToMV 및 CMV의 감염률이 높았으며, ToMV의 감염률은 가금지역의 꼬꼬 포장에서 43.3%로 가장 높았으며, CMV의 감염률은 노은지역의 로꾸산마루 포장에서 40.0%로 다른 포장보다 높았다. 병징에 따른 바이러스의 감염률은 누렁증상을 보이는 병징에서 ToMV가 가장 높았고, 괴저 증상을 보이는 잎에서는 CMV가 가장 높았으며, 잎말림 과총생 및 얼룩무늬 등 대부분의 병정에서 ToMV의 감염을 확인하였고, TMV의 감염률은 낮았다. 생육단계별에 따른 바이러스 감염률을 조사한 결과 생육초기보다 생육중기와 후기가 바이러스의 오염률이 높았으며, 생육중기와 생육후기의 감염률은 차이가 없었다.

우리나라 토마토에 발생한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Tomato yellow leaf curl geminivirus)의 초간편 Virion Capture(VC)/PCR 진단법 (Convenient Virion Capture (VC)/PCR for Tomato yellow leaf curl geminivirus Occurring on Tomato in Korea)

  • 조점덕;김태성;김주희;최국선;정봉남;최홍수;김정수
    • 식물병연구
    • /
    • 제14권3호
    • /
    • pp.233-237
    • /
    • 2008
  • 국내에서 최근 발견된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TYLCV)가 토마토에 발생하여 큰 피해가 발생하였다. TYLCV의 피해 발생 예방을 위하여 농업현장의 연구지도연구기관에서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조기 정밀 유전자 진단기술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TYLCV에 대해 특이적 프라이머를 제작하고 특별한 핵산분리 기술이나 도구가 필요 없는 빠르고 정확하며 경제적인 VC/PCR 진단법을 이용한 유전자 진단법을 개발하였다. TYLCV 진단용 프라이머를 22개 제작하여 감염주 및 건전 토마토의 전체 핵산을 이용해 특이성 검정으로 PCR용으로 9점을 선발하였고, VC/PCR 진단법 용으로 9종을 선발하였다. 이러한 두 가지 진단법에 모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6종을 선발한 후 TLCV로 알려진 다른 Geminivirus와의 특이성 검정결과로 총 4종이 최종 선발하였다. 이들 중 Deng(540,541) 프라이머는 Ceminivirus를 진단할 수 있는 degenerate 프라이머로 VC/PCR진단법이 개발 되었다.

인삼재배 분야의 과거 20년 연구 (Research on Ginseng Production During the Past 20 years)

  • 밝훈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472-500
    • /
    • 1996
  • Researches on mineral nutrition, physiology and phyrsiological diseases, . cultivaction methods. brceding. pest control quality management and extension during 1976-1995 in Korea were reviewed Review in brceding and pest control was restricted to the researches directely related to cultivaction. Mineral nulrient up take. partion and varicos factors such as top dreasing. Light intersity etc. and interrelationship between minerals were investigated. Top dressing was not effective due to low minera1 requorement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n tempelature light and water were well elucidated and applied to assess traditional cultivation method and its inovation. Photosyrnthetic pigments. light harvest proteins and activity of related enzymes were studied. In nitrogen metabolism arginine, praline, ammonium, threonine appeared to have important role in re growth of shoot Saponin metabolism was studied in relation to growth and new ginsenosides were found but physiological role of saponin was not clearly elucidated yet Endogenous growth regulators were reported and various erogenous growth regulators were studied for growth stimulation. short stem and seed pruning etc. Various physiological diseases were investigated for cause and control measures were established. Water culture was little studied Forest culture was studied but not retched the recommendable stage Drip irrigation straw mulching. seasonal shading and soil preparation method including soil fertility adjustment were established for practical application. Shading materials completely changed to polyethylene net and materials of polymers The research on ginseng cultivation in paddy field opened the way to establish the permanent ginseng cultivation plantation Ginseng harvester and seeder were developed in the late 1950s. Transplanted and many other machines were developed in the early 1990s. In ginseng breeding only pure line selection was of practical significance several verities were at the stage of seed propagation at ginseng plantations. Mutation breeding (${\gamma}$-ray. X-ray chemicals) was not successful. The research on plantlet formation through tissue culture was a little progressed but still far behind to vegetative propagation. Disease control research was concentrated in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athogans. their ecological charactelistics and biological control and soil humigation. Potato root rot nematodes was found and control method was established. Insect and small animal control research was greatly progresses in identification, ecological investigation, and ecological and physical control. Weed control was less important due to the development of mulching method of ridge and ditch. Quality factors of raw ginseng in relation to red ginseng process were extensively studied. Traditional quality measures were elucidated in accordance with modern analytical chemistry resulting in the importance of peptides in the centrat part rather than ginsenosides For large root production growth promoting rootzone micrcorganisms (PGPRM) were isolated and active compounds were identified. Field test on PGPRM was on going. Varictus methods formality improvement through cultivation were developed. Management research of ginseng production was rare Extension was active throuch official and private organizations and through workshop for the extension specialists, and direct lectures to grower's. Extension services made the researcher to understand the existing problems at grower's fields. Research environment for ginseng production was in prime time only for three years when Korea Ginseng Research Institute was established then gradually aggravated.

  • PDF

한국 성인에서 일반담배 또는 가열 전자담배를 이용한 흡연 형태와 폐 기능 검사 결과와의 관련성: 2014-2019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The Association between Pulmonary Function Test Result and Combustible Cigarette Smoking or Electrical Cigarette Smoking in Korean Adults : Using the 2014-201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 김일환;이일현;신새론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7-39
    • /
    • 2024
  • Purpose : Smoking is a major factor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but the effect of electrical cigarette smoking on COPD development is still uncertain.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functions of airways and lungs exposed to combustible cigarettes and electrical cigarettes based on the pulmonary function test (PFT) result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Methods : This study used data from 8,942 participants with PFT results out of 47,309 total subjects from the 6th to 8th Korean NHANES (2014-2015, 2016-2018, and 2019, respectively). Individuals with diseases such as cancer, ex-smokers, and dual tobacco users were excluded. The PFT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PD diagnostic criteria.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variables, a complex sample generalized linear model ANOVA tes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PFT results and combustible smoker or electrical cigarette user groups. Results : In an analysis based on the obstructive ventilatory disorders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FEV1]/forced vital capacity[FVC]<.7), combustible cigarette smokers showed a 3.46 times higher risk of COPD compared to non-smokers, while electrical cigarette smokers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COPD-related risks compared to non-smokers. FEV1 showed a negative relation with combustible cigarette smokers as reported elsewhere (B=-.07, p<.001). FEV1/FVC was negatively related to both combustible cigarette smokers (B=-.03, p<.001) and electrical cigarette smokers (B=-.02, p<.001). Conclusion : FEV1/FVC decreases were observed in the long-term exposure to both combustible and electrical cigarettes. The lower FEV1 in the combustible cigarette group implies the worsening of the severity of COPD, suggesting more damage to the airways and lungs in the short term. Therefore, the temporary electrical cigarettes use for the transition period in order to smoking cessation potentially aids to reduce the harmful effect of combustible cigarettes in COPD development.

2010년 우리나라 주요 작물 바이러스병 발생 상황 (Occurrence of Virus Diseases on Major Crops in 2010)

  • 김정수;이수헌;최홍수;김미경;곽해련;남문;김정선;최국선;조점덕;조인숙;정봉남
    • 식물병연구
    • /
    • 제17권3호
    • /
    • pp.334-341
    • /
    • 2011
  • 2010년 농업현장의 농업인 등이 임상진단 요청한 시료 중 채소류는 고추 등 8개 작물이었으며 이중 토마토가 31.8%, 수박 21.4%, 고추 19.5%로 바이러스병으로 인한 피해가 많은 작물이었다. 과수류는 사과 등 4작물이었으며, 포도가 63.6%, 사과 33.0%로서 임상진단 요청시료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화훼류는 국화 등 6개 작물이었으며, 튜립 60.0%, 선인장이 20.0%로 바이러스 피해가 발생하고 있었다. 바이러스 감염시료를 분석한 결과 고추와 토마토는 CMV, BBWV2 등 6종의 바이러스가 감염되었으며, 수박은 MNSV, CMV 등 5종의 바이러스가 감염되었다. 포도는 GFkV 등 6종의 바이러스가 감염되었다. 바이러스 종류별 감염은 CMV가 8종의 채소류 중 6종의 채소류와 튜립에 감염되었다. 2010년 농업현장에서 임상진단한 시료에 감염된 바이러스는 32종이었으며, 바이로이드는 4종이었다.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TYLCV)는 2010년 전북 부안 등 6개 도 18개 시 군에 신규로 발생되어 2008년 처음 발생된 이후 총 58개 시 군으로 확산되었다. 토마토원형반점바이러스(TSWV)는 2010년 전북진안, 제주도의 제주 지역에서 신규로 발생하였으며, 2004년 안양 관양동 지역에 대 발생한 이후 25개 시 군에 확산되었으나, 경북 및 충북 지역에서는 현재까지 발생하지 않았다. 토마토덤불위축바이러스(TBSV)는 2010년 경남진주 지역에 신규로 발생하여 2004년 경남 사천지역에 처음 발생한 이후 경남 충북 지역의 5개 시 군에 발생 하였다.

토마토, 고추의 생육촉진 및 병 저항성 의 농업적 활용을 위한 토착 Bacillus subtilis의 생물활성 평가 (Evaluation of Bacillus subtilis Native Strains for Plant Growth Promotion and Induced Systemic Resistance in Tomato and Red-pepper)

  • 박진우;샤마라오 쟈하기르달;조영은;박경수;이서현;박경석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07-414
    • /
    • 2010
  • 한국의 여러 지역에서 수집 분리 동정한 Bacillus subtilis의 토마토, 고추에 대한생육촉진 및 병 저항성 활성을 평가하였다. 선발된 B. subtillis JE 21-1 와 JE8-1 균주는 토마토 및 고추의 생육을 크게 증진 시켰다. B. subtillis JE21 균주 처리는 무처리 혹은 0.1 mm BTH 처리와 비교하여 고추와 토마토의 초장, 잎의 크기 등 생육을 촉진하고 고추 탄저병의 발생을 억제시켰다. ES2-1 균주는 고추 근권에 정착력이 우수하며 $1.2{\times}10^5cfu/g$ root의 밀도를 나타내었다. 생육촉진은 과실의 크기와 무게로 평가하였는데 JE9-4, ES2-2 균주를 처리하였을 때 과실크기가 향상되었고, JE 3-6, ES4-2, ES2-2 및 JE 21-2를 처리하였을 때 고추과실의 무게가 높았다. PR1a::GUS 유전자 함유 담배(Xanthi nc)에 선발된 바실러스균을 선 정착시키고 무름병균인 Pectobacterium carotovornm SCC를 접종하여 병 저항성 발현을 조사한 결과 JE9-4의 PRI::GUS 발현량이 가장 많았다.

Helicobacter pylori 감염 소아에서 위점막 면역반응 (Gastric mucosal immune response of Helicobacter pylori-infected children)

  • 염혜원;서정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5호
    • /
    • pp.492-499
    • /
    • 2008
  • 목 적 : H. pylori의 감염은 세균의 병독 인자, 숙주 인자, 환경 인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다양한 위장관 병변을 일으킨다. H. pylori의 병리 기전으로 지금까지는 주로 세균의 병독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최근에는 숙주의 위점막 면역반응이 주목을 받고 있다. 소아는 술, 담배, 약물과 같은 환경 인자의 영향이 적어 연구에 적합한 대상이며 감염 초기를 반영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아에서 위점막 면역반응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다. 이에 H. pylori 감염 소아에서 위점막 림프구를 분석하여 소아에서 H. pylori 감염으로 인한 국소 면역반응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H. pylori 양성 소화궤양군 10명, H. pylori 양성 위염군 15명, H. pylori 음성 대조군 20명에서 얻은 위전정부 생검조직에서 hematoxylin-eosin 염색과 modified Giemsa 염색을 시행하여 개정된 시드니 체계에 따라 위염의 정도를 점수화하였다. 위점막에서 림프구 면역표현형을 알기 위해 CD3, CD4, CD8 T세포와 CD20 B세포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으며 점막 고유층에서는 400배 고배율 현미경 하에서 $0.0625m^2$ 당 양성 림프구 수를 기록하였고, 상피세포 내에서는 100개 상피세포 당 양성 림프구 수를 기록하였다. 결 과 : 림프구 침윤은 점막 고유층에서 상피세포 내보다 확연히 많았다. 점막 고유층에서 H. pylori 양성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CD3, CD4, CD8 T세포와 CD20 B세포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1) H. pylori 양성 소화궤양군은 위염군과 달리 대조군에 비해 CD8 T세포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한편, 상피세포 내에서는 H. pylori 양성 소화궤양군과 위염군 모두 대조군에 비해 CD4 T세포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H. pylori의 밀도, 다핵형 중성구의 활동성, 만성 염증 정도와 림프구 수는 점막 고유층에서 상피세포 내보다 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 H. pylori에 감염된 소아의 국소 면역반응은 주로 위점막 고유층에서 일어나며 T세포와 B세포가 함께 관여하였다. H. pylori 양성 소화궤양군에서 점막 고유층의 CD8 T세포가 유의하게 증가하여 임상질환과 점막면역의 연관성을 추정할 수 있었다. 향후 H. pylori 감염에서 국소 면역반응으로 야기되는 점막 손상, 연령과 인종에 따른 차이, 임상질환과의 연관성 등에 대하여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