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e intervals

검색결과 2,136건 처리시간 0.024초

알코올성 간 및 장 손상 마우스모델에서 홍국쌀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Red Yeast Rice (Monascus purpureus) Extract Prevents Binge Alcohol Consumption-induced Leaky Gut and Liver Injury in Mice)

  • 권기석;김동하;서현주;조영은;이중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83-190
    • /
    • 2023
  • Red rice Yeasts는 홍국 또는 붉은 코지로 불리며 오래전부터 아시아에서 기능성 식품 친 전통의학에서 사용되고 있다. 홍국쌀에는 여러가지 생리 활성 물질을 포함하여 기능적인 2차대사산물과 6가지 유형의 색소를 생성한다. 간 질환의 주요한 원인인 알코올로 인한 알코올성 간 질환(ALD)은 단순 지방증 또는 염증으로 섬유증 및 간경변에 이르기까지 다양할 수 있으며, 장 누수 및 전신 내독소혈증을 유발하여 장장벽을 파괴하고 장내 미생물 변화를 증가시킨다. 본 연구는 홍국쌀(Monascus purpureus; RYR) 에탄올 추출물이 과량의 에탄올로 유발된 간 및 장 손상 마우스모델에서 간 및 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RYR 추출물을 10일 동안 200 mg/kg 체중/일의 농도로 C57/BL/6N 마우스에 경구 투여한 후 과량의 알코올 (5g/kg/용량)을 12시간 간격으로 3회 처리하였다. 과량의 알코올 노출은 혈장의 내독소, AST 및 ALT 활성과 간 트리글리세리드 수치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지만 RYR 처리는 이들 수치를 감소시켰다. 또한, RYR 전처리는 과량의 알코올 유발 장누수 및 간 손상에서 알코올 유발 산화 인자 단백질 및 세포사멸 인자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RYR이 알코올로 인한 급성 장누수 및 간 손상을 예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서울지역 장기간 강수와 미세먼지의 특성 분석에 기반한 미세먼지 세정효과 (Scavenging Efficiency Based on Long-Term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and Particulate Matters in Seoul, Korea)

  • 한수지;엄준식
    • 대기
    • /
    • 제33권4호
    • /
    • pp.367-385
    • /
    • 2023
  • The variabilities of precipitation and particulate matters (i.e., PM10 and PM2.5) and the scavenging efficiency of PMs by precipitation were quantified using long-term measurements in Seoul, Korea. The 21 years (2001~2021) measurements of precipitation and PM10 mass concentrations, and the 7 years (2015~2021) of PM2.5 mass concentrations were us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for each period (i.e., year, season, and month) to identify the long-term variabilities of PMs and precipitation. PM10 and PM2.5 decreased annually and the decreasing rate of PM10 was greater than PM2.5. The precipitation intensity did not show notable variation, whereas the annual precipitation amount showed a decreasing trend. The summer precipitation amount contributed 61.10% to the annual precipitation amount. The scavenging efficiency by precipitation was analyzed based on precipitation events separated by 2-hour time intervals between hourly precipitation data for 7 years. The scavenging efficiencies of PM10 and PM2.5 were quantified as a function of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i.e., precipitation intensity, amount, and duration). The calculated average scavenging efficiency of PM10 (PM2.5) was 39.59% (35.51%). PM10 and PM2.5 were not always simultaneously scavenged due to precipitation events. Precipitation events that simultaneously scavenged PM10 and PM2.5 contributed 42.24% of all events, with average scavenging efficiency of 42.93% and 43.39%. The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i.e., precipitation intensity, precipitation amount, and precipitation duration) quantified in these events were 2.42 mm hr-1, 15.44 mm, and 5.51 hours. This result corresponds to 145% (349%; 224%) of precipitation intensity (amount; duration) for the precipitation events that do not simultaneously scavenge PM10 and PM2.5.

모음 스펙트럼에 기반한 전후 비자음 조음위치 판별 (Classification of nasal places of articulation based on the spectra of adjacent vowels)

  • 윤지현;성철재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5권1호
    • /
    • pp.25-3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비음의 조음위치 변별을 위한 지표로서 모음 음향 특성의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비음에 인접한 /ㅏ/ 모음 시료를 대용량 한국어 자연발화 말소리 자료에서 추출하여 모음 구간의 25%, 50%, 75% 시점에서 음향 매개변수를 측정하였다. 이 스펙트럼 및 지속시간 변수를 이용하여 판별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행 또는 후행 비자음의 조음위치 분류정확도를 추정하였다. 또한 조음위치 공조음(coarticulation)의 관점에서 순행적 공조음과 역행적 공조음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측정 대상 모음에 비음이 선행하는 경우와 후행하는 경우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전후 비자음의 조음위치 분류정확도는 약 50%-60%로 나타났다. 모음의 음향 매개변수 측정값만으로 비음의 조음위치를 예측·분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공조음 정도가 가장 약할 것으로 예상되는 모음 정중 구간에서 측정된 음향 변수만으로도 위와 같은 정확도를 얻었다는 점에서 비음 구간의 분석결과와 함께 모음 측정치를 활용함으로써 비음 조음위치 인식률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측정 대상 모음에 선행 또는 후행하는 비음 조건 간에 비교하였을 때, 후행 비음 조음위치의 분류정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역행적 조음위치 공조음의 영향이 더 클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저투수성 지반의 전단강도 증가를 위한 동전기 주입 기법의 적용성 (Application of Electrokinetic Injection Method for Increasing Shear Strength of Low Permeable Soil)

  • 김수삼;한상재;김기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5-1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점토질 지반의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일련의 동전기 현상을 이용한 주입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실내 Bench scale 실험을 실시하여 적용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확산의 영향에 의한 지반개량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실험 종료 후 5일 간격으로 25일 동안 데인 실험을 실시하여 강도증진효과를 파악하였으며, 처리기간에 따른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5일 간격(5, 10, 15, 20, 25)으로 처리기간을 설정한 후 동전기 주입 실험을 실시하였다. 주입제 종류에 따른 실험결과, 초기 강도치와 비교하여 약 $2\sim7$배 정도의 강도증진효과가 발생하였으며, 특히 양극에 규산나트륨을 주입하고 음극에 인산을 주입한 경우 약 7배 정도의 강도증진효과가 발생하였다. 또한 확산과 함수비 감소에 따른 강도값을 분석해본 결과 시간경과에 따라 강도 값이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는 양상을 띠었으며, 함수비 감소에 의한 강도 증가치 보다 동전기 주입과 확산에 의한 영향으로 발생되는 강도증가치가 약 $700\sim1000%$ 높게 나타났다. 처리기간에 따른 실험결과, 처리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동전기 주입에 의한 강도증진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함수비 감소에 의한 강도증가치보다 대략 $3\sim4$배 정도 높게 나타남을 파악할 수 있었다.

Incidence of postoperative pain after using single continuous, single reciprocating, and full sequence continuous rotary file system: a 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trial

  • Umesh Kumar;Pragnesh Parmar;Ruchi Vashisht;Namita Tandon;Charan Kamal Kaur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3권2호
    • /
    • pp.91-99
    • /
    • 2023
  • Background: Extrusion of debris is a major factor that results in postoperative pain during root canal treatment with various instruments and instrumentation techniques. Therefore, instrumentation techniques that extrude minimal debris into the periapical area while reducing pain are desirabl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pain and intake of analgesic medication (frequency and quantity) after endodontic treatment of mandibular posterior teeth using two single files and full-sequence continuous rotary systems with different kinematic motions. Methods: Thirty-five of 105 patients were assigned equally 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instrumentation system used: ProTaper Next (PN) X2, 25/06 (Dentsply, Maillefer, Ballaigues, Switzerland), One Shape (OS), #0.25/06 (Micro Mega, Besancon, France), and Wave One Gold (WG), Red - #0.25, 0.07 (Dentsply, Maillefer, Ballaigues, Switzerland). Five specialis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design; each professional prepared 21 teeth, and randomly selected 7 per instrument system. The VAS sheet ranging from 0 to 10 was used to record the initial and postoperative pains at 24, 48, and 72 h, and 7th day after single visit endodontic treatment in mandibular premolars and molars with a diagnosis of asymptomatic irreversible pulpitis with or without apical periodontitis. Postoperatively, an analgesic, ibuprofen 400 mg was administered for intolerable pain at a dose of 1 tablet for 6 h. The patients were asked over the telephone regarding postoperative pain at intervals of 24, 48, and 72 h, and 7th day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Resul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PN, OS, and WG systems (P > 0.05) with regard to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pain at any of the four time points assessed. Conclusion: The intensity of postoperative pain, frequency, and analgesic intake were similar across all three types of instrument systems; however, the reciprocating single file (WG) was associated with less postoperative pain than the full sequence continuous rotary file.

Orthodontic pain control following arch wire placement; a comparison between pre-emptive tenoxicam and chewing gum: a randomized clinical trial

  • Basam, Lakshman Chowdary;Singaraju, Gowri Sankar;Obili, Sobitha;Keerthipati, Thejasree;Basam, Ram Chowdary;Prasad, Mandava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2권2호
    • /
    • pp.107-116
    • /
    • 2022
  • Background: Pain during fixed orthodontic treatment can have a detrimental effect on patient treatment compliance. To overcome this, there is a definite need to establish the best pain-relieving methods suitable for orthodontic patients in terms of efficacy and u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chewing gum and pre-emptive tenoxicam on pain after initial archwire placement and to evaluate the pain perceptions of orthodontic patients in the two groups while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at specific time intervals. Methods: Forty-two patients were selected and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chewing gum) and group B (pre-emptive tenoxicam). Pain perception was documented by patients immediately; at 4 h; at bedtime on the day of archwire placement; the next morning; at 24 h; and at bedtime on the 2nd, 3rd, and 7th day after the initial archwire placement. Pain scores were noted during fitting of the posterior teeth, biting, and chewing using a visual analog scale. The data obtained were subjected to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Group A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pain until the next morning while fitting the posterior teeth, biting, and chewing [36.2, 52.0, 33.4, respectively]], followed by a gradual decrease by the 7th day. Group B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pain at bedtime on biting, with a peak value of 47.5. Pain on chewing, fitting posterior teeth, peaked the morning of the next day (100.0, 45.0). The Freidman tes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a p-value of < 0.01. Higher pain scores were observed while chewing and biting compared with that while fitting the posterior teeth in both groups. The overall comparison of pain control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Chewing gum was not inferior to pre-emptive tenoxicam. Thus, chewing gum is a non-pharmacological alternative to analgesics for orthodontic pain control that eliminates the chance of adverse reactions and can be used in the absence of adult observation.

스마트 폰 사용에 따른 경추부 근육의 생체역학성 (Bio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ervical Muscles Depending on Using of a Smartphone)

  • 김용우;김맹규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3호
    • /
    • pp.543-551
    • /
    • 2016
  • 본 연구는 스마트 폰을 사용(≥ 60분/일)하는 건강한 20대 남성 50명을 대상으로 두부의 움직임에 직접 관여하는 경추부 근육(두판상근, 흉쇄유돌근, 상부승모근)에 연부조직 측정기 Myoton을 이용하여 스마트 폰 사용정도와 경추부 근육의 기계적 속성의 관련성을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스마트 폰 사용정도는 전용의 중독 척도설문지를 이용하였다. 경추부 근육의 기계적 속성은 Myoton을 이용하여 근 긴장도(frequency), 동강성(stiffness), 점탄성(decrement), 근변형률(creep) 및 회복시간(relaxation)의 반영지표를 각각 산출하였다. 스마트 폰 사용에 의한 중독 점수와 경추부 근육의 기계적 속성을 반영하는 각 지표와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기계적 속성을 반영한 모든 parameters의 변동계수는 각각 2% 미만이었으며, 측정자 신뢰도인 급내상관계수 역시 높은 신뢰성이 도출되었다(ICC>.9, p<.01). 스마트 폰 중독점수는 상부승모근의 근 긴장도(r=.353, p<.05)와 동강성(r=.346, p<.05), 흉쇄유돌근의 점탄성(r=-.284, p<.05)과 근 변형률(r=.288, p<.05)과의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고, 특히 두부 통증과 관련된 두판상근의 근 긴장도(r=-.368, p<.01), 점탄성(r=-.405, p<.01), 동강성(r=-.424, p<.01)과의 높은 상관계수로 스마트 폰 과사용과 밀접한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젊은 남성들에 있어서 스마트 폰 과사용은 경추부 근 손상과 통증 및 두통에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며, Myoton은 경추부 근육 성질을 예측 및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기기임을 알 수 있었다.

Lorenz 시스템의 역학 모델과 자료기반 인공지능 모델의 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Dynamical Model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of the Lorenz System)

  • 김영호;임나경;김민우;정재희;정은서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8권4호
    • /
    • pp.133-142
    • /
    • 2023
  • 이 논문에서는 RNN (Recurrent Neural Networks)-LSTM (Long Short-Term Memory) 을 적용하여 Lorenz 시스템을 예측하는 자료 기반 인공지능 모델을 구축하고, 이 모델이 미분방정식을 차분화하여 해를 구하는 역학 모델을 대체할 수 있는지 가능성을 진단하였다. 구축된 자료기반 모델이 초기 조건의 작은 교란이 근본적으로 다른 결과를 만들어내는 Lorenz 시스템의 카오스적인 특성을 반영한다는 것과, 시스템의 안정적인 두 개의 닻을 중심으로 운동하면서 전이 과정을 반복하는 특성, "결정론적 불규칙 흐름"의 특성, 분기 현상을 모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적분 시간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전산자원을 절감할 수 있는 자료기반 모델의 장점을 보였다. 향후 자료기반 모델의 정교화와 자료기반 모델을 위한 자료동화 기법의 연구를 통해 자료기반 인공지능 모델의 활용성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비래해충 발생기간 중국 발원지 바람 및 한반도 유입 궤적 분석 (Analysis of Upper- and Lower-level Wind and Trajectory in and from China During the P eriod of Occurrence of Migratory Insect Pests of South Korea)

  • 강정혁;이승재;백주열;최낙중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15-426
    • /
    • 2023
  • 본 연구는 수치모델 바람 자료를 통해서, 중국 비래해충 발원지의 기압별 분포와 바람장미도를 확인하여 풍향과 풍속을 분석하였다. 사용한 수치모델은 Land-Atmosphere Modeling Package (LAMP) - WRF 자료이며, 시공간 해상도는 1시간 간격의 약 20 km 수평해상도 자료이다. 2021년도에 벼멸구와 애멸구가 동시에 관찰된 예찰일인 7월 16일을 대상으로 하였다. 예찰일을 포함하는 7월 8일부터 7월 17일까지 발원지와 우리나라에 850 hPa부터 925 hPa에 이르는 하층대기에 제트 기류가 발생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LAMP 바람의 동서, 남북, 연직 성분 자료를 이용하여 풍속을 분석하였다. 바람의 연직 분포결과 비래해충 발생 시기가 될 때 바람이 비래해충 유입에 유리하게 바뀌는 것이 확인되었다. 바람장미도의 분석 결과, 우리나라와 가까운 지점에서 바람의 약 30% 이상이 제트 기류였고, 다섯 지점의 제트 기류의 풍향은 상층보다 하층에서 대부분 우리나라와 일본으로 향하고 있었으며, HYSPLIT의 역궤적 추적을 통해서도 하층 제트가 비래해충의 국내 유입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이 되었다. 이 연구는 원하는 지점에서의 하층 제트의 풍속과 풍향을 비래해충 발생 시기와 비발생 시기를 비교 분석한 것으로, 국내로 유입되는 비래해충의 시기와 바람 통로에 대한 수평 및 연직적 연관 분석에 도움을 줄 것이다. 국내 144개 시군 농업기술센터에서 운영 중인 공중 포충망 설치 지역에 대한 검토와 평가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두 가지 서로 다른 실내 복도에서 3, 6, 10, 17 GHz의 전파 특성 측정 및 비교 분석 (Measurement and Comparative Analysis of Propagation Characteristics in 3, 6, 10, and 17 GHz in Two Different Indoor Corridors)

  • 이성훈;조병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031-1040
    • /
    • 2023
  • 서로 다른 두 가지 실내 복도의 D2 건물과 E2 건물 2층에서 3, 6, 10, 17 GHz 주파수 대역에 대한 가시선(: Line of sight, LOS) 경로의 전파 특성을 측정 및 분석하였다. 송신 안테나를 고정한 상태에서 수신 안테나가 3 m에서 30 m까지 0.5 m 간격으로 측정한다. 두 실내 복도에 대한 분석은 기본 전송 손실, RMS(: Root mean square) 지연 확산 및 K-인자(: K-factor)를 적용하여 비교하였다. 기본 전송 손실은 FI(: Floating intercept) 경로 손실 모델의 손실 계수에서 D2 건물 보다 E2 건물의 실내 복도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시간 영역에서 RMS 지연 확산이 E2 건물의 실내 복도에서 더 크다. 그러나 D2 건물의 실내 복도에서는 3, 6, 17 GHz 대역에서 더 높은 K-인자값을 나타냈고, 10 GHz 대역에서는 전파 전달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실내 복도는 동일한 크기에도 불구하고 내부 구조와 재질이 다르기 때문에 전파 특성의 변화가 많다. 결과는 다양한 실내 환경에 대한 ITU-R 기고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