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arella polyphylla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Structure Determination of a New Lupane-type Triterpene, Tiarellic Acid, Isolated from Tiarella polyphylla

  • Lee, Hyeong-Kyu;Park, Si-Hyung;Oh, Sei-Ryang;Ahn, Kyung-Seop;Kim, Jae-Gil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1호
    • /
    • pp.57-60
    • /
    • 2002
  • A new 27-carboxylic lupane-type triterpene, tiarellic acid (1), was isolated from Tiarella polyphylla together with corosolic acid (2) and tormentic acid (3). Tiarellic acid was characterized as 3,23-dihydroxy-20(29)-lupen-27-oic acid and its NMR data were unambiguously assigned using 2-D NMR techniques.

Triterpenoid from Tiarella polyphylla, Regulation of Type 1 Procollagen and MMP-1 in Ultraviolet Irradiation of Cultured Old Age Human Dermal Fibroblasts

  • Moon, Hyung-In;Lee, Joong-Ku;Zee, Ok-Pyo;Chung , Jin-H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10호
    • /
    • pp.1060-1064
    • /
    • 2004
  •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performed to elucidate the molecular consequences of ultraviolet irradiation,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 of natural products. Ultraviolet irradiation is widely considered to be an environmental stress. Her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3,23-dihydroxy- 20(29)-lupen-27-oic acid on the regulation of MMP-1 and type 1 procollagen in Ultraviolet irradiation of cultured old age human dermal fibroblasts. 3, 23-dihydroxy-20(29)-lupen-27- oic acid was isolated from Tiarella polyphylla D. Don (Saxifragaceae). Among them, 3, 23- dihydroxy-20(29)-lupen-27-oic acid induced the regulation of Type 1- procollagen and reduced the regulation of MMP-1 at the protein levels in a dose-dependent manner by ultraviolet irradiation.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3, 23-dihydroxy-20(29)-lupen-27-oic aci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induction of Type 1-procollagen and reduction of MMP-1 by ultraviolet irradiation in old age human dermal fibroblasts.

Anticomplement Activities of Oleanolic Acid Monodesmosides and Bisdesmosides Isolated from Tiarella polyphylla

  • Park, Si-Hyung;Oh, Sei-Ryang;Jung, Keun-Young;Lee, Im-Seon;Ahn, Kyung-Seop;Kim, Jae-Gil;Lee, Jung-Joon;Lee, Hyeong-Kyu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428-431
    • /
    • 1999
  • Seven known oleanolic acid glycosides (1-7) were isolated form the MeOH extract of Tiarella polyphylla. The structures were identified to be 3-O-($\beta$-glucopyranosyl) oleanolic acid (1), 3-O-[$\beta$-D-glucopyranosyl-(1 3)-$\beta$-D-glucopyranosyl] oleanolic acid (2), 3-O-D-[$\beta$-D-glucopyranosyl-(1 2)-$\beta$-D-glycopyranosyl] oleanolic acid (3), 3-O-[$\beta$-D-glucopyranosyl-(1 3)-$\beta$-D-glucopyranosyl] oleanolic acid 28-O-$\beta$D-glucopyranosyl ester (4), 3-O-[$\beta$-D-glucopyranosyl-(1 2)-$\beta$-D-glucopyranosyl] oleanolic acid 28-O-$\beta$-D-glucopyranosyl ester (5), 3-O-[a-L-rahmnopyranosyl-(1 3)-$\beta$-D-glucururonopyranosyl] oleanolic acid (6), and 3-O-[$\alpha$-L-rhamnopyranosyl-(1 3)-$\alpha$-D-glucuronopyranosyl] oleanolic acid 28-O-$\alpha$-D-glucopyranosyl ester (7) on the basis of physicochemical and spectral data. These triterpene glycosides were tested for the anti-complement activity and hemolytic activity. Bisdesmosidic saponins, 4, 5, and 7, showed anti-complement activity; in contrast, monodesmosidic saponins, 1-3, and 6, showed direct hemolytic activity. Methyl esterified monodesmosidic saponins showed anti-complement activity at a low concentration and hemolytic activity at a high concentration.

  • PDF

헐떡이풀의 핵형분석과 Bicolor FISH를 이용한 물리적 지도 작성 (Karyotype Analysis and Physical Mapping of rDNAs Using Bicolor-FISH in Tiarella polyphylla D. Don)

  • 김수영;이중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46-450
    • /
    • 2007
  • 헐떡이풀은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 일본, 대만 그리고 한국에 분포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울릉도에서만 분포하는데, 천식 치료, 타박상 그리고 청각장애의 치료에 사용된다. 약용작물로써의 높은 가치에도 불구하고 염색체 수를 제외한 다른 세포유전학적인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핵형분석 뿐만 아니라 bicolor FISH를 통한 5S 와 45S rDNA의 물리적 지도작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체세포 염색체 수는 2n=2x=14로 염색체의 길이는 $1.66{\sim}3.50{\mu}m$ 이다. 또한 염색체의 구성은 4쌍의 차중부 염색체(염색체 1, 2, 3, 6)와 2쌍의 차단부 염색체(염색체 5, 7)그리고 1쌍의 단부 염색체(염색체 4)로 확인되었다. 또한 4번 염색체가 부수체 염색체로 관찰되었다. Bicolor-FISH를 통해 각각 1쌍의 5S와 45S rDNA 위치를 확인하였는데, 5S rDNA의 경우 염색체 3번의 동원체 부위에서 확인되었고, 45S rDNA는 염색체 4번의 단완 말단 부위에서 관찰되었다. Bicolor-FISH는 헐떡이풀 염색체상에 rDNA 유전자의 위치 확인에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로 사용되었다.

한반도 자생식물 헐떡이풀 종자의 휴면유형과 발아특성 (Seed Dormancy Type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in Tiarella polyphylla D. Don Native to Korea)

  • 최한;이승연;이용하;이정호;김상용;이기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63-371
    • /
    • 2018
  • 헐떡이풀은 우리나라에서 울릉도에서만 분포하는 자생식물로 전통적으로 약용으로 쓰여왔으며, 관상식물로의 활용도 기대되는 자원식물이다. 본 연구는 헐떡이풀 종자의 휴면타파와 발아를 위한 조건을 확립하고 종자휴면 유형을 분류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은 헐떡이풀 종자에 저온층적처리($5^{\circ}C$에서 0, 12주)와 고온층적처리($23^{\circ}C$에서 0, 4, 8, 12주 처리 후에 $5^{\circ}C$에서 8주, 다시 $23^{\circ}C$에서 배양함), $GA_3$ (0, 10, 100, 1000 mg/L)처리를 수행하였다. 이렇게 처리한 종자는 무균배지에 소독하여 파종하고 온도 $23^{\circ}C$, 광도 $40{\mu}mo{\ell}{\cdot}m^{-2}{\cdot}s^{-1}$ PPFD, 일장16시간 조건의 배양실에서 배양하였다. 헐떡이풀 종자는 자연상태에서 미숙배인 상태로 탈리되며, 종자 내부로의 수분흡수에 대한 물리적인 장벽은 없었다. 그러나 아무 처리 없이 파종하였을 때 30일이 지나도록 전혀 발아하지 않았다. 따라서 헐떡이풀 종자는 형태적 휴면(MD)과 생리적 휴면(PD)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저온층적처리(0, 12주) 실험의 최종 발아율은 각각 66.7%, 45.6%로 나타났다. 저온처리는 오히려 발아를 약 3주 정도 지연시켰다. 고온층적처리(0, 4, 8, 12주) 실험에서는 최종 발아율이 각각 13.3%, 24.4%, 20.0%, 51.1%로 나타났다. 헐떡이풀 종자의 배는 상대적 고온에서 발달하였다. $GA_3$ 처리는 종자의 휴면을 극복하고 발아를 촉진하였다. $GA_3$ 처리에서의 최종 발아율은 0, 10, 100, 1000 mg/L 처리구에 대하여 각각 33.3%, 45.0%, 42.5%, 72.5%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헐떡이풀 종자는 non-deep simple 형태생리적 휴면(MPD)을 가지고 있으며, $GA_3$ 처리를 통해 고온을 대체하고 종자의 휴면을 타파할 수 있었다. 이는 한국에 자생하는 헐떡이풀속의 종자휴면에 대해 처음으로 보고한 논문이다.

한국 약용식물 33분류군의 염색체수와 핵형분석 (Chromosome Numbers and Karyotype Analyses for 33 Taxa of Medicinal Plants in Korea)

  • 김수영;김찬수;김건래;김진기;박상홍;장태수;이원규;이중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61-167
    • /
    • 2008
  • New somatic chromosome numbers and karyotype analyses of 33 medicinal herbs (30 genera, 23 families) in Korea were investigated. The chromosome numbers of 4 taxa, Euryale ferox, Rodgersia podophylla,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ce, Eehinops setifer, showed results that are different from previous reports. Among 33 taxa, 23 taxa we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and karyotype analyses were newly conducted for 2 taxa (Tiarella polyphylla, Crepidiastrum denticulatum) in Korea. In addition, we observed for the first time the new chromosome numbers for 4 taxa distributed evenly over the world (Lindera erythrocarpa, Corylopsis glabrescens var. gotoana, Ardisia crenata, Callicarpa japonica var. luxuri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