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yroid US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6초

경부 재발 갑상선 유두암 환자에서 혈청 갑상선글로불린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Implication of Serum Thyroglobulin in Recurred Papillary Thyroid Cancer at Neck Nodes)

  • 이하나;한명월;이호준;노종렬;남순열;김상윤;최승호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2-46
    • /
    • 2011
  • Background and Objectives : Serum stimulated thyroglobulin(stim Tg) was well-known for useful marker in detecting of recurrent or persistent papillary thyroid cancer after total thyroidectomy. Serum stim Tg level may be possibly related with recurrent tumor volume, but rarely stud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operative serum stim Tg level and recurrent tumor burden and to find additional clinical usefulness of stim Tg more than to detect a recurrence. Material and Methods :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9, 40 patients who were operated due to neck recurrence of papillary thyroid cancer after total thyroidectomy were enrolled. All patients had preoperative stim Tg. We compared the clinical correlation of stim Tg and other variables to influence the preoperative stim Tg levels. Results : Preoperative stim Tg levels weren't correlated with site of recurrence, number of metastasis, maximal size, and presence of extra-capsular spread. But considerable increase of stim Tg more than 50ng/mL was identified in recurrence of lateral neck. Patients who have higher stim Tg level after surgery tend to be have higher preoperative stim Tg level. Conclusion : stim Tg was not elevated in 7.5% of recurrent PTC patients. Thus, other diagnostic modalities such as US may be important for these patients. If preoperative stim Tg was more than 50ng/mL, it may suggest recurrence in lateral neck and have less possibility to achieve postoperative biochemical remission.

Baseline Stimulated Thyroglobulin Level as a Good Predictor of Successful Ablation after Adjuvant Radioiodine Treatment for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s

  • Fatima, Nosheen;uz Zaman, Maseeh;Ikram, Mubashir;Akhtar, Jaweed;Islam, Najmul;Masood, Qamar;Zaman, Unaiza;Zaman, Areeb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5호
    • /
    • pp.6443-6447
    • /
    • 2014
  • Background: To determine the predictive value of the baseline stimulated thyroglobulin (STg) level for ablation outcome in patients undergoing adjuvant remnant radioiodine ablation (RRA) for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DTC).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accrued 64 patients (23 male and 41 female; mean age of $40{\pm}14$ years) who had total thyroidectomy followed by RRA for DTC from January 2012 till April 2014. Patients with positive anti-Tg antibodies and distant metastasis on post-ablative whole body iodine scans (TWBIS) were excluded. Baseline STg was used to predict successful ablation (follow-up STg <2 ng/ml, negative diagnostic WBIS and negative ultrasound neck) at 7-12 months follow-up. Results: Overall, successful ablation was noted in 37 (58%) patients while ablation failed in 27 (42%). Using the ROC curve, a cut-off level of baseline STg level of ${\leq}14.5ng/ml$ was found to be most sensitive and specific for predicting successful ablation. Successful ablation was thus noted in 25/28 (89%) of patients with baseline STg ${\leq}14.5ng/ml$ and 12/36 (33%) patients with baseline STg >14.5 ng/ml ((p value <0.05). Age >40 years, female gender, PTS >2 cm, papillary histopathology, positive cervical nodes and positive TWBI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blation failure. Conclusions: We conclude that in patients with total thyroidectomy followed by I-131 ablation for DTC, the baseline STg level is a good predictor of successful ablation based on a stringent triple negative criteria (i.e. follow-up STg < 2 ng/ml, a negative DWBIS and a negative US neck).

정상한국인(正常韓國人) 및 각종갑상선질환(各種甲狀腺疾患)에서의 아킬레스건반사시간(腱反射時間)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Achiles Tendon Reflex in Normal Korean Persons and Various Thyroid Diseases)

  • 강진영;김명덕;이홍규;이정상;고창순;이문호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7-28
    • /
    • 1978
  • 저자(著者)는 정상한국인(正常韓國人)과 각종갑상선질환(各種甲狀腺疾患)에서의 아킬레스건반사시간(腱反射時間)을 Photomotograph에 의해 측정(測定)하여, 그 진단적(診斷的) 가치(價値)와 한국인(韓國人)에 있어서의 연령별(年齡別), 성별(性別)에 따른 정상치(正常値)를 구(求)하기 위하여 1975년(年) 4월(月) 1일(日)부터 1977년(年) 8월(月) 30일(日)까지 서울대학교(大學敎) 의과대학(醫科大學) 부속병원(附屬病院) 내과(內科)를 내방(來訪)한 각종(各種) 갑상선질환(甲狀腺疾患) 환자(患者) 193례(例)와 정상한국인(正常韓國人) 남자(男子) 190명(名), 여자(女子) 150명(名), 총 340명(名)을 대상(對象)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정상한국인(正常韓國人)에서의 아킬레스건반사시간(腱反射時間)은 11세부터 20세까지는 남자(男子); $250{\pm}27msec$, 여자(女子); $266{\pm}27msec$, 21세부터 30세까지는 남자(男子); $271{\pm}27msec$, 여자(女子); $284{\pm}25msec$, 31세부터 40세까지는 남자(男子); $273{\pm}25msec$, 여자(女子); $291{\pm}27msec$, 41세부터 50세까지는 남자(男子); $286{\pm}35msec$, 여자(女子); $307{\pm}42msec$, 51세부터 60세까지는 남자(男子); $296{\pm}33msec$, 여자(女子); $318{\pm}46msec$, 61세 이상에서는 남자(男子); $301{\pm}33msec$, 여자(女子); $325{\pm}35msec$로서 연령(年齡)에 따라 현저히 증가(增加)되어 있었으며, 성별(性別)에 따른 차(差)는 여자(女子)가 남자에 비(比)하여 다소 지연(遲延)되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나 유의(有意)한 차(差)는 없었다. 2) 갑상선기능항진증(甲狀腺機能亢進症) 환자(患者)에서의 아킬레스건반사시간(腱反射時間)은 $221{\pm}20msec$로서 정상대조군(正常對照群)에 비(比)해 현저히 단축(短縮)되어 유의(有意)한 차(差)가 있었다. 3) 갑상선기능저하증(甲狀腺機能低下症) 환자(患者)에서의 아킬레스건반사시간(腱反射時間)은 $414{\pm}65msec$로서 정상대조군(正常對照群)에 비(比)하여 현저히 지연되어 유의(有意)한 차(差)가 있었다. 4) 갑상선기능검사상(甲狀腺機能檢査上) 정상(正常)인 갑상선질환(甲狀腺疾患) 환자(患者)에 대(對)한 아킬레스건반사시간(腱反射時間)은 $287{\pm}33msec$로서, 정상대조군(正常對照群)에 비(比)하여 유의(有意)한 차(差)가 없었다. 5) 아킬레스건반사시간(腱反射時間)과 ETR (Effective Thyroxine Ratio), $T_3RU,\;^{131}$섭취율(攝取率) 및 혈중(血中) TSH치(値)와는 밀접한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다. 6) 아킬레스건반사시간(腱反射時間)의 진단적(診斷的) 정확도(正確度)는 기능항진증(機能亢進症)에서 71%이었고, 가양성율(假陽性率)은 11%, 가음성율(假陰性率)은 29%이었으며 갑상선기능저하증(甲狀腺機能低下症)에서의 진단적(診斷的) 정확도(正確度)는90%, 가양성율(假陽性率)은 27%, 가음성율(假陰性率)은 10%이었다. 7) 치료후(治療後), 증상(症狀) 및 기능(機能)의 호전(好轉)과 아킬레스건반사시간(腱反射時間)사이에는 좋은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여 갑상선질환(甲狀腺疾患)의 경과관찰(經過觀察)에 유효(有效)하였다.

  • PDF

갑상선암의 고용량 $^{131}I$ 치료 시 입원기간의 최적화방안 연구 (A Study on Ways to Optimize the Period of Hospitalization During High-Dose $^{131}I$ Treatment of the Thyroid Cancer)

  • 백성민;고성진;김창수;김정훈;강세식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3권3호
    • /
    • pp.269-276
    • /
    • 2010
  • 본 연구는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환자의 선량률을 거리와 시간대별로 산출하여 방사성옥소 치료를 위한 입원기간의 최적화와 개선방안을 제한 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100 mCi 고용량 옥소치료환자의 24시간 후에 배꼽에서 $1,035{\mu}Sv/hr$, 50 cm에서 $109{\mu}Sv/hr$, 100 cm에서 $33{\mu}Sv/hr$로 감쇠 되었다. 150 mCi 고용량 옥소치료환자의 24시간 후에 배꼽에서 $637{\mu}Sv/hr$, 50 cm에서 $100{\mu}Sv/hr$, 100 cm에서 $40{\mu}Sv/hr$로 감쇠 되었다. 180 mCi 고용량 옥소치료환자의 24시간 후에 배꼽에서 $1,251{\mu}Sv/hr$, 50 cm에서 $140{\mu}Sv/hr$, 100 cm에서 $56{\mu}Sv/hr$로 감쇠 되었다. 퇴원기준을 미국 원자력 규제위원회 고시에 $70.4{\mu}Sv/hr$이므로 본 연구 결과보다 빠른 퇴원이 가능하다. 치료 환자들의 계속적인 증가 추세로 볼 때 치료병실의 부족을 해소 할 수 있다.

건강한 성인의 경장근 두께 측정에 대한 초음파영상법의 신뢰도 (Reliability of Ultrasonography for The Longus Colli in Asymptomatic Subjects)

  • 이진아;김선엽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3권4호
    • /
    • pp.59-66
    • /
    • 2011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ter- and intra-examiner reliability of ultrasonography (US) for measuring the thicknesses and cross-sectional area of the longus colli muscle (LCM) in healthy subjects. Methods: Twenty-five healthy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subjects and two examiners attended to the study. LCM size was measured at the level of the thyroid cartilage. All subjec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the three different methods. Method 1 was that the examiner A conducts the first measurement and one hour later conducts the second measurement and twenty four hours later conducts the third measurement, respectively. Method 2 was that the examiner B conducts the measurements in the same way as the examiner A. Method 3 was that the examiners A and B randomly conduct the measurements twice at an interval of one hour. Results: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for the intra-examiner reliability ranged from 0.78 to 0.98 at rest and 0.57 to 0.98 during contraction for the examiner A. The $ICC_{3,3}$ for the intra-examiner reliability ranged from 0.60 to 0.96 at rest and 0.57 to 0.92 during contraction for the examiner B. The $ICC_{2,3}$ for the inter-examiner reliability ranged from 0.80 to 0.91 at rest and 0.84 to 0.93 during contractio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US is a reliable method for measuring the LCM size.

Can Head and Neck Cancers Be Detected with Mean Platelet Volume?

  • Eryilmaz, Aylin;Basal, Yesim;Omurlu, Imran Kur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6호
    • /
    • pp.7045-7047
    • /
    • 2015
  • Background: Mean platelet volume (MPV) is a marker which has been investigated in many cancers but data for head and neck lesions are limited. We aimed to study the MPV levels in head and neck cancers as a diagnostic marker.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96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and 31 control patients who did not meet exclusion criteria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cancer locations, the platelet and MPV levels at the first diagnosis time were collected. Results: The head and neck cancer location distribution between these patients was 2 (2.1%) buccal, 9 (9.4%) tongue, 6 (6.3) lip, 1 (1%) gingiva, 1 (1%) hypopharynx, 1 (1%) ear, 58 (60.4%) larynx, 2 (2.1%) maxilla, 2 (2.1%) nasal, 1 (1%) nasopharynx, 2 (2.1%) palatal, 3 (3.1%) primary unknown, 1 (1%) retromolar, 1 (1%) thyroid, 2 (2.1%) tonsil, and 4 (4.2%) salivary gland. MPV leve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ancer and control group (p=0.002). The cut-off point for MPV predicting head and neck cancer is >10 fL (sensitivity=55.21, specificity=87.10). Conclusions: MPV level increase, a readily assessable parameter which does not bring extra costs can warn us regarding head and neck cancer risk.

Cancer Incidence in Jordan from 1996 to 2009 - A Comprehensive Study

  • Ismail, Said Ibrahim;Soubani, Majd;Nimri, Jena Monther;Al-Zeer, Ali Haze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6호
    • /
    • pp.3527-3534
    • /
    • 2013
  • Background: Cancer is a major health problem facing the entire world, and Jordan is no exception. However, patterns of cancer incidence and cancer burden in Jordan have never been explored thoroughly, a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ose this knowldege gap.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was based on data obtained from the Jordan cancer registry from 1996 to 2009. All cancer cases that were diagnosed during the study period were registered and included in this study. Results: A total of 51,626 cases were registered in Jordan during the 14- year period. The incidence rate showed no significant increase in males (percent change PC 6.8%), while in females a marked increase was observed (PC 14.8%). The major cancer sites for males were bronchus and lung, colorectal, bladder, leukemia and prostate. In females, the leading cancer sites were breast, colorectal, leukemia, thyroid and NHL. Conclusion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in the region, Jordan has comparable rates. On the other hand the rates of cancer are markedly lower in Jordan compared to more industrialized countries such as the US and Europe. There was an overall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cancer in Jordan, especially among females, which stresses the need for programs to raise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early diagnosis and preventive life style measures.

물리학 선량법을 이용한 갑상선암의 개인별 최대안전용량 I-131 치료법 개발과 유용성 평가 (Development and Assessment Individual Maximum Permissible Dose Method of I-131 Therapy in High Risk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Papillary Thyroid Cancer)

  • 김정철;윤정한;범희승;제갈영종;송호천;민정중;정환정;김성민;허영준;이명호;박영규;정준기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0-119
    • /
    • 2003
  • 목적: 분화갑상선암 환자에 대한 방사성옥소(I-131) 치료는 재발율과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효과적인 치료법이지만, 치료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치료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대허용선량 치료법의 효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임상적 병기가 제3, 4병기이고, 6개월 이후에 I-131 전신스캔(이하 IWBS)과 혈중 thyroglobulin (이하 Tg), anti-thyroglobulin antibody (이하 ATA), 초음파검사(이하 US) 및 F-18 FDG PET 등을 통해 치료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던 58명(남:여=9:49, 평균연령 $50{\pm}11$세)의 유두상갑상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11명은 제4병기, 47명은 제3병기였으며, 43명(남:여=4:39, 평균연령 $50{\pm}11$세)은 7.4 GBq 이하의 고식적인 저용량치료법으로 치료하였고, 9.25 GBq 이상의 고용량 치료를 받은 환자는 15명(남:여=5:10, 평균연령 $50{\pm}12$세)으로 고용량군에서 남자가 더 많았으나 연령의 차이는 없었다. 고용량군 환자 모두에서 추적용량의 방사성옥소(평균 $77{\pm}3MBq$)를 경구 투여한 후 혈중 방사능소실곡선을 통해 최대허용선량(maximum permissible dose, 이하 MPD)을 계산하였으며, 7명에서는 말초혈액림프구의 중기염색 체분석법에 의해 생물학적으로 MPD를 계산하였다. 14명에서는 치료용량의 방사성옥소를 투여한 후 혈중 방사능소실곡선을 통해 MPD를 계산하였다. 완전치유(complete response, 이하 CR)는 IWBS에서 병소가 없어지고, 혈중 Tg치가 1 ng/mL 이하로 감소한 경우로 정의하였으며, 부분치유(partial response, 이하 PR)는 IWBS에서 병소가 없어졌더라도 혈중 Tg, ATA치가 높거나, US 또는 PET 검사에서 병소가 남아있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치료후 IWBS에서 병소가 오히려 증가하거나 변함없는 경우는 없었다. 방사성옥소 치료에 의한 부작용은 입원기간 중 타액선이 현저하게 붓고 통증이 있거나, 구토를 심하게 하는 경우, 그리고 퇴원후 1개월째 백혈구수가 20% 이상 감소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양 군간에 연속적인 수치변화를 비교하는 경우는 paired t-test를 이용하였으며, 대상군간 치료효과와 부작용의 비교는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다. p값 0.05 미만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인정하였다. 고용량군 환자 모두에서 추적용량과 치료용량의 방사성옥소 투여 후 혈액의 피폭선량은 각각 $0.012{\pm}0.3Gy,\;1.66{\pm}25Gy$였으며, 방사성옥소 투여 후 혈액에 전달되는 피폭선량은 추적용량보다 치료용량에서 더 많았고(1.21: 166 rad, p<0.0001), 방사성옥소 1 mCi당 혈액에 전달되는 피폭선량은 차이가 없었다($0.58{\pm}0.1\;vs.\;0.56{\pm}0.1$ rad/37 MBq, p=0.34). 추적용량 방사성옥소 투여 후 구한 MPD는 평균 $13.3{\pm}1.9GBq\;(9.7{\sim}16GBq)$ 이였고, 치료용량 방사성옥소 투여 후 구한 MPD는 평균 $13.8{\pm}2.1GBq(10.4{\sim}16.3GBq)$로 유의한 차이가 얻었으며 (p=0.20), 두 수치간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r=0.8, p<0.0001). 7명의 환자에서 말초혈액림프구 중기염색체 분석법으로 MPD를 측정하였는데 혈액의 피폭선량은 $1.78{\pm}0.03Gy$였으며, 같은 환자에서 혈중 방사능소실곡선으로부터 구한 피폭선량은 $1.54{\pm}0.03Gy$로 유의하게 낮았으나 (p=0.01), 두 측 정치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r=0.86, p=0.01)가 있었다. 저용량 치료군 43명 중 22명(51.2%)에서 완전치유를 보였고 21명(48.8%)에서는 부분치유를 보인 반면, 고용량 치료군 15명 중 12명(80%)에서 완전치유를 보였고 3명(20%)에서만 부분치유를 보여 고용량 치료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완전치유를 얻을 수 있었다(p=0.05). 한편 부작용 발생빈도는 저용량 치료군 43명 중 13명(30.2%), 고용량 치료군 15명중 6명(40%)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46). 임상적인 병기, 연령 및 성별에 따라서는 치유의 차이가 없었다(모두 p>0.05). 결론: 혈중소실곡선으로부터 MPD를 결정하고 이를 토대로 환자 개개인별로 적절한 선량을 선택하여 치료하는 방법은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치료법이며, 고위험군 분화갑상선 암 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치료법이라고 사료되었다.

과도한 주간 졸림과 탈력발작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발견된 갑상선 중독증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Case Confounding with Thyrotoxicosis)

  • 정재경;김의중
    • 수면정신생리
    • /
    • 제18권1호
    • /
    • pp.40-44
    • /
    • 2011
  • 기면병은 과도한 주간 졸림, 탈력발작, 수면 분절화, 입면환각의 특징을 가진 수면 질환이다. 기면병의 증상은 내과적, 신경과적 질환으로부터 생길 수도 있다. 17세의 고등학생 남자 환자가 3개월 전부터 발생한 참을 수 없는 과도한 주간 졸림으로 본원 수면클리닉을 통해 입원하였다. 내원 이후 측정된 체질량지수는 30.4 kg/$m^2$였고 맥박은 분당 70~90회, 혈압은 150/100~120/70 mmHg로 관찰되었다. 갑상선기능 검사에서 T3 391.2 ng/dL(60~181), free T4 4.38 ng/dL(0.89~1.76), TSH(thyroid stimulating hormone) <0.01 ${\mu}IU$/mL(0.35~5.5)로 갑상선 중독증이 시사되었다. 수면다원검사가 실시되었고, 수면 자세의 변환은 시간당 81 회로 매우 많은 편이었다. 입면 잠복기는 33.5분, 수면 효율은 47.9%, 입면에서 렘수면 입면시간은 153.6분으로 지연되었고 렘수면은 27.1%로 증가하였다. 주기성 사지 운동지수는 13.4/h로 나타났다. 수면잠복기반복검사에서 평균 입면잠복시간은 24초, SOREMP(sleep onset REM period)은 3회에서 관찰되었다. actogram상 수면-각성의 경계가 불분명하였고, HLA typing에서 DQB1 $^*0602$는 음성이었다. 환자의 갑상선중독증은 대해 3개월간 methimazole 30 mg, propranolol 40 mg이 투약되며 갑상선 기능이 호전되었다. 탈력발작은 venlafaxine 75 mg으로 조절되었고, 야간 수면 유지와 주기적 사지운동증을 치료 하기 위해 clonaze-pam 0.5 mg이 사용되었고 주관적인 야간 수면의 질은 향상되었다. 과도한 주간 졸림에 대해서는 3개월간 modafinil 200~400 mg이 투여되었고 부분적이긴 하지만 다소의 호전을 보이고 있다. 본 증례는 기면병으로 최종 진단된 환자에 있어 병력과 검사상 발견된 갑상선 중독증, 그리고 수면 효율 감소 등이 과도한 주간 졸림을 평가하는데 혼란 변수로 작용한 경우라 하겠다. 다만, 주간 과다 졸림이 modafinil에 부분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 HLA DQB1 $^*0602$ 음성의 결과를 보인 환자에게 나타났던 탈력발작에 대해서도 더 설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CSF hypocretin level을 추가로 측정하고 수면 문제의 추이를 관찰하면서 추가적인 PSG와 MSLT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부갑상선: 부갑상선 영상에 익숙하지 않은 영상의학과 의사들을 위한 전반적인 검토 (The Parathyroid Gland: An Overall Review of the Hidden Organ for Radiologists)

  • 김수호;신정희;한수연;김해정;김명경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327-344
    • /
    • 2024
  • 부갑상선은 부갑상선 호르몬(parathyroid hormone; 이하 PTH)을 생성하여 칼슘 대사를 조절하는 작은 내분비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갑상선 뒤에 4개의 부갑상선이 위치해 있으나 개수 또는 위치는 개인차가 있으며 4개보다 많거나 적은 경우들이 있다. 부갑상선 질환은 부갑상선 기능 장애와 관련이 있으며, 부갑상선 자체의 문제 또는 신장질환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혈청 칼슘 수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최근 건강검진이 보편화되면서 우연히 비정상적으로 높은 혈청 칼슘 값이 발견되어 PTH 검사, 초음파, 테크네튬-99m 세스타 미비 부갑상선 스캔, 단일광자방출단층촬영/컴퓨터단층촬영(SPECT/CT), 4차원 컴퓨터단층촬영(4D-CT), 그리고 양전자방출단층촬영/컴퓨터단층촬영(PET/CT) 등의 추가적인 검사가 시행된다. 그러나 부갑상선은 여전히 영상의학과 의사에게 익숙하지 않은 기관이다. 이 종설에서 부갑상선의 해부학, 병태생리, 영상 및 임상 소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