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uja orientalis L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5초

불면증에서 산조인의 유무에 따른 약물배오의 경향성 고찰 (Combination Tendency Analysis on Herbal Formula to Treat Insomnia Focused on Zizyphi spinosi Semen)

  • 이원융;정기훈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3-45
    • /
    • 2014
  • Objectives : Zizyphi spinosi Semen is widely used for treating insomnia in korea and other oriental country. This study is analyzing combination tendency of Zizyphi spinosi Semen in herbal formula for treating insomnia. Methods : Herbal formulas for treating insomia were searched in "The Prescription Dictionar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checked in each literary source. Then, the herbal formula was divided in two groups : FCZ(The formula group containing Zizyphi spinosi Semen) and FWZ(The formula group without Zizyphi spinosi Semen). FCZ and FWZ were compared by following criteria; i) Prevalence of herbal formula by period ii) Prevalence of medicinal material's effects iii) Prevalence of medicinal material iv) Prevalence of the nature of midicinals v) Prevalence of flavor of medicinals vi) Prevalence of meridian entry. Results : 116 Herbal formula met our criteria, and herbal formulas were divided in two groups : FCZ(n=59), FWZ(n=57). The result of prevalence in FCZ is following; Herbal formula prevalence increased as time passed to the Qing(淸) dynasty. Tonifying and replenishing medicinal(補益藥), tranquillizing medicinal (安神藥), and inducing diuresis to drain dampness medicinal(利水滲濕藥) are the three most prevalent types of materia medica. In specifically, Panax ginseng radix(人蔘), Liriopis Tuber(麥門冬), Angelicae Gigantis Radix(當歸), Poria Cocos(茯神), Glycyrrhizae Radix(甘草), Poria cocos(茯神), Polygalae Radix(遠志), Thuja Orientalis L.(柏子仁), Paeonia Japonica(白芍藥), and HgS(硃砂) are combined frequently. The most prevalent nature of medicinals were 'warm microwarm(溫 微溫)' and flavor of medicinals was normal(平). Meridian entrys that frequently combined were heart(心), spleen(脾), and liver(肝). Conclusion : We found combination tendency of Zizyphi Semen in herbal formula for treating insomnia.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관리방안 II -서울·인천·경기지역을 중심으로- (Management Guidelines of Natural Monuments Old Trees through an Ananlysis of Growing Environments II -A Focus o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s-)

  • 강현경;이승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6-45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ormulate management guidelines for monumental old trees in Korea through analysis of growing environments. A total of 20 old trees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s were surveyed for biological characteristics, surrounding environments, root collar conditions, tree health, and soil characteristics. Relationships among root collar conditions, tree health, and soi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The old solitary trees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s included Pinus bungeana(4 trees), Juniperus chinensis(3 trees), Ginkgo biloba(3 trees), Poncirus trifoliata(2 trees), Actinidia arguta, Wisteria floribunda, Thuja orientalis, Quercus variabilis, Sophora japonica, Fraxinus rhynchophylla, Zelkova serrata, and Pinus densiflora. The tree height ranged from 3.56 to 67m, and root collar diameter ranged from 1.01 to 15.2m. The monumental old trees were growing on the various sites ranging from gardens, historical sites, open agricultural fields, mountain hills, to near the ocean beaches and streams. The coverage of bald land ranged from 50 to 100%, and depth of filled soil around the root collar ranged from 0 to 50cm. Tree health was expressed as the amount of branch dieback, cavity development, detachment of cambial tissue, infliction by diseases and insects. The branch dieback ranged from 5 to 20%, cavity development ranged from 10 to 100$cm^3$, detachment of cambial tissue ranged from 5 to 45%, and infliction by diseases and insects ranged from 5 to 20%. Soil pH ranged from 5.9 to 8.3, organic matter contents from 12 to 56%, phosphorus contents from 104 to 618ppm, while soil compaction ranged from 7 to 28mm.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coverage of bald land was the most serious factor to deteriorate the cavity development and detachment of cambial tissue. In addition,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seemed to be related to the health of the trees.

장성 필암서원(筆巖書院)의 식재현황과 정비방안 (Planting Patterns and Landscape Redevelopement of Pilam Seowon in Jangseong-Gun)

  • 이원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31-141
    • /
    • 2011
  • 본 연구는 서원의 조경정비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장성 필암서원(사적 제242호)을 대상으로 고문헌 분석과 식재공간에 대한 권역별 전수조사 및 항공사진 촬영을 통해 공간별 식재현황과 문제점 및 대안 제시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었다. 장성 필암서원은 평야산록형의 전학후묘형으로, 필암서원에 식재된 수목은 주로 문중에서 식재한 것과 1980년대 조경정비 때 식재된 것으로 교목 23분류군, 관목 6분류군, 초화류 5분류군으로 평지의 한정된 공간에 밀식되어 있다. 노거수로 군보호수로 지정된 은행나무를 비롯하여 소나무, 향나무, 측백나무, 느티나무, 회화나무, 배롱나무, 매화나무 등 우리나라 전통조경에 사용되는 수목들이 주로 식재되어 있었다. 경내의 차나무는 연화산의 야생차밭에서 도입되어 식재된 것이다. 향후, 필암서원의 조경정비 시 고려해야 할 사안으로는 문화재 지역에서 주로 발생되는 경내의 식재수목에 대한 수형관리, 과도한 수목식재로 인한 밀도의 조정과 백송, 칸나 등 외래수종 제거, 외부시설의 과도한 식재로 인한 주공간의 왜소화 방지, 식재권역별 공간간의 단절성 회복 등을 들 수 있으며, 서원 내 건물의 벽화 소재인 식물그림의 활용한 식재구상 등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사례연구의 시사점은 조경정비 시 지나친 조경수목의 도입으로 인한 전통공간의 장소성 상실이 문제시되고 있으며, 향후 보전적 차원에서 서원과 같은 전통조경공간의 정확한 실태파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llopathic Effect of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and Analysis for Its Allelochemicals

  • Lee, Chul;Park, Ju-Yong;Kim, Jung-Hee;Park, Young-Goo
    • 임산에너지
    • /
    • 제22권3호
    • /
    • pp.11-19
    • /
    • 2003
  • 아까시나무에 있어서 알레로파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아까시나무를 포함하여 13개 수 종에 대한 종자발아 시험을 실시하였다. 아까시나무의 뿌리와 잎의 침출액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침출액에 대한 종자 발아실험 결과 수종에 따라 실험결과가 크게 다르게 나타났다. 아까시나무 잎 침출액에서 아까시나무 종자 발아는 30%가 억제되었다. 실험한 수종가운데 무궁화와 오리나무는 뿌리 침출액에서 억제되었으나 누운측백나무는 잎의 침출액에서 발아가 억제되었다. 아까시나무의 잎과 뿌리 침출액을 HPLC분석 한 결과 알레로파시 효과를 가지고 있는 8종류의 authentic phenolic compounds를 찾아냈다. 잎에서는 전체 페놀물질 중 40%를 차지하고 있는 gentisic acid를 뿌리에서는 syringic acid와 vanillicacid를 발견하였다. 전체적으로 볼 때 뿌리에서.보다 잎에서 7배가 많은 phenolic acids가 추출되었다 조사된 8개 phenolic acid 중에서 뿌리에서는 vanillin만이 잎에서는 coumaricacid 만이 발견 되었다. 결과적으로 13수종 중에 3개 수종에서 잎과 뿌리의 침출액에서 종자 발아가 억제되었다. 종자발아 시험결과 아까시나무의 화학물질의 상호작용은 수종에 따라 차이가 많이 있음을 밝혀냈다. 아까시나무의 phenolic compound 총량은 알레로파시 역할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이들 물길의 상승효과가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 하였다.

  • PDF

중국 귀주성 석막화 방지를 위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Research for Prevention of Stone Hazarding Guizhou, China)

  • 박재현;전재홍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8-39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habilitation measures and select appropriate tree species and rehabilitation methods for rehabilitating the rock desert areas in Guizhou, China. The study was carried out during the periods from 2003 to 2006 and results are as follows. Afforestation site is classified as a dolomite sandstone hilly country, a halfstony hilly country, a karst physiognomy, a rock desertification farmland and an latent rock desertification farmland by soil type and rock desertification status. Total afforestation area of Xuiwen is 1,300ha and afforestation area of a dolomite sandstone hilly country, a halfstony hilly country, a karst physiognomy, a rock desertification farmland and an latent rock desertification farmland are respectively 104.0ha (8.0%), 146.6ha (11.3%), 200.5ha (15.4%), 705.7ha (54.3%) and 143.2ha (11.0%). Planted tree species were selected by five site types. Robinia pseudoacacia, Chamaecyparis obtusa, Thuja orientalis, Cupressus duclouxiana and Juniperus chinensis L. var. chinensis were planted in a dolomite sandstone hilly country and Choerospondias axillaris and Robinia pseudoacacia were planted in a halfstony hilly country. Cupressus duclouxiana, Zanthoxylum bungeanum, Lonicera fulvotomentosa, Ilex kudincila, Quercus aliena, Quercus variabilis, Choerospondias axillaris, Koelreuteria bipinnata, Cryptomeria japonica, Cinnamomum camphora and Cinnamomum bodinieri were planted in a karst physiognomy. Cupressus duclouxiana, Toona sinensis, Robinia pseudoacacia, Lonicera fulvotomentosa, Eucommia ulmoides, Ilex kudincha. Zanthoxylum bungeanum and Magnolia officinalis were planted in a rock desertification farmland. Lonicera fulvotomentosa, Juglans sinensis, Pyrus pyrifolia, Choerospondias axillaris, Prunus salicina and Diospyros Kaki was planted in an latent rock desertification farm land. Robinia pseudoacacia showed high survival rate in 2004 and 2005, but Zanthoxylum bungeanum and Cinnamomum camphora showed slightly low survival rate in 2004. Survival rate of planting species in 2005 was over 80% because some species which showed low survival in 2004 were changed with other species and a proper afforestation method was applied. Growth rate of tree species was evaluated by height and diameter growth rate. Cupressus duclouxiana showed a highest height growth rate in 2004. Toona sil1ensis, Choerospondias axillaris, Koelreuteria bipinnata, and Cinnamomum camphora showed almost 100% height growth rate in 2005, although they showed a negative height growth rate in 2004. Robinia pseudoacacia showed a good growth rate in the rock desertification farmland and the halfstony hilly country so it could give a commercial benefit like honey as well as an afforestation effect.

임목(林木)의 배축(胚軸) 및 유경삽수발근(幼茎揷穗発根)의 해부학적(解剖学的) 연구(研究) (Anatomical Studies on Root Formation in Hypocotyl and Epicotyl Cuttings of Woody Plants)

  • 최만봉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30
    • /
    • 1981
  • 임업적(林業的)로 또는 조경적(造景的)으로 이용가치(利用価置)가 높은 24속(屬) 34종(種)의 목본식물(木本植物)을 대상(対象)으로 하여 배축(胚軸) 또는 유경삽수(幼茎揷穗) 발근현상(発根現象)을 해부학적(解剖学的)으로 관찰(觀察)하였다. 사용(使用)된 재료(材料)의 제반특성(諸般特性)과 각종(各種) 실험조건(実驗條件)들의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Table 1과 같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축(胚軸) 및 유경삽수(幼茎揷穗)의 횡단면상(橫断面上)에서 본 외형(外形)은 원형(圓型), 타원형(楕圓形) 및 부정형(不定形) 등(等)으로 삼대별(三大別) 할 수 있으며, 또한 부정형(不定形)은 원형(圓型)에 가까운 것, 타원형(楕圓形)에 가까운 것, 4각형(角形)에 가까운 것 그리고 삼각형(三角形)에 가까운 것 등(等)으로 구분(区分)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의 외형(外形)은 속간(属間)에는 현저(顕著)한 차이(差異)를 보이고 있으나, 동속내(同属內)의 종간(種間)에는 대체적(大体的)으로 유사(類似)한 경향이었으며, 속(属)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것은 FAA액(液)에 고정(固定)시킨 조직(組織)에서 관찰(觀察)되는 사실(事実)에 입각(立却)한다. 2. 배축(胚軸) 및 유경삽수(幼茎揷穗)의 기부(基部) 횡단면(橫断面)에서 본 유관속(維管束)은 대부분(大部分) 병립유관속(並立維管束)으로서, 배열(排列)은 6 가지의 기본형(基本形)으로 종합(綜合)할 수 있었고, 속간(属間)에는 현저(顕著)한 차이(差異)를 나타내나 동속내(同属內)의 종간(種間)에는 대체(大体)로 유례(類例)한 경향(傾向)이었으며 간혹 예외(例外)도 있었다. 3. 공시수종(供試樹種)의 배축(胚軸) 및 유경삽수(幼茎揷穗)의 발근부위(発根部位)는 아래와 같이 6가지 부위(部位)로 종합(綜合)할 수 있다. 1) 유관속간유조직(維管束間柔組織) : 측백나무(Photo. 4), 천지백(5), 아기단풍나무(6), 단풍나무(7), 은단풍나무(8), 박태기나무(16), 싸리나무(24), 일본목련(28), 함박꽃나무(29), 예덕나무(30), 고추나무(46). 2) 형성층(形成層) 및 사부조직(篩部組織) : 편백(Photo. 1), 화백 2), 자귀나무(12), 회양목(13), 박태기나무(16), 사철나무(17), 벽오동(18), 배롱나무(22), 쥐똥나무(25), 버들쥐똥나무(26), 목련(27), 일본목련(28), 예덕나무(30), 뽕나무(31), 탱자나무(33), 가시나무(40), 찔레나무(44), 때죽나무(47), 쪽동백(48). 3) 제일차방사조직(第一次放射組織) : 사철나무(Photo. 17), 때죽나무(47). 4) 엽(葉) 적(跡) : 상수리나무(Photo. 37), 갈참나무(39). 5) 피층유조직(皮層柔組織) : 가중나무(Photo. 10) 6) 유합조직(癒合組織) : 밤나무(Photo. 15), 배롱나무(23), 갈참나무(39), 가시나무(41), 졸참나무(43). 4. 일반적(一般的) 경향(傾向)으로 배축삽수(胚軸揷穗)의 발근(発根)은 유관속간유조직(維管束間柔組織)으로 부터, 그리고 유경삽수(幼茎揷穗)의 발근(発根)은 엽적(葉跡)과 유합조직(癒合組織)으로 부터 근원기(根原基)가 각각(各各) 시원(始源)되었다. 그러나 특수(特殊)한 예(例)로서 가중나무 배축삽수(胚軸揷穗)에서는 피층유조직(皮層柔組織)으로부터 근원기(根原基)가 시원(始源)되었으며, 벽오동 배축삽수(胚軸揷穗)에서는 타수종(他樹種)에서의 일반적(一般的)인 양상(樣狀)과는 달리 유관속간(維管束間) 유조직(柔組織)과는 관계(関係)없이 유관속계(維管束系)의 목부외위(木部外圍)에 존재(存在)하는 사부유조직(篩部柔組織)으로 부터 근원기(根原基)가 기원(起源)됨을 볼 수 있었다. 5. 발근난이수종별(発根難易樹種別) 배축(胚軸) 및 유경삽수(幼茎揷穗)의 발근(発根)은 모두가 증류수(蒸溜水)를 채운 수관병내(水管甁內)에서 가능(可能)하였으나, 발근(発根)이 곤란(困難)한 수종(樹種)에 있어서는 대개 후막조직(厚膜組織)이나 사부섬유조직(篩部纖維組織) 등(等)이 발달(発達)하고 있어 발근(発根)이 늦어진듯 하며, 용이(容易)한 수종(樹種)에서는 그러한 조직(組織)이 없이 발근(発根)이 빨랐다. 그리고 발근난이수종간(発根難易樹種間)의 발근부위(発根部位)는 뚜렷하게 구분(区分)되지 않았고, 각수종별(各樹種別)로 다양(多樣)하였다. 6. 유관속(維管束)의 수(数)가 많은 수종(樹種)은 적은 수종(樹種)에 비(比)하여 대체(大体)로 발근(発根)이 늦었고, 배축(胚軸)의 유관속(維管束) 구조(構造)가 근계(根系)의 유관속체계(維管束体系)를 아직 탈피(脱皮)하지 않은 단계(段階)의 삽수(揷穗)에서는 완여(完余)히 정상적(正常的)인 줄기의 유관속체계(維管束体系)를 갖춘 것에 비(比)하여 발근(発根)이 빨랐다. 발근(発根)이 더 용이(容易)하였다는 사실(事実)은 이 경우 삽수하단조직(揷穗下端組織)이 근경전이부(根茎転移部)에 접근(接近)해 있었다는 가능성(可能性)을 암시(暗示) 할 수 있다. 7. 침활엽수(針濶葉樹) 공(共)히 배축(胚軸)을 삽수(揷穗)로 사용(使用)하였을 경우엔 성숙지(成熟枝)의 삽수(揷穗)와는 달리 대체(大体)로 유관속(維管束) 부근(附近)의 유조직(柔組織)이 근원기형성(根原基形成)의 주요(主要) 위치(位置)가 되며, 침활엽수간(針濶葉樹間)에 뚜렷한 구별(区別)이 어렵다. 8. 유경삽수(幼茎揷穗)에서는 엽적(葉跡)에서 인접(隣接)한 사부(篩部) 및 형성층세포(形成層細胞)들과 관련(関聯)하여 또는 유합조직(癒合組織)으로부터 근원기(根原基)가 형성(形成)되는 예(例)가 많으며, 배축삽수(胚軸揷穗)에서는 주(主)로 유관속간유조직(維管束間柔組織)이 근원기형성(根原基形成)의 주요위치(主要位置)가 되었다가 조직(組織)이 점차 발달(発達)되어감에 따라 그 위치(位置)가 유관속형성층(維管束形成層)으로 바꾸어져 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