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oracic complication

검색결과 945건 처리시간 0.029초

늑골 절제술 환자에서 기관 내 튜브 발관 후 발생한 음압성 폐부종 -1예 보고- (Post-extubation Negative Pressure Pulmonary Edema Complicating Partial Rib Resection -A case report-)

  • 김재준;조민섭;조규도;박연진;김용신;조덕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4호
    • /
    • pp.313-316
    • /
    • 2007
  • 전신마취 회복기에 발생하는 음압성 페부종은 드물게 발생하나, 여러 종류의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으로 심각한 합병증이다 음압성 페부종의 발생 기전은 기관 내 튜브 발관 후 심한 자발적인 호흡시도와 성문폐쇄 및 후두경련으로 인한 기도폐쇄와 연관하여 현저하게 기도 내 음압이 상승하여 생긴다고 한다. 저자들은 건장한 26세 남자 환자에서 양성 늑골종양에 대한 늑골 부분절제술 후 기관 내 튜브 발관 후 심한 음압성 폐부종과 각혈이 발생하였으나 성공적으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이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자발 호흡를 유지한 상태하의 복부 대동맥류 수술 -1예 보고- (Surgical Repair of Abdominal Aortic Aneurysm under Epidural Anesthesia in Patient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case report-)

  • 박성용;홍유선;이기종;유송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0호
    • /
    • pp.782-785
    • /
    • 2006
  • 복부 대동맥류의 수술에 있어서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수술 사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수술 후 호흡기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서는 강제적 기계 호흡을 줄이고 가능한 환자의 자발 호흡을 유지하는 것이 수술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복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한 77세의 남자 환자로 수술 전 검사에서 약 9 cm크기의 복부 대동맥류가 발견되었으나, 심한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 동반되어 수술 후 사망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 경우에서 경막외 마취등을 통해 환자의 자발 호흡을 유지한 상태로 복부 대동맥류 절제 및 인조혈관 삽입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재팽창성 폐부종 3례 보고- (Reexpansion Pulmonary Edema)

  • 오덕진;이영;임승평;유재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5호
    • /
    • pp.581-584
    • /
    • 1996
  • 재팽창성 폐부종은 기층이나 흥수 또는 무기폐로 인해 오랜 시간동안 폐허탈이 있는 상태에서 빠른 속도로 공기나 많은 양의 흥수를 일시 에 제거함으로써 폐가 갑자기 재팽 창될때 올 수 있는 매우 드문 합 병증으로 때로는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심각한 상태에 빠지기도 한다. 재팽 창성 폐부종의 가장 중요한 요 소는 폐하탈기간(대부분 3일이상)과 음압을 사용한 급속한 재팽창이라고 생각되어진다. 본원에서는 재 팽창 폐부종 3례를 경험하였는데 2례에서는 수일동안 경과된 기층환자에서 폐쇄식 흥관삽관술 직후에 일측성으로 폐부종이 발생하였으며 산소흡입만으로 증상이 호전되 었다. 다른 1례 에서는 다량의 흥수로 폐쇄식 흥관삽술을 통해 약 2000mL의 층수를 배액한후 일측성으로 폐부종이 발생하였으며 이어 심정 지가 발생하여 심폐소생술에도 불구하고 홍관삽관술 시 행 12시간만에 사망하였다.

  • PDF

판막수술 후 항응고제 투여로 인한 피부괴사증 (Warfarin-induced Skin Necrosis After Valve Surgery)

  • 문승철;이건;이헌재;안대호;임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3호
    • /
    • pp.307-309
    • /
    • 1999
  • 판막수술 후 반드시 투여해야 하는 항응고제로 인한 피부괴사증은 매우 드문 합병증으로 기전은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항응고제의 초기 투여시 제2, 9, 10 응고인자에 비해 C 단백질이 급격하게 감소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일시적인 과응고 현상이다. 저자들은 다중판막 치환술 1개월 후에 양측 유방부위에 발생한 광범위한 피부괴사증을 경험하였다. 진단 즉시 \ulcorner파린 투여를 중단하고 저분자량의 헤파린으로 대치하였으며 피부괴사증은 5일 후 치유가 되었고 그 후 다시 와파린 투여를 저용량부터 시작하여 서서히 증량해가며 저분자량 헤파린 투여를 중단할 수 있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흉부외상 환자중 개흉술이 필요했던 53례에 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f 53 Patients Requiring open Thoracotomy After Thoracic Injuries)

  • 김규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4권11호
    • /
    • pp.1115-1124
    • /
    • 1991
  • Recently the thoracic injuries have been markedly increasing due to the vast increase of traffic accident, industrial disaster, and incidental accident as well as the frequent use of the murderous weapons including gun or rifle. Because the thoracic injuries could involve the heart, lung, and great vessels, and would influence the lives, prompt diagnosis and adequate treatment are essential. Most of thoracic injuries can be managed with the conservative treatment and simple surgical procedure such as closed thoracostomy, but certain cases require open thoracotomy to preserve lives and to return to their normal environment. The authors have analysed the result of 53 cases of open thoracotomy after thoracic injuries mainly according to the patient`s chart review. The mean age was 33.4 years old and male to female ratio was about 5: l. Injury mechanisms that elicited thoracic trauma indicated for open thoracotomy were penetrating[47%] and non-penetrating[53%] injuries. The Most common type of the thoracic lesion was hemothorax with or without pneumothorax and diaphragm rupture was the second. 58\ulcornero of thoracic injuries were accompanied by abdominal injuries and 47% by bone fractures. 34 patients were operated within 24 hours after injury and their average elapsed time was 13.6 hour. The remained patients were operated after 24 hours and their average elapsed time was 7.8 days. 71 cases of operative procedures containing some overlappings were performed: diaphragm repair[28], bleeding control[12], pulmonary and cardiac repair[4 cases] Postoperative complication rate was 32.1% and operative mortality rate was 9.4%[5/53].

  • PDF

대동맥장루 -1예 보고- (Aortoenteric Fistula -one case report-)

  • 김혁;정태열;반동규;정원상;김영학;강정호;지행옥;이철범;권오정;김경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2호
    • /
    • pp.176-179
    • /
    • 2001
  • 이차성 대동맥장루는 아주 드물며 대동맥-장골동맥의 재건수술의 중대한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 질환은 진성 대동맥장루와 paraprosthetic enteric fistula 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합병증의 예방, 진단 및 치료는 추구해야할 문제로 되어 있다. 염증성 가성동맥류로 복부대동맥 및 장골동맥을 인조혈관으로 치환한 후 41개월에 내시경으로 Paraprosthetic enteric Fistula로 진단되어 수술을 시행한 39세 남자환자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한다.

  • PDF

영아에서 발생한 식도열공탈장 수술치험 -1례 보고- (Esophageal Hiatal Hernia in Infant -A Report of Case-)

  • 진웅;이선희;김우찬;박재길;곽문섭;김세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1호
    • /
    • pp.72-75
    • /
    • 1994
  • The esophageal hiatal hernia is a rare disease in Korea especially in children and infant. We experienced a case of type III esophageal hiatal hernia in 9 months female. She had no specific past history and familial history except recurrent URI and postprandial habitual vomiting. The chest X-ray and Barium swallowing showed herniated stomach in Rt. thoracic cavity and posterior mediastinum. We performed modified Belsey Mark IV procedure with using the 3-0 and 4-0 Pledgeted Ticrons. In operative field, the stomach cardia portion was herniated into the Rt.thoracic cavity and posterior mediastinum with elevation of the esophagogastric junction above the diaphragm. But there was no evidence of short esophagus and combined anomaly. The postoperative courses were uneventful and good without specific complication for about 5 months to this point.

  • PDF

양측 내흉동맥을 이용한 관상동맥우회술의 조기 결과 (The Early Results of CABG with Bilateral Internal Thoracic Artery)

  • 조광현;최강주;김경현;전희재;윤영철;이양행;황윤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303-308
    • /
    • 2003
  • 배경: 관상동맥우회술 시 이용하는 내흉동맥은 그 장기 개통률이 다른 도판보다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양측 내흉동맥을 이용하면 좋은 개통률로 보다 많은 관상동맥에 접근할 수 있다. 그러나 양측 내흥동맥의 박리로 수술조기 합병증이 증가할 것이라는 관점이 있어 보고자가 경험한 수술 조기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7월부터 2002년 5월까지 양측 내흉동맥을 이용하여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한 2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 중 당뇨병을 가진 8예와 당뇨병이 없는 18예를 비교하여 수술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같은 기간에 단측 내흉맥을 이용하여 수술한 20예를 대상 환자군과 비교하여 그 수술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사망은 없었다. 수술 후 합병증은 창상감염으로 당뇨군과 정상군 각각 1예가 있었다. 당뇨군과 정상군 간에는 수술시간, 기관삽관시간, 출혈량, 강심제투여시간, 그리고 합병증 발생에서는 서로 차이가 없었다. 단측 내흉동맥군과 수술결과에 있어 차이가 없었다. 결론: 양측 내흉동맥을 이용한 관상동맥우회술의 수술 조기결과는 단측 내흉동맥을 이용한 수술결과와 차이가 없었고 양측 내흉동맥을 이용한 환자 중 당뇨병이 있는 경우에도 정상군과 수술결과의 차이는 없었다. 당뇨병 환자에 있어 양측 내흉동맥의 이용은 고려할 만하다고 생각한다.

흉부대동맥류 환자에서 경피적 인조혈관 스텐트의 사용 (Use of Percutaneous Endovascular Stent Graft in Patients with Thoracic Aortic Aneurysm)

  • 전용선;백완기;윤용한;김영삼;김광호;김정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2호
    • /
    • pp.157-161
    • /
    • 2006
  • 최근 대동맥류 질환에서 혈관내스텐트 치료는 외과 수술의 대체적 치료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두명의 고위험군 흉부대동맥류 환자에서 혈관내스텐트를 이용하여 치료하였다. 시술 후에 특별한 합병증은 없었으며 각각 3개월과 10개월 후의 추적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대동맥류는 소실되는 양상을 보였다.

식도암 수술후 흉곽내 위 천공 -치험 2례- (Perforation of Intrathoracic Stomach after Ivor Lewis Operation for Esophageal Cancer - 2 cases report -)

  • 이영;황의두;황경환;윤수영;나명훈;유재현;임승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9호
    • /
    • pp.911-914
    • /
    • 1998
  •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 교실에서 흉부식도암 수술적 치료로 흉곽내 위문합 Ivor Lewis 수술후 흉곽내 위천공이 발생한 환자 2례를 치험하였다. 문합부는 문제가 없었으나 경구섭취 후 흉강을 통한 배액이 증가되었다. 위천공은 재수술을 위해 개흉술을 시행하여 확인 할 수 있었다. 위천공 부위는 재봉합 후 늑간근을 이용하여 보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