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ird Sector

검색결과 435건 처리시간 0.029초

도시공원 특성에 따른 관리유형의 평가 (An Evaluation on Management Types by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s)

  • 김효정;강은지;조중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1-30
    • /
    • 2010
  • 본 연구는 최근 공원관리에 대한 새로운 방법론이 요구됨에 따라 공원유형을 재분류하고, 그에 적합한 관리방식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제안된 공원유형은 공원이용자, 이용시설 및 자원, 관리업무의 난이도에 따라 '산지자연형 공원', '생태목적형 공원', '시설집중형 공원'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공무원과 일반시민 등 이용자로 나누어 설문조사를 한 결과, 산지자연형 공원은 주민들이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공원으로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자치구에서 관리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목적형 공원은 전문성이 요구되는 공원으로 전문성을 가진 민간단체를 지정하는 것이 좋으며, 시설집중형 공원은 복합적인 공간으로한 방식보다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관리방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 분야 예비타당성 제도의 개선방향 (How to Improve R&D Pre-Feasibility Study System)

  • 최석준;간형식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87-313
    • /
    • 2008
  • 도로, 항만 등 사회간접자본 투자의 사업성 분석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예비타당성 제도가 연구개발 분야의 성과관리 강화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해 500억원 이상의 대형 연구개발 시설 및 장비 사업을 신규 분석 대상으로 포함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연구개발 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예비타당성 방법론을 분석하고 실제 연구사례에 대한 분석 및 평가를 실시, R&D 분야 예비타당성의 제도적 한계점을 도출하고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경제성 분석에서의 편익을 추정하는 방법을 R&D 분야에 적합하도록 개선하는 방법과 비용 추정에 있어서의 일관성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방법을 개선방향으로 제안하였으며, 정책성 분석과 AHP 제도에서는 기술성 평가제도의 도입, 지역균형 발전 평가제도의 개선, 재원 조달 가능성 검토 방식의 개선, 기술 전문가의 AHP 참여 의무화 등의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노인의 공적, 사적이전소득이 삶의 만족도,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Elderly private transfer Income and public transfer Income on life satisfaction and Self Esteem)

  • 원경혜;이상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3787-3796
    • /
    • 2015
  • 본 연구는 노인의 공적 이전소득과 사적이전 소득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 자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T-test, 아노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논의 하였다. 첫째, 노인의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에 따른 삶의 만족도, 자존감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사적이전소득중 자녀로 부터의 보조금과 공적이전소득은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와 자존감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적이전 소득 중 민간.개인보조금은 적을수록 자존감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노인의 경제적 자립이 자존감을 높이는 계기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좀 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공적이전체계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또한 사적이전소득 중 자녀로 부터의 보조금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므로 가족 간의 지속적인 관심과 유대가 필요하다.

녹색산업의 지역경쟁력 확보를 위한 산업유형별 클러스터 형성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Plan of Green Cluster by Sectoral Type for the Enhancement of Regional Competitiveness in Green Industry)

  • 김수경;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081-1089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녹색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클러스터 형성방안을 제시하고자, 녹색산업의 지역경쟁력과 영향요인을 분석했다. 첫째, 신재생에너지산업은 경기, 경남, 충북, 충남, 울산, 전남에서, 탄소저감산업은 울산, 경기, 경북, 충남, 서울, 충북, 인천에서 각각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재생에너지산업은 기업, 노동, 연구개발 등의 요소조건 부문이, 탄소저감산업은 성과, 정책 제도, 시장점유, 산업특화 등의 구조 및 경쟁 부문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녹색산업은 기존의 산업기반이 양호한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 녹색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기존 산업기반의 녹색화와 더불어 선택과 집중의 전략이 요구된다.

공동체 활동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빌리지 기술개발 수요분석 (Demand Analysis of Technology Development for Smart Village based on Community Activities)

  • 박소연;조혜진;정남수
    • 농촌계획
    • /
    • 제26권2호
    • /
    • pp.117-126
    • /
    • 2020
  • In this study, demands of smart technology development were analyzed for rural village communities. Questionnaire items were derived by grasping the current statu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49 villages in 8 regions were selected and surveys and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92% of community leaders use smartphones, search for information (38%), communicate with the Internet (36%) using smartphones, use KakaoTalk (31%), and Facebook (24%). Second, in the rural and urban exchange activities, promote support information service (51%) and promote method suggestion service (48.5%) showed that the demand for services in promote field was high. It is linked to the creation of economic opportunities. Third, in the income and production activities, demand for distribution services technology (39.3%) was high in the field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nd cold chains that help maintain freshness until food, such as meat, fish, and vegetables are delivered to consumers when agricultural products are distributed. The constant temperature control system needs to be actively introduced. Fourth, autonomy activities showed the highest demand for air conditioning and control systems (34.2%) of community building, and the lowest demand for electronic voting (9.4%) and videoconferencing (9.4%) services. Lastly, in the general activity area of the community, the demand for technology of emergency services (37.1%) and health self-diagnosis service (35.4%), which are technologies in the welfare sector, ranked first and second respectively.

농촌마을 계획.정비를 위한 농촌마을모델 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and Formation of the Rural Village Model for the Rural Village (Re)development)

  • 임승빈;조순재;박창석
    • 농촌계획
    • /
    • 제2권2호
    • /
    • pp.57-66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ural village model which is able to be applied to the rural village (re)development. The rural village model consists of five sector models land use model, residential unit model, public facilities allocation model, productive space arrangement model, road & green system model. The village model as a spatial structure needs modification/revision through the its application to various sites. The following are suggestions developed in the process of preparing a model for the Korean rural village. First, some indices presented in the land use model need to be further studied as the planning indices before implementing the rural village projects. Second, it is recomended that the image of a rural village needs to be created by developing the residential unit(6 households) as a planning development unit, And various residential unit models need to be suggested. Third, it is desirable to develop the double circulation system and green edge(1 m), and to introduce pedestrian road as much as possible for the amenity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urth, being located within walking distance from the existing village, new-introduced site should be developed as a interlinked and opened structure. The rural village model is useful in preparing the spatial structure for the village (re)development, and in finding the best design solution responsive to the conditions of a project site.

  • PDF

Fire research in Sweden for 1997-99

  • Arvidsson, Tommy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1997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re Science and Technology
    • /
    • pp.44-48
    • /
    • 1997
  • The Swedish Fire Research Board was established in 1979 to initiate and fund relevant fire research efforts. The Board is responsible for a long term research programme revised every third year, and the Board is one of two major Swedish sponsors of all fire research. Beside the Board we also have the Swedish National Rescue Services, funded by the government. BRANDFORSK gives very high priority for the industry and the insurance company and the need they express for fire research. Research that the Rescue Services Board are funding is mainly focusing the need for the fire department. The Swedish Fire Research Board, BRANDFORSK, is the joint agency of the Swedish government, the insurance industry and the business sector, for the initiation, funding and supervision of different kinds of fire research. Work is directed by a Programme Board and is performed in the form of projects at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state authorities and private firms. The Secretariat of BRANDFORSK shares the premises of the Swedish Fire Protection Association, SFPA, and the SFPA is the principal and the party which enters into agreement with the State. The programme for the period 1997-1999 has been drawn up on the basis of both damage development and the trends in society which can be noted, and the evident fire problems of the interested parties and their need for fire research. The inputs in the programme have been broken down seven problem areas. In every problem area different project areas are set out, and these primarily specify the aim of the work. Our seven problem-areas are; Costs and benefits of fire protection measure. The role and behaviour of people and organizations Fire In buildings Fire in underground facilities Rescue operations fire in industries Fire and the environment. In comparison with previous fire research programmes, cost/benefit studies have been accorded higher priority, and this is also reflected in other problem areas. Grater Emphasis

  • PDF

An Analysis of Macro Aspects Caused by Protectionism in Korea

  • Kim, Yuri;Kim, Kyunghun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5권1호
    • /
    • pp.1-17
    • /
    • 2021
  • Purpose - The global trend of protectionism has expanded since the onset of US President Donald Trump's administration in 2017. This global phenomenon has led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world trade volume and a negative impact on economic development in some countries where the external sector accounts for a large proportion of GDP. Although Korea is a country vulnerable to this deteriorating trade environment,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ctionism and its business cycles based on Korean data. Thu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protectionism on Korea's business cycle. Design/methodology - To identify future implications, we conduct a 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on (VAR) analysis using monthly Korean data from 1994 to 2015. Macroeconomic variables in the model include the industrial production index, inflation rates, exports (or net exports), interest rates, and exchange rates.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shock reflecting the expansion of protectionism, we use an antidumping investigation (ADI) data. Since ADIs are followed generally by the imposition of antidumping tariffs, they have no contemporaneous impact on tariffs and are also contemporaneously exogenous to other endogenous variables in the VAR model. We examine two kinds of ADI shocks i) shocks on Korean exports imposed by Korea's trading partners (ADI-imposed shocks) and ii) shocks on imports imposed by the Korean government (ADI-imposing shocks). Findings - We find that Korea's exports decline sharply due to ADI-imposed shocks; the lowest point at the third month after the initial shock; and do not recover until 24 months later. Simultaneously, the inflation rate decreases. Therefore, the ADI-imposed shock can be regarded as a negative shock on the demand curve where both production and price decrease. In contrast, the ADI-imposing shock generates a different response. The net exports decline, but the inflation rate increases. These can be seen as standard responses with respect to the negative shock on the supply curve. Originality/value - We shed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ctionism and Korea's economic fluctuations, which is rarely addressed in previous studies. We also consider the effects of both protective policy measures on imports to Korea imposed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on policy measures imposed by Korea's trading partner countries on its exports.

NGO 기록관리 컨설팅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Consulting Methodology for Building Records Management Scheme for NGOs)

  • 임진희
    • 기록학연구
    • /
    • 제26호
    • /
    • pp.3-32
    • /
    • 2010
  • 제 3의 섹터에 속하는 NGO는 현대사회의 주요한 구성주체 중 하나이다.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NGO 활동기록을 남김으로써 이 사회를 보다 완전하게 기록화할 수 있다. 이 논문은 NGO 기록의 가치를 살펴보고, 관리의 필요성을 확인하며, NGO 기록관리 체계구축 컨설팅 프로젝트의 두 가지 사례를 살펴보고, NGO들이 기록관리 체계를 구축하도록 컨설팅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사례로는 소규모의 지역 기반의 단체와 주제 기반의 단체를 대상으로 수행한 기록관리 컨설팅 프로젝트 경험을 소개하고 있다. 컨설팅 방법은 방향설정 단계, 현황분석 단계, 개선모형설계 단계, 이행 및 종료 단계를 구분하고 각 단계별로 수행해야 할 세부과제를 정리하여 제시하고 있다. 장기적인 NGO 아카이브 비전을 바탕으로 NGO 스스로가 기록관리를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기록관리 표준지침서를 개발하여 보급할 필요가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주요기반시설 사이버보안 정책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ump Administration Cybersecurity Policy: Focusing on Critical Infrastructure)

  • 김근혜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907-918
    • /
    • 2019
  • 본 연구는 트럼프 행정부에서 발표한 행정명령, 사이버보안 전략, 법안을 분석함으로써 트럼프 행정부 출범이후 미국의 주요기반시설에 관한 사이버보안 정책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첫째, 백악관의 역할이 약화되고 국토안보부가 국가 사이버보안 기능을 총괄하게 되었다. 둘째, 트럼프 행정부는 주요기반시설의 정의를 확대함으로써 주요기반시설 사이버보안 분야에서 정부의 역할을 확대하였다. 셋째, 필요시 정부가 민간 주요기반시설의 운영에 관여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정책방향은 백악관의 견해보다는 국토안보부와 전문 관료들의 견해가 적극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오바마 행정부의 정책을 보완 개선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트럼프 행정부의 사이버보안 정책을 분석한 학술연구는 많지 않다. 트럼프 행정부의 주요기반시설의 사이버보안 정책에 대한 분석결과는 한국의 사이버보안 정책에도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