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inned

검색결과 343건 처리시간 0.025초

$Estradiol-17\beta$의 복강주사에 따른 미성숙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혈장 VTG, ALPP, Ca, GPT 및 HSI의 일시적 변동 (Temporal Changes of Plasma Vitellogenin (VTG), Alkaline-Labile Protein Phosphorus (ALPP), Calcium (Ca),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GPT) and Hepatosomatic Index (HSI) in the $Estradiol-17\beta-Administered$ Immature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황운기;심정민;박승윤;지정훈;강주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91-198
    • /
    • 2004
  • $estradiol-17\beta$ ${E_2}$에 노출된 미성숙 조피볼락의 혈장 내 vitellogenin (VTG), alkaline-labile protein phosphorus (ALPP), calcium (Ca),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GPT) 및 hepatosomatic index (HSI)의 일시적인 변화가 조사되었다. 70% 에탄올에 녹여진 ${E_2}$ (5 mg/kg B.W.)를 조피볼락 치어의 복강에 주사한 후 0, 1, 3, 6, 9, 12 및 15일에 혈장이 수집되었다. 전기 영동상에서 주사 후, 3일째 약 170 kDa의 위치에 염색성을 나타내는 VTG 밴드가 검출되었다. 밴드의 염색성은 6일째 더욱 강하게 나타났지만,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흐려져 15일째에는 노출 전 처럼 VTG 밴드가 관찰되지 않았다. 혈장 내 ALPP와 Ca는 1일째부터 급격히 증가했으며 VTG 변동과 유사하게 6일째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낸 후,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점점 감소해 15일째는 노출 전과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GPT는 투여 1일부터 급격히 증가해 3일에 최고치를 나타낸 이후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HSI의 경우도 1일째부터 증가해 3일째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낸 후, 점점 감소해 ${E_2}$ 투여전과 유사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로 E2에 노출 된 이후 조피볼락의 혈장 내 ALPP, Ca, GPT 및 HSI는 혈장 VTG와 유사한 증․감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ALPP, Ca, GPT 및 HSI는 VTG와 더불어 연안 생태계 내에서 외인성 ${E_2}$ 노출에 대한 생물학적 지표로서 사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기내에서 Light-Emitting Diodes(LEDs)를 이용한 광질과 광조사 방법이 사과 토양병원균의 균사생장에 미치는 영향 (In Vitro Effect on Light Qualities and Lighting Types Provided by Light-Emitting Diodes (LEDs) for the Mycelia Growth of Soil-Borne Fungal Pathogens in Apple)

  • 이성희;권의석;신현만;장후봉;남상영;홍의연;차재순;허정욱
    • 식물병연구
    • /
    • 제22권2호
    • /
    • pp.100-106
    • /
    • 2016
  • 본 연구는 LEDs를 이용한 광질과 광조사 방법이 사과나무를 고사시키는 토양병원균 4종의 균사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P. cactorum KACC40166 (역병균), A. rolfsii KACC40170 (흰비단병균) 및 H. mompa KACC40836 (자주날개무늬병균) 균주는 광조사 방법 간에 차이 없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 간 10% 이내의 차이로 유사한 균사생장을 보였다. 그렇지만, R. necatrix KACC40168 (흰날개무늬병균) 균주의 균사생장은 광조사 방법 간에 공통으로 대조구와 비교하여 LED 청색광, 청색+녹색 혼합광, 청색+적색 혼합광 및 형광등 조사에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R. necatrix KACC40168 균주의 멜라닌 색소는 광조사 방법과는 상관 없이 LED 녹색광과 형광등 하에서 상대적으로 강하게 발현된 반면에, LED 적색광과 대조구에서는 유도되지 않았다. 더욱이, R. necatrix KACC40168 균주의 균사 폭은 광조사 방법 간에 공통으로 대조구와 비교하여 LED 청색광과 청색+녹색 혼합광에서 유의성 있게 얇아졌다.

신장동맥 색전술을 실시한 실험적 수신증의 전산화 단층촬영 (Computed tomographic evaluation of experimental hydronephrosis treated with transarterial embolization of renal artery in Beagle dogs)

  • 장동우;윤정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421-427
    • /
    • 2001
  • 개에서 실험적으로 편측성 신수종증을 유발한 후, 이오헥솔-에탄올 용액을 신장동맥내로 주입하여 신수종증이 유발된 신장으로의 혈류를 차단하는 신동맥 색전술을 실시하고, 선택적 동맥촬영술, 조영증강 전산화 단층촬영, 이용하여 색전술이 실시된 신수종증의 신장과 반대편 정상신장을 평가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적 수신증은 2두의 비글견의 편측 근위 요관을 이중결찰하여 유발하였으며 개에서 요관 결찰 17일째에 편측성 수신증이 유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장동맥 색전술은 2두의 신수종증이 유발된 신장측의 신장동맥에 대퇴동맥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카테터를 삽입한 후 이오헥솔-에탄올 용액을 주입하였으며, 시술 중 심전도, 산소포화도, 체온, 맥박, 호흡수는 모두 정상범위에 있었다. 신장동맥 색전술 후 사망한 개체는 없었으며, 색전물질의 유출로 인한 부작용도 관찰할 수 없었다. 색전술 직후 그리고 14일째에 실시한 선택적 동맥촬영술을 통하여 색전술을 시행한 2두의 개의 신장동맥에서 재맥관화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군의 2두와 대조군의 1두에서 실시한 전산화단층촬영상에서는 색전술 실시 후 14일째에 실험군과 대조군의 신장의 신우부가 확장되고 확장된 신장에 의해 비장이 복측으로 변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색전술 실시 후 두 달째의 소견에서는 색전된 신장의 크기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영제 증강 전산화단층촬영에서는 색전술을 실시하지 않은 신장피질의 신호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색전술을 실시한 신장피질의 신호강도는 증가하지 않았다. 따라서, 조영 증강 전산화 단층촬영은 개의 수신증에 실시한 신장동맥 색전술 후의 신장동맥의 재맥관화를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법으로 사료된다.

  • PDF

잣나무림조림지에서 간벌이 절지동물 풍부도와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inning on Abundance and Community Structure of Arthropods in a Pinus koraiensis Plantation)

  • 권태성;양희문;신준환;김석권;이훈복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87-198
    • /
    • 2010
  • 간벌 후 하층식생과 낙엽층에 큰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식식성 절지동물이나 부식성 절지동물의 변화가 예상된다. 1998~2000년(과거 간벌)과 2007년(최근 간벌)에 간벌이 실시된 춘천의 30~50년생 잣나무 조림지를 대상으로 함정트랩법으로 2006년과 2008년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절지동물의 밀도와 군집구조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과거 간벌의 영향은 나타났으나 최근 간벌의 영향은 발견되지 않았다. 간벌로 인한 영향이 부식성 절지동물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식식성 절지동물이 높았으며, 포식성 절지동물에서 가장 낮았다. 부식성 절지동물의 다양한 변화는 확인이 되었으나, 식식성 절지동물의 증가는 일부 분류군(식식성 메뚜기목)에서만 발견되었고, 감소한 식식성 절지동물(바구미과)도 있었다. 간벌로 인해 밀도가 증가하는 분류군과 감소하는 분류군의 상쇄효과로 인해 절지동물의 전체 밀도는 변화가 없었다. 군집구조의 경우 연도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았고, 과거 간벌의 영향이 다음으로 강했으나 최근 간벌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하잠기와 초추잠기에 있어서의 간벌수확이 뽕나무의 발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Thin Out of Mulberry Branches in Summer or Early Autumn on the Growth of Branches and the Yield of Mulberry Leaves)

  • 김문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
    • /
    • 1976
  • 하잠기와 초추잠기에 각주마다 뽕나무지조중 잔가지와 정상가지 2개씩을 솎아베기하였을 경우에 가지의 발육과 수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봄베기한 뽕나무에 있어서 하잠기에 솎아베기를 하고 추잠기(이 기간 42일간)에 수확을 한 경우에 있어서 (1) 추잠기까지에 그 평균조장이 19% 가 증가하여 솎아베기를 하지않은 경우의 증가율 8% 보다 11% 나 그 증가비율이 높았다. (2) 솎아베기를 하면 이것을 하지않은 경우에 비하여 하잠기와 추잠기의 합계수량에 있어서 유의성은 없지만 9% 정도 증수가 된다. 2) 여름베기한 뽕나무에 있어서 초추잠기에 솎아베기를 하고 추잠기(이 기간 15일간)에 수확을 하는 경우와 만추잠기(이 기간 29일간)에 수확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1) 그 평균조장은 솎아베기를 한 경우나 하지않은 경우나 다 같이 추잠기까지는 6∼7%, 만추잠기까지는 8% 정도 증가하여 솎아베기의 효과를 인정할 수가 없었다. (2) 초추잠기와 추잠기의 합계수량은 솎아베기를 한 경우가 하지않은 경우에 비하여 6%가 증수가 되어 유의성은 없지만 증수의 경향이 있고 초추잠인와 만추잠기의 합계수량은 솎아베기를 한 경우가 하지않은 경우보다 12%가 단수가 되어 5%의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3) 솎아베기가 평균조장의 증가에는 별로 효과가 없지만 수량증가에는 효과를 나타낸 것은 솎아베기를 하므로 말미암아 뽕나무주내의 생활조건을 개선하여 광합성작용을 왕성하게 하므로써 엽중을 증가시킨 까닭이라고 생각된다.

  • PDF

각막 내피 세포 영상내 육각형 경계의 검출과 보완법 (Extraction and Complement of Hexagonal Borders in Corneal Endothelial Cell Images)

  • 김응규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3호
    • /
    • pp.102-11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저 명암 대비 영상에서 잡음이 많은 육각형을 포함하는 윤곽 검출과 보완의 2단계 처리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라플라시안-가우시안 필터(LGF)의 조합과 형상에 의존하는 필터의 아이디어에 기초한다. 먼저, 1단계에서는 모서리에서 특히 육각형상의 에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로서 6개의 마스크를 갖는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여기에서 두 개의 삼각화살 모양의 필터는 육각형의 삼각화살 모양의 접속부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고, 기타 네 개의 필터는 육각형 주변의 에지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자연영상으로서 보통 규칙적인 육각형상의 각막 내피 세포를 선택하며, 이 각막 내피 세포의 형상을 자동적으로 계측하는 것은 임상진단에 있어서 중요하다. 그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제안 방법과 기존 방법을 잡음을 포함하는 육각형 영상에 적용한다. 그 결과, 제안 알고리즘이 기존의 다른 방법에 비해 잡음에 대한 강인성과 출력 신호 대 잡음비, 에지 일치율 및 검출 정확도의 면에서 보다 양호한 검출률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2단계에서는 에너지 최소화 알고리즘에 의한 세선화 영상의 결손 부분을 보완한 후 임상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세포의 면적과 분포를 계산한다.

고온하에서 질소시비가 근류균을 접종한 Alfalfa의 생육부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EFFECT OF NITROGEN AND AGE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 SEEDING ON GROWTH AND NODULATION WHEN GROWN UNDER A HOT ENVIRONMENT)

  • 김무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5-30
    • /
    • 1987
  • 영양액을 사용한 고온하의 Growth chamber에서 근류균을 접종한 Alfalfa의 수양시기별 작물명부위에 대한 실표시비의 영향에 관한여 미국 University of Nevada에서 실험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초장과 그장에 대한 실표시비의 효과는 높이 인정되었으나 근장에 있어서는 유의성이 없는 다소의 증가을 보였다. 실표시비의 작물의 용접과 건물수량은 무실표구에 비하여 2배이상의 증가를 보여 실표시비의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근류의 착생수에 있어서도 실표시비의 효과가 인정되었으나 전구 공히 근류균의 활동이 미흡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들은 Alfalfa 분배시 소량의 실표시비의 장려를 암시하는 것 같다.

  • PDF

저온하에서 질소시비가 근류균을 접종한 Alfalfa의 생육부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Effect of Nitrogen and Age of Alfalfa ( Medicago sativa L. ) Seeding on Growth and Nodulation When Growth under a Cool Environment)

  • 김무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51-156
    • /
    • 1986
  • 저온하(低溫下)의 Growth chamber에서 근유균(根瘤菌)(R-12)를 접종(接種)한 Alfalfa의 수확시기별(收穫時期別) 작물(作物) 각부위(各部位)의 질소시비(窒素施肥)의 효과에 관하여 미국(美國) University of Nevada에서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들을 요약(要略)하면 다음과 같다. 초장(草長), 근장(根長) 및 전장(全長)에 있어서는 질소시비(窒素施肥)의 효과가 나타나지 아니하였으며 작물(作物)의 용적(容積)과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질소시비(窒素施肥)의 효과를 가져왔다. 질소시비구(窒素施肥區)의 근유균(根瘤菌)의 착생수(着生數)는 무질소구(無窒素區)에서 보다 많았으나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이 작물(作物)의 원활한 생육(生育)을 위하여서는 미흡(未洽)한 것으로 생각(生覺)된다. 이상의 결과(結果)들은 Alfalfa를 재배시(栽培時) 소량(小量)의 질소시비(窒素施肥)의 필요성(必要性)을 암시하는 것 같다.

  • PDF

서해안 곰솔림의 구조분석과 식물상 - 기지포, 춘장대, 장항 및 구시포를 중심으로 - (Vegetation Structure and Flora of Pinus thunbergii Forests in Western Coast of Korea - Focusing Gijipo, Chunjangdae, Janghang and Goosipo -)

  • 김민하;박종민;장규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99-213
    • /
    • 2016
  • 본 연구는 해안림의 식생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다층구조의 혼효림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파악하고, 관리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에 위치한 기지포, 춘장대, 장항 및 구시포 등 4개 지역의 해안림을 대상으로 식생구조와 식물상을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4개의 조사지역 교목층에서 곰솔이 우점하고 있으며 조사지역에 따라 일부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 소나무, 아까시나무, 졸참나무, 산벚나무, 상수리나무 및 밤나무가 우점하고 있었다. 4개 지역 해안림의 곰솔군락은 전반적으로 어린 개체와 큰 개체의 밀도보다 중간 개체의 밀도가 높아 곰솔군락으로 계속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구시포 해안림의 경우는 지형적인 입지여건에 따라 장기적으로 참나무류의 군락으로 천이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조사대상지에서 총 205종의 식물 종이 조사되어 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층구조의 해안림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곰솔림의 간벌, 통행로 설치, 이용구역 제한 등의 관리를 통해 다양한 식생이 침입하여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대두생력재배(大豆省力栽培)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대두(大豆)의 만파밀식재배(晩播密植栽培)에 있어서 질소(窒素)의 시용량(施用量)이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Labour Saving culture of Soybean (II) -The Effect of Nifrogen Fertilization Amount on the Growth and Grain Yield of Densely and Lately Seeded Soybean)

  • 최창렬;김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1권1호
    • /
    • pp.27-33
    • /
    • 1974
  • 본시험(本試驗)은 대두생력재배(大豆省力栽培)의 일환(一環)으로 만파밀식재배(晩播密植栽培)에 있어서 알맞은 질소(窒素)의 시용량(施用量)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실시(實施)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아기(發芽期)는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의 차이(差異)에 따라 아무런 변이(變異)도 나타내지 않았으나 개화기(開花期) 및 성숙기(成熟期)는 질소(窒素)의 시용량(施用量)이 증가(增加)할수록 늦어지는 경향(傾向)이었다. 2) 간장(稈長) 및 절간장(節間長)은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길어졌으며 경경(莖徑)은 반대(反對)로 질소(窒素)의 시용량(施用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가늘어 짐으로써 이들이 도복(倒伏)을 초래(招來)하는 원인(原因)이 되었다. 3) 주당협수(株當莢數)는 질소(窒素)의 시용량(施用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감소(減少)되었으며 1,000입중(粒重)도 또한 같은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4) 10a당(當) 수량(收量)은 품종간(品種間)에는 고도(高度)의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었으나 처리간(處理間)에는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그러나 조생종(早生種)인 품종(品種)(충북백(忠北白))은 극만파재배(極晩播栽培)(7월(月)5일(日)파종(播種))인 경우(境遇)도 10a당(當) 질소(窒素)의 시용량(施用量)을 6kg 수준(水準)으로 증시(增施)함으로서 수량(收量)의 증가(增加)를 초래(招來)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