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iamine hydrochlorid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6초

Microwave-Assisted One-Pot Synthesis of Octahydroquinazolinone Derivatives Catalyzed by Thiamine Hydrochloride Under Solvent-free Condition

  • Badadhe, Pravin V.;Chate, Asha V.;Hingane, Dattatraya G.;Mahajan, Pravin S.;Chavhan, Namdev M.;Gill, Charansingh H.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936-939
    • /
    • 2011
  • Thiamine hydrochloride (VB1) has been used as an acid catalyst in organic synthesis. One pot three component Biginelli condensation of dimedone, urea/thiourea and substituted aromatic aldehydes catalyzed by 10 mol % of thiamine hydrochloride (VB1) in solvent free condition under microwave irradiation in good to excellent yields has been investigated. Utilization of microwave irradiation, simple reaction conditions, short reaction time, ease of product isolation, and purification makes this manipulation very interesting from an economic and environmental perspective.

Study on the Adsorption of Pharmaceuticals by Filter aids -Adsorption of caffeine, niacinamide, pyridoxine hydrochloride and thiamine hydrochloride by Celite 545 and Dawsonite-

  • Hyun, Yona-Woo;Min, Shin-Hong;Rhee, Shang-Hi;Kim, Yong-Bae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권4호
    • /
    • pp.39-43
    • /
    • 1973
  • 완충액(緩衝液)에서의 caffeine, niacinamide, pyridoxine hydrochloride, thiamine hydrochloride의 여과조제(濾過助劑)에 의(依)한 흡착(吸着)현상을 비교검토(比較檢討)하였다. 실험(實驗)에 사용(使用)한 vitamin 류(類)의 흡착(吸着)은 Langmvir 흡착식(吸着式)의 pattern 에 따랐으며 caffeine 은 거의 흡착(吸着)되지 않았다. 여과조제중(濾過助劑中) Dawsonite는 Celite 545 보다 큰 흡착(吸着)현상을 나타냈으며 pH변화(變化)에 따른 영향(影響)은 niacinamide가 가장 예민하였고 pH의 증가(增加)는 흡착량(吸着量)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 PDF

Leptospira 균(菌) 배양(培養)에 관한 연구(硏究) -가열처리(加熱處理)한 토끼 혈청가배지(血淸加培地)와 Thiamine 첨가배지(添加培地)에서의 Leptospira 균(菌)의 발육(發育)에 관하여- (Studies on Culture of Leptospires On Growth of Leptospires in Cox's Liquid Media and Korthof's Media, Added Rabbit Serum and Thiamine Hydrochloride, Inactivated at High Temperature)

  • 서익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5-81
    • /
    • 1975
  • The rate of growth of Leptospires were studied by culturing in Korthof's media and Cox's liquid media which were treated at four different temperatures. The effect of thiamine hydrochloride in the culture of leptospires were also studied.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erized as followings: 1. The best growth of Leptospira icterohaemorrhagiae and Leptospira canicola was observed in Korthof's media with the rabbit serum heated for 60 minutes at $56^{\circ}C$. 2. A good degree of growth of Leptospira icterohaemorrhagiae and Leptospira canicola was observed in both Cox's liquid media with rabbit serum heated for 30 minutes at $100^{\circ}C$ and with fresh rabbit serum. 3. The growth of Leptospira was enhanced by adding small amount of thiamine to the both media which were shown to be unsatisfactory for the growth of the organisms. 4. Culture of leptospires were attained by simply heating for 30 minutes at $100^{\circ}C$ both Korthof's media and Cox's liquid media containing rabbit serum obtained without aspetic procedures.

  • PDF

경구용 복합제 WHS-1,2의 급성독성시험 연구 (Acute Oral Toxicity Studies of WHS-1 and WHS-2 in Rats)

  • 조대현;황세진;이원용;이주영;윤형중;문병우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권2호
    • /
    • pp.275-279
    • /
    • 1993
  • Single oral administration to SD rats of both sex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cute toxicity of two new cough and cold remedies, WHS-1 and WHS-2. WHS-1 is composed of acetaminophen, chlorpheniramine maleate, cloperastine hydrochloride, dl-methylephedrine hydrochloride, caffein anhydrous, thiamine hydrochloride, riboflavin and serratiopeptidase. WHS-2 is composed of similar formula except that thiamine hydrochloride and riboflavin is not add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LD_{50}$ values of WHS-1 were 4295.5 mg/kg for males and 4606.3 mg/kg for females, and $LD_{50}$ values of WHS-2 were 3236.7 mg/kg for males and 4360.5 mg/kg for females. Death occurred within 2~3 hours after administration at doses up to 2900 mg/kg in WHS-1 and 2500 mg/kg in WHS-2, the main cause of deaths seemed to be respiratory disturbance. General symptoms included decreased motor activity, salivation and loss of consciousness which were commonly observed in all dead animals treated with WHS-1 and WHS-2. No significant gross finding and body weight changes were observed at any dose level in the groups treated with WHS-1 and WHS-2.

  • PDF

젤 여과,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와 HPLC에 의한 효모 엑기스내의 비타민의 분석연구 (Characterization of Vitamins in Yeast Extract using Gel Filtration, 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HPLC)

  • 최인호;홍억기;강환구;김인호
    • KSBB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76-79
    • /
    • 2000
  • Complex, ill-defined mixtures of natural origin are often used as nutrients in the production of biological products through microbial fermentation. Product yields are affected by variation in these natural products. Yeast extract is a typical example of these natural products. Since it is a mixture of amino acids, peptides and nucleic acids, its composition is not well characteriz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perties of thiamine hydrochloride, riboflavin and pyridoxine hydrochlride in yeast extract by using a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Yeast extract solution was fractionated by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and 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then, each fraction was analyzed by using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PDF

비타민 B1 유도체(Thiamine Di-lauryl Sulfate:TDS)의 나노입자화를 통한 고추탄저병균의 항진균 활성 증진 (Enhancement of Antifungal Activity of Anthracnose in Pepper by Nanopaticles of Thiamine Di-lauryl Sulfate)

  • 서용창;조정섭;정해윤;임태빈;조경숙;이태우;정명훈;이강형;김성일;윤원병;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8-204
    • /
    • 201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nhance antifungal activity of anthracnose in chili pepper by nanopaticles of thiamine di-lauryl sulfate (TDS) through high pressure homogenization process. Yield of TDS was 79.14% by reaction of thiamine hydrochloride and sodium lauryl sulfate. TDS nanopaticle solution was manufactured through high pressure homogenization process. The turbidity of nanoparticles solution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TDS, and nanoparticles solution of 100 ppm was showed the highest turbidity with absorbance of 3.212. The size of nanoparticles solution was measured as average 258.6 nm by DLS. Nanoparticles solution of 100 ppm showed growth inhibition activity with higher than about 80%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gainst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Finally, nanoparticles solution was increased effectively the penetration of the TDS nanopaticles on attached cell membrane of hyphae and started to destruct the cells under microscope observation. Consequently, we suggested that the TDS nanoparticle solution by high pressure homogenization process might be suitable biochemical pesticides for improving the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anthracnose in pepper.

Quantitative Analysis by Derivative Spectrophotometry (III) -Simultaneous quantitation of vitamin B group and vitamin C in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 Park, Man-Ki;Cho, Jung-Hwa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45-51
    • /
    • 1988
  • The feature of resolution enhancement by derivative operation is linked to one of the multivariate analysis, which is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two options, all possible and stepwise regression. Examined samples were synthetic mixtures of 5 vitamins, thiamine mononitrate, riboflavin phosphate, nicotinamide, pyridoxine hydrochloride and ascorbic acid. All components in mixture were quantified with reasonably good accuracy and precision. Whole data processing procedure was accomplished on-line by the development of three computer programs written in APPLESOFT BASIC language.

  • PDF

한국산(韓國産) 팽나무버섯에서 선발(選拔)된 두 계통(系統)에 대한 자실체배양상(子實體培養上)의 특성(特性)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ruit Body Formation by Two Selected Strains of Winter Mushroom(Flammulina velutipes) Collected from Korea)

  • 윤정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225-237
    • /
    • 1996
  • 다수성 계통으로 선발된 한국산 팽나무버섯의 두 계통을 톱밥배지에 배양하여 여러 환경조건과, 균사배양배지의 이화학적인 전처리가 자실체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지의 비선택성, $11^{\circ}C{\sim}15^{\circ}C$의 최적온도, 90%의 최적상대습도 및 60 lux의 조도조건에서는 두 계통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처리결과는 배지를 $5^{\circ}C$$10^{\circ}C$, $5^{\circ}C$$15^{\circ}C$의 변온처리, 30~50초의 자외선처리, 5초의 전기처리 및 0.05~0.1%의 Thiamine HCl처리에서 자실체 형성에 좋은 결과를 보였으나 두 계통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요소용액과 IAA용액처리는 두 계통에서 모두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자실체의 형성량이나 크기에서 나타난 두 계통의 특성에 있어서 갈색계통은 황색계통에 비하여 갓이 큰 대산종(大傘種)이며 대가 긴 장병종(長柄種)이었다. 한편 황색계통은 갈색계통에 비하여 자실체 형성중량과 형성수량이 많았으며 소산종(小傘種)이고 단병종(短柄種)으로 확인되었다.

  • PDF

목련(Magnolia kobus DC.)에서 분리한 흰비단병균(Sclerotium rolfsii Sacc.)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clerotium rolfsii Sacc. isolated from Magnolia kobus DC. in Korea)

  • 김기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05-133
    • /
    • 1974
  • 본 연구는 목련에서 분리한 흰비단병균 Sclerotimu rolfsii Sacc.의 분화형을 밝히고 균계생장 및 균핵형성에 대한 영양생리를 구명코저 vitamin, 질소원, 탄소원의 효과를 검토했으며 또 본 균과 Penicillium sp.와의 생태적 관계를 해명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본 균의 균계생장 및 균핵형성에 대한 Penicillium 배양여액의 촉진효과와 그 요인을 밝히려고 시도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서 적요하면 다음과 같다. 1. 목연에서 분리한 흰비단병균 제1형, 축2형은 배지상의 성상이나 생리적 성질 펄 병원성이 상이하였다. 특히 목연 아카시아에 대한 병원성은 양자 동일하나 콩이나 오이에 대해서는 제2형균이 제1형균보다 더 강하였다. 2. 공시된 14종의 질소원중 $KNO_2$와 glycine을 제외하고는 모두 thiamine hydrochloride 10r/l가 첨가되었을 때 비로소 공시균의 균계생장 및 균핵형성에 이용되었다. 질소의 형태별로 보면 균계생장에 있어서는 $NO_3-N$보다는 $NH_4-N$이 훨씬 더 효과적이며 organic N은 화합물에 따라 상이하였다. 그러나 균핵형성에 있어서는 이와 반대로 $NO_3-N$이 효과적이었다. $NO_2-N$은 균계생장이나, 균핵형성에 전혀 효과가 없었다. 3. 공시 탄소원 7종도 대체적으로 thiamine이 존재하지 않는 한 균계생장이나 균핵형성에 아무런 효과가 없었다. thiamine이 첨가될 경우 균계생장에 있어서 glucose와 saccharose가 가장 효과적이고 maltose와 soluble starch는 효과가 적었으며 xylose, lactose, glyceline은 전혀 효과가 없었다. 균핵형성에 있어서는 loctose를 제외하고는 전구에서 균핵형성을 보였으며 모두 비슷한 효과를 나타냈다. 4. 배지중의 질소원이 동일수준이면 탄소원이 증가함에 따라 균계생장량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질소원의 량에는 한도가 있는 것으로 질소 0.5g/l이상에서는 오히려 균계생장이 억제되었다. 그러나 균핵형성에 있어서는 탄소원의 증가에 따라 균핵형성량이 저하하였다. 5. 공시균은 thiamine 결핍균으로서 균계생장 최적 thiamine 농도는 20r/l이고 이 농도를 초과하면 오히려 균계생장이 억제되는데 150r/l에서는 무첨가구와 거의 같은 정도로 억제되었다. 6. 공시균의 생장에 있어서 thiamine의 첨가에 따른 질소원리용도는 $NH_4NO_3>(NH_4)_2SO_4>asparagine>KNO_3$의 순위이며 질소원별 thiamine 최적요구량은 $KNO_3$인 경우 12r/l, asparagine인 경우 16r/l 정도였다. 균핵형성량에 있어서는 $KNO_3>NH_4NO_3>asparagine>(NH_4)_2SO_4$의 순위로서 thiamine 최적량은 $KNO_3,\;NH_4NO_3$인 경우 8r/l에서 전균핵생산량의 대부분이 형성되나 asparagine인 경우에는 16r/l 정도였다. 7. 배양액의 pH는 공시균이 생장을 개시하자마자 3.5정도로 급격히 떨어지나 그 이후부터는 생장량이 증가함에 따라 완만하게 떨어졌다. 그러나 pH2.2 이하로는 더 내려가지 않았다. 8. 공시균의 균계생장에 대한 각종 vitamin의 상호효과는 thiamine, biotin, pyridoxine, inositol의 4가지 조합에 있어서도 thiamine이 첨가되지 않은 곳에서는 거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thiamine+pyridoxine, thiamine+inosital, thiamine+biotin+pyridoxine, thiamine+pyridoxine+inositol구에 있어서는 thiamine 단독 첨가구와 동등 혹은 그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지만 thiamine+biotin과 thiamine+biotin+inosital구는 오히려 떨어졌다. 균핵형성에 있어서는 thiamine 단독구에 비하여 각구 모두 약간씩 증가하였다. 9. Penicillium 배양여액중에는 공시균의 균계생장을 촉진하는 물질이 존재하며 배양여액 6-15ml/50ml 배양액의 농도에서 거의 최고균계생장량에 달하였다. 10. 질소원으로서 첨가한 $NH_4NO_3$ 혹은 asparagine은 균계생장에 있어서 배양여액농도 여가에 관계없이 $NH_4NO_3$가 더 유효하였다. 11. 배양여액에 대한 일련의 처리에 있어서 휘발성물질분획, 비휘발성물질분획, 휘발산분획, ether 가용성유기산분획, ether 불용성물질분획, cation 흡착물질분획, cation 비흡착물질분획, anion 흡착물질분획 및 비흡착물질분획의 9분획중 비휘발성물질분획, ether 불용물질분획, cation 흡착물질분획 및 anion 비흡착물질분획에서만 균계가 잘 자랐다. 그러나 균핵은 오직 cation 흡착물질분획에서만 형성되었다. 12. 이 결과는 배양여액중에 균계생장물질, 균핵형성물질 및 균핵형성억제물질이 존재하며 이들 물질은 각각 별개의 물질로서 전2자는 비휘발성이고 ether 불용성이며 cation교환수지에는 흡착되지 않는 물질이며 후자는 비휘발성이고 ether 불용성이며 cation 및 anion 교환수지에 흡착되지 않는 물질임을 암시한다. 13. DNP-aminoacids paper chromatography에 의하여 cation 교환수지흡착분획중에서 aspartic acid, cystine, glycine, histidine, lycine, tyrosine 및 dinitroaniline 7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다. 14. S. rolfsii의 균계생장 및 균핵형성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cystine, histidine 및 glycine의 단독첨가나 혼합첨가에 의해서 촉진되지 않았고 다만 tyrosine에 의해서 약간 촉진되었다. 15. 균핵의 습열에 대한 저항성은 균핵의 수분함유량에 따라 다르며 수분함유량이 적은 것이 보다 더 강하였다. 배지에서 채취한 균핵은 제1,2형균 모두 $52^{\circ}C$에서 5분에 사멸하거나 155일간 $26{\circ}C$에서 건조시킨 것은 $52^{\circ}C$에 있어서 제1형균은 15분, 제2형균은 10분, $57^{\circ}C$에 있어서는 제1형균은 5분, 제2형균은 10분처리에 사멸하였다. 16. 배양균핵을 132일간 $26^{\circ}C$에서 건조시킨 것은 제1,2형균 모두 전부 발아하였고 기건상태에서 283일간 방치한 천연균핵도 제1,2균형 모두 발아하였으며 443일간처리한 것도 아직 제1형균 $20\%$, 제2형균 $16$의 발아율을 보지하고 있었다. 17. 저온에 대한 저항성은 균계, 균계괴, 균핵의 순으로 강하였는데 균계는 $-7--8^{\circ}C$ 1주간 처리에서 완전 사멸하였으나 균계괴는 $-17--20^{\circ}C$ 3주에서도 아직 사멸치 않은 것이 있었으며 균핵은 $-17--20^{\circ}C$ 3주에서 대부분 생존하였다. 18. 약제저항력은 승괴수 $0.05%$에 있어서 제1형균은 180분 제2형균은 240분, $0.1\%$에 있어서는 제1형균 60분, 제2형균 30분에 각각 사멸하였고, Uspulun 800배에 있어서는 제1형균은 120분에 사멸하나 제2형균은 180분에도 사멸치 않으며 500배에 있어서는 제1,2형균 모두 90분에 비로소 사멸하였다. 그러나 유산동 $5\%$ 240분, Ceresan 석탄, Mercuron 각 500배 80분처리에도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19. Benlate와 Tachigaren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균계생장 억제효과도 증가하였다. 처리 6째에는 Benlate 0.5ppm을 제외하고는 전농도에서 뚜렷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12일째에는 농도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나타냈다. Benlate 0.5ppm 처리는 대조구에 비하여 $66\%$, 2.0ppm은 $92\%$의 억제효과를, Tachigaren은 1ppm $54\%$, 1.5ppm과 2.0ppm은 $77\%$의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양자 모두 500ppm에서는 거의 완전히 균계생장을 억제시켰다. 균핵형성은 Benlate 500ppm과 Tachigaren 500ppm 및 1000ppm에서 $100\%$ 억제되었다. 20. 일반적으로 균계생장량이 증가함에 따라 배지중의 glucose나 $NH_4-N$의 소비량도 증가하였으나 Benlate나 Techigaren을 처리할 경우 그 농도의 증가에 따라 이들의 소비량이 억제되었다. 그러나 Benlate 저농도(0.5ppm 및 1ppm)에 있어서는 $NH_4-N$의 소비가 무처리구보다 많았다. 21. glucose와 $NH_4-N$의 흡수이용효과 즉 glucose나 $NH_4-N$ 1mg을 소비하여 생산된 균계량은 Benlate나 Techigaren의 처리로 말미암아 크게 저하되었다. 그 정도는 농도에 관계없이 처리 3일째에 가장 심했고 이후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높아졌다. Benlate 처리의 glucose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수이용효과가 저하되었다. 22. 토양배양에 있어서 $CO_2$ 배출량으로 측정한 균계생장은 어느 농도에서나 저지되지 않았고 다만 Tachigaren 100mg/g 토양에서만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균핵형성은 Benlate나 Tachigaren 10mg/g 토양에서 완전히 억제되었다. 23. Benlate와 Tachigaren 0.1, 1.0, 10, 100, 1000ppm에 10분 및 20분간 침지처리한 결과 균핵의 발아억제효과를 인정할 수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