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rmoanaerobacterium thermosaccharolyticum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ndocellulase-Free Multienzyme Complex from Newly Isolated Thermoanaerobacterium thermosaccharolyticum Strain NOI-1

  • Chimtong, Suphavadee;Tachaapaikoon, Chakrit;Pason, Patthra;Kyu, Khin Lay;Kosugi, Akihiko;Mori, Yutaka;Ratanakhanokchai, Khan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3호
    • /
    • pp.284-292
    • /
    • 2011
  • An endocellulase-free multienzyme complex was produced by a thermophilic anaerobic bacterium, Thermoanaerobacterium thermosaccharolyticum strain NOI-1, when grown on xylan. The temperature and pH optima for growth were $60^{\circ}C$ and 6.0, respectively. The bacterial cells were found to adhere to insoluble xylan and Avicel.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alysis showed the adhesion of xylan to the cells. An endocellulase-free multienzyme complex was isolated from the crude enzyme of strain NOI-1 by affinity purification on cellulose and Sephacryl S-300 gel filtration. The molecular mass of the multienzyme complex was estimated to be about 1,200 kDa. The multienzyme complex showed one protein on native PAGE, one xylanase on a native zymogram, 21 proteins on SDS-PAGE, and 5 xylanases on a SDS zymogram. The multienzyme complex consisted of xylanase, ${\beta}$-xylosidase, ${\alpha}$-L-arabinofuranosidase, ${\beta}$-glucosidase, and cellobiohydrolase. The multienzyme complex was effective in hydrolyzing xylan and corn hull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n endocellulase-free multienzyme complex produced by a thermophilic anaerobic bacterium, T. thermosaccharolyticum strain NOI-1.

Characterization of Glycerol Dehydrogenase from Thermoanaerobacterium thermosaccharolyticum DSM 571 and GGG Motif Identification

  • Wang, Liangliang;Wang, Jiajun;Shi, Hao;Gu, Huaxiang;Zhang, Yu;Li, Xun;Wang, Fe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6호
    • /
    • pp.1077-1086
    • /
    • 2016
  • Glycerol dehydrogenases (GlyDHs) are essential for glycerol metabolism in vivo, catalyzing its reversible reduction to 1,3-dihydroxypropranone (DHA). The gldA gene encoding a putative GlyDH was cloned from Thermoanaerobacterium thermosaccharolyticum DSM 571 (TtGlyDH) and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The presence of Mn2+ enhanced its enzymatic activity by 79.5%. Three highly conserved residues (Asp171, His254, and His271) in TtGlyDH were associated with metal ion binding. Based on an investigation of glycerol oxidation and DHA reduction, TtGlyDH showed maximum activity towards glycerol at 60℃ and pH 8.0 and towards DHA at 60℃ and pH 6.0. DHA reduction was the dominant reaction, with a lower Km(DHA) of 1.08 ± 0.13 mM and Vmax of 0.0053 ± 0.0001 mM/s, compared with glycerol oxidation, with a Km(glycerol) of 30.29 ± 3.42 mM and Vmax of 0.042 ± 0.002 mM/s. TtGlyDH had an apparent activation energy of 312.94 kJ/mol. The recombinant TtGlyDH was thermostable, maintaining 65% of its activity after a 2-h incubation at 60℃. Molecular modeling and site-directed mutagenesis analyses demonstrated that TtGlyDH had an atypical dinucleotide binding motif (GGG motif) and a basic residue Arg43, both related to dinucleotide binding.

연속수소생성에 사용되는 고온 CSTR 내의 미생물의 분자적 분석 (Molecular Analysis of the Microorganisms in a Thermophilic CSTR used for Continuous Biohydrogen Production)

  • 오유관;박성훈;안영희
    • KSBB Journal
    • /
    • 제20권6호
    • /
    • pp.431-437
    • /
    • 2005
  • 1. 고온 CSTR은 비교적 짧은 start-up 기간과 높은 $H_2$ 수율을 나타내었다. $H_2$ 생산속도와 $H_2$ 수율의 안정화를 근거로 판단컨대 start-up 기간은 30일 이내이었으며, 최고 $H_2$ 수율은 2.4 mol $H_2/mol$ glucose이었다. 2. 비교적 긴 HRT와 침전조를 이용한 biomass의 재순환에도 불구하고, 유입 포도당의 농도가 낮아 biomass 농도는 다른 중온 반응기에서 보고된 것에 비해 낮은 편이었다. 3. 운전 초기에 $CH_4$이 발생하였으나 8일 이후부터는 pH를 1.0 이하로 유지하였더니 14일 이후로는 거의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봐서 메탄생성균이 식종균에 남아 있더라도 반응기 운전조건을 통해 $CH_4$ 발생을 억제할 수 있었다. 4. 식종 미생물과 반응기로부터 취한 시료의 DGGE band 패튼이 다른 것으로 보아 고온 CSTR 조건에서 식종된 미생물 군집의 조성이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5. DGGE 분석결과 초기 43일간의 운전기간 동안에 관찰된 미생물 군집조성은 동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약 14일부터는 biogas 조성이 거의 일정하였으나 미생물 군집은 동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F. gondwanens와 T. Thermoanaerobacterium과 계통발생학적으로 가장 연관이 있는 개체군들이 운전 21일과 41일째에 각각 우점으로 나타났다. 6. 본 연구에서 식종 슬러지를 열처리하는데 사용한 조건은 메탄생성균을 완전히 제거하는데 불충분하다는 것은 운전 초기에 $CH_4$이 biogas에서 검출되었고, 식종 슬러지와 반응기로부터 취한 시료에서 메탄생성균이 가지는 mcrA 유전자가 PCR로 증폭되었으므로 알 수 있었다. 7. 메탄생성균의 주요 목에 특이적인 primers를 사용하여 PCR을 실시한 결과 식종슬러지에 있는 메탄생성균들은 주로 Methanosarcinales와 Methanomicrobiales 목에 속하였으며, $CH_4$이 발생했던 때의 반응기에 있는 메탄생성균들은 주로 Methanobacteriales 목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STR의 장기운전을 통한 포도당으로부터의 고온 수소생산 (Thermophilic Biohydrogen Production from Glucose with a Long-term Operation of CSTR)

  • 안영희;오유관;박성훈
    • KSBB Journal
    • /
    • 제20권6호
    • /
    • pp.425-430
    • /
    • 2005
  • 1. $H_2$ 생산속도와 $H_2$ 수율의 안정화를 근거로 판단컨대 start-up 기간은 30일 이내로 나타나 중온 CSTR에 비해 짧은 편이었다. 2. 고온 CSTR의 최고 $H_2$ 수율은 2.4 mol $H_2/mol$ glucose로 나타나 보고 된 중온의 것에 비해 우수한 편에 속하였다. 3. 운전 초기에 $CH_4$이 발생하였으나 14일 이후부터는 pH를 5.0 이하로 유지하면 거의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봐서 메탄생성균이 식종균에 남아 있더라도 반응기 운전 조건을 통해 $CH_4$ 발생을 억제할 수 있었다. 4. 고온 CSTR은 초기 운전 후에 적용한 운전조건의 변화(유입 포도당 농도, pH, 및 온도)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pH 및 온도변화에 대해 $H_2$ 생산속도와 $H_2$ 수율, 포도당 제거율 면에서 반응기 성능의 감소 및 불안정이 나타나, 운전 조건 변화 후에 나타난 고온 CSTR의 성능회복이 쉽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5. 문헌에 보고 된 중온 CSTR과는 달리 고온 CSTR는 일정한 조건에서도 불안정 한 성능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6. 불안정한 반응기 성능은 lactate 농도 증가와 더불어 n-butyrate와 acetate 농도 감소를 동반하였다. 생산된 n-butyrate와 acetate의 농도는 lactate의 농도변화와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7. 비교적 긴 HRT와 침전조를 이용한 biomass의 재순환에도 불구하고, 유입 포도당의 농도가 낮아 biomass 농도는 다른 중온 반응기에서 보고된 것에 비해 낮은 편이었다. 8. T. thermosaccharolyticum와 계통발생학적으로 관련된 개체군이 반응기 운전 후 약 40일부터 우점으로 나타나 반응기 성능과 상관없이 그 이후로 계속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