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racal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혈액오염이 Tricalcium Silicate 재료의 압출강도와 표면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lood Contamination on the Push-Out Bond Strength and Surface Morphology of Tricalcium Silicate Materials)

  • 박미선;김재환;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6-43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혈액오염 시 Biodentine$^{(R)}$, Theracal$^{(R)}$, mineral trioxide aggregate(MTA)의 압출강도를 측정하고 표면형태를 관찰하는 것이었다. Biodentine$^{(R)}$, Theracal$^{(R)}$, MTA 각각의 재료를 2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은 phosphate buffered saline 용액 조건에서, 실험군은 fetal bovine serum 조건에서 4일간 $37^{\circ}C$에서 보관하였다. 이후 압출강도를 측정하고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표면형태를 분석하였다. Biodentine$^{(R)}$과 Theracal$^{(R)}$은 모든 조건에서 MTA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압출강도를 보였고 혈액오염 시 모든 재료의 압출강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표면형태 관찰결과 혈액오염 후 모든 재료의 표면형태가 변화하였다. 혈액오염 조건에서 Biodentine$^{(R)}$과 Theracal$^{(R)}$은 MTA와 비교하여 더 높은 압출강도를 보였으므로 혈액오염 조건에 사용하기에 더 적절할 수 있다.

산성 환경이 Tricalcium Silicate 재료의 압출강도와 표면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idic Environment on the Push-Out Bond Strength and Surface Morphology of Tricalcium Silicate Materials)

  • 박미선;김재환;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37-144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산성 환경에서 규산 삼칼슘 재료인 Biodentine$^{(R)}$, Theracal$^{(R)}$, ProRoot MTA$^{(R)}$의 압출강도를 측정하고 표면형태를 관찰하는 것이었다. 각각의 재료에 대해 샘플을 4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산성 조건 그룹은 pH 4.4, 5.4, 6.4의 부티르산 조건에서, 대조군 그룹은 pH 7.4의 인산완충식염수 조건에서 4일간 $37^{\circ}C$에서 보관하였다. 이후 압출강도를 측정하고 표면 형태를 분석하였다. Biodentine$^{(R)}$과 Theracal$^{(R)}$은 모든 산성 조건에서 ProRoot MTA$^{(R)}$ 보다 더 높은 압출강도를 보였고 pH 감소에 따라 압출강도가 감소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관찰 결과 재료들 모두 산성 조건에서 표면 형태에 상당한 변화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Biodentine$^{(R)}$과 Theracal$^{(R)}$은 ProRoot MTA$^{(R)}$와 비교하여 더 높은 압출강도를 보였다. 또한 산성 조건은 규산삼칼슘 재료들의 압출강도와 미세구조를 약화시킬 수 있다.

Tricalcium Silicate-Based 치수복조재에 대한 수 종 수복재의 전단결합강도 비교 (Comparison of Shear Bond Strength of Different Restorative Materials to Tricalcium Silicate-Based Pulp Capping Materials)

  • 정화경;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00-20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Tricalcium silicate를 기반으로 한 3종의 치수복조재(Theracal $LC^{TM}$, $Biodentine^{TM}$, $ProRoot^{TM}$ white MTA)와 임상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수복재인 복합레진, 레진강화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 그리고 전통적인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 간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심구를 가진 아크릴 레진 블록 90개를 제작하고 각각 30개씩 3종의 치수복조재로 중심구 안에 채운 다음, 다시 무작위로 10개씩 하위 군을 나누어 치수복조재 상방에 복합레진, 레진강화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 전통적인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를 적용하여 총 9개 군으로 이루어진 시편을 제작하였다.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해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한 뒤, 입체현미경을 사용해 파절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Theracal $LC^{TM}$-복합레진 군이 가장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Theracal $LC^{TM}$-전통적인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 군이 가장 낮은 전단결합강도를 나타냈다. 복합레진이 수복재로 선택된 군들이 다른 수복재 군에 비해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전통적인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가 수복재인 경우 $Biodentine^{TM}$이 다른 치수복 조재 군들에 비해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나타냈다.

백서에서 치수절단술에 사용하는 TheraCal LC, MTA 그리고 Formocresol의 비교 (Comparison of TheraCal LC, Mineral trioxide aggregate, and Formocresolas pulpotomy agents in rat molar)

  • 이빈나;송영상;이고운;김영훈;장훈상;황윤찬;오원만;황인남
    • 대한치과재료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87-195
    • /
    • 2017
  • Formocresol (FC)은 치수절단술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재료이지만, 재료의 독성 때문에 현재 calcium hydroxide나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가 치수절단술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레진계열 calcium silicate 제재인 Theracal LC가 치수 이장재로 개발이 되었으며, 이는 광중합을 통해 경화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해서 MTA를 적용할 수 없는 치아에 사용할 수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FC, MTA 및 Theracal LC를 각각 치수절단술 후에 적용했을 경우 경조직 형성 능력과 치수반응을 비교하는 것이다. Sprague Dawley Rat의 상악 대구치 치수절단술 후 FC, MTA 및 Theracal LC를 적용하였다. 경조직 형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Skyscan을 사용해 마이크로 컴퓨터 단층촬영(micro CT) 이미지를 획득하고, he matoxylin and e osin (H&E) 염색을 하여 조직학적 반응을 확인하였다. Dentin matrix protein-1 (DMP-1)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면역형광 염색을 시행하였다. FC를 사용한 시편에서는 경조직 형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치수절단술이 시행된 인접면에 염증반응이 관찰되었고 DMP-1발현은 확인되지 않았다. MTA와 Theracal LC를 사용한 시편에서는 경조직 형성이 관찰되었고 DMP-1의 발현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MTA나 Theracal LC를 사용한다면 남아있는 치수의 생활력과 기능을 유지시켜 보다 좋은 치료 예후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bond strength of self-adhering and bulk-fill flowable composites to MTA Plus, Dycal, Biodentine, and TheraCal: an in vitro study

  • Raina, Aakrati;Sawhny, Asheesh;Paul, Saurav;Nandamuri, Sridevi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5권1호
    • /
    • pp.10.1-10.8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shear bond strength (SBS) of a self-adhering flowable composite (Dyad Flow) and a bulk-fill flowable composite (Smart Dentin Replacement [SDR]) to several pulp-capping materials, including MTA Plus, Dycal, Biodentine, and TheraCal. Materials and Methods: Eighty acrylic blocks with 2-mm-deep central holes that were 4 mm in diameter were prepared and divided into 2 groups (n = 40 each) according to the composite used (Dyad Flow or SDR). They were further divided into 4 sub-groups (n = 10 each) according to the pulp-capping agent used. SBS was tested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at a crosshead speed of 1 mm/min. Data were analyzed using 2-way analysis of variance. A p value of < 0.05 was considered to indicate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40) was found between Dyad Flow and SDR in terms of bond strength to MTA Plus, Dycal, Biodentine, and TheraCal. Conclusions: Among the 8 sub-groups, the combination of TheraCal and SDR exhibited the highest S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