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ca Externa Layer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돼지 난소 Atrial Natriuretic Peptide 결합 부위의 자가방사법에 의한 검증 (Autoradiographic Localization of Atdal Natriuretic Peptide Binding Sites in the Pig Ovary)

  • 김성주;김선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23-530
    • /
    • 1995
  • 돼지의 난소 조직내에 존재하는 심방이뇨 호르몬 수용체 분포를 알아 보기 위하여 자가방사법을 통해 125I로 표지한 rANP(1-28)의 특이적 결합 부위를 관찰하였다. 난소 조직 중 125I-rANP(1-28)의 강한 결합 부위는 난포의 과립막 세포층이었으며, 외난포막층에서도 125I-rANP(1-28)의 결합 부위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내난포막층을 포함한 난소내의 다른 조직과 특히 황체에서는 125I-rANP(1-28)의 결합 부위가 나타나지 않았다. 난포의 과립막 세포층과 외난포막층에서의 이러한 125I-rANP(1-28)의 결합은 다량의 rANP(1-28)에 의하여 완전히 전위되었지만, 펩티드 호르몬인 angiotensin II 및 arginine vasopressin에 의해서는 과량의 농도에서도 전위되지 않아 125I-rANP(1-28)의 결합이 특이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특이적 결하은 심방이뇨 호르몬의 생물학적 수용체 외에, 다른 기능을 담당하는 clearance 수용체의 특이적 ligand인 C-ANF에 의해서도 전이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돼지의 난소에 있어서 난포의 과립막 세포층 및 외난포막에 심방이뇨 호르몬의 생물학적 또는 coearance 수용체가 존재함을 보여주며, 이는 심방이뇨 호르몬의 수용체가 난자의 성숙에 관련된 난포의 발달과정에 관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좀구굴치 Micropercops swinhonis의 난여포층 (Follicular Layer of Oocytes of Micropercops swinhonis (Pisces: Perciformes))

  • 박종영;김익수;이용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54-260
    • /
    • 2001
  • 좀구굴치 성숙란의 난여포층은 외층인 theca cell과 내층인 granulosa cell로 구분되며 특히 원주형인 granulosa cell은 분비활동으로 인하여 세포질에 분비물이 축적되면서 난모세포를 둘러싸게 된다. 이러한 granulosa cell은 난황형성 초기인 난황포 시기에 입방형태를 보이지만 난황구시기에는 원주상세포로 바뀌면서 점액을 분비하는 특징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부착물질은 형태가 없으며 전자밀도가 높다. 또한 이러한 분비물을 가지는 난막은 난황형성이 더욱 진행됨에 따라 동물극 부근이 식물극보다 더욱 두꺼워지고 커지게 된다. 이러한 점막여포층 아래에는 약 $7.8{\sim}11.5\;{\mu}m$ 두께의 방사대가 존재한다. 방사대는 전자밀도가 낮은 외층과 3~5층의 여러 전자밀도층을 가지는 내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점막여포층은 방사대에 존재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 물질은 난세포질이 여포상피로부터 기원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Progesterone이 rat 자궁과 난소의 증식세포 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distribution of proliferating cells in uterus and ovary of progesterone-treated rats)

  • 박성식;곽수동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17-228
    • /
    • 1995
  • Th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gesterone on the reproductive system. This investigation was performed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s using anti-bromodeoxyuridine-antibody following bromodeoxyuridine(Brdur) injection for labeling proliferating cells in the uterus and ovary of rats. Sixteen female rats(Wistar), weighing initially 300g, were randomly allotted into ovariectomized and unovariectomized large groups. These two large groups were subdivided into three subgroups of control, 3-day and 6-day groups, respectively. 3-days and 6-days group were injected with 1mg of progesterone/rat/day for 3 or 6 days, respectively. In gross findings, the uterus of ovariectomized groups markedly atrophied, and were not hypertrophied by progesterone injection for 3 days or 6 days and the uterus of unovariectomized groups also were not hypertrophied. Labeling index(LI, %) was measured by counting the number of Brdur-positive cells from 300 to 3,000 cells per layer in the uterus tissue. The average LI of the uterus in unovariectomized groups was higher than that of ovariectomized groups. The subgroups with higher LI in unovariectomized groups were ordered as 6-day group, 3-day group. So progesterone considerably effected to the proliferating of the cells in the uterus of unovariectomized groups. The layers with higher LI in the uterus wall were ordered as the functional zone of endometrium, epithelial layer of endometrium, basal zone of endometrium, myometrium and perimetrium. The cell types with higher LI in the uterus of unovariectomized groups were ordered as the surface epithelial cells, stromal cells, glandular epithelial cells and muscle cells. Growing follicles with proliferating cells from secondary and tertiary follicles in the ovary of unovariectomized groups appeared to be 37.66% in control group, 39.23% in 3-day groups, 39.47% in 6-day groups. Mature follicles in the ovary were more number in control group than those in 3-day groups but not appeared in 6-day groups. So progesterone not nearly effects to the number of the growing follicles but appeared to be related to suppression of the development and protrusion of the mid-tertiary and mature follicles on the ovary surface. The cell types with higher LI in the ovary of unovariectomized groups were respectively ordered as granulosa cells, theca interns cells in secondary follicles; theca interna cells, granulosa cells, theca externa cells in tertiary follicles; fibroblasts, theca in terns cells in atretic follicles; fibroblasts, luteal cells in corpus luteum.

  • PDF

한국산 동자개속 및 퉁가리속 4종 어류의 난모세포에서 여포세포의 발달과 변형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of Oocyte' Follicle Cell for Korean Four Sillurid Fishes of Liobagrus and Pseudobagrus (Pisces: Silluriformes))

  • 백현아;박종영;김치홍;김종화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2-119
    • /
    • 2007
  • 메기목 어류인 퉁사리 Liobagrus obesus, 자가사리 L. mediadiposalis,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 꼬치동자개 P. brevicopus에 대한 난모세포의 여포세포의 발달과 변형과정을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비교 조사하였다. 4종의 난모세포는 바깥의 theca cell과 안쪽의 여포세포(granulosa cell)로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여포세포는 초기 난모세포에서는 편평세포로 구성 되었으나 난황물질형성 동안 단층의 입방상피, 단층의 원주세포로 대체되면서 난황구후기에는 원주세포에 의해서 분비되는 물질로 채워지게 된다. 4종이 이러한 과정이 비슷하지만 분비된 물질(부착구조)의 형태는 2가지로 구분된다. 첫째로 젤라틱막 구조로서 퉁가리속의 퉁사리 및 자가사리에서 나타나며 이들의 성분은 polysaccharides와 mucoproteins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두 번째인 과립형태는 동자개속의 눈동자개와 꼬치동자개에서 볼 수 있으며 이들은 mucoprotein으로 구성되었다. 한편 이러한 부착물질의 아래 부분에 존재하는 방사대는 얇은 바깥층과 두꺼운 내부층으로 구성되는 2층 구조이며, 이들의 두께는 $0.6{\sim}3.1{\mu}m$로 나타났다.